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느
박민규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0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느라는 제목과
못생긴 시녀를 앞세운 표지..
리얼 로맨틱의 귀환 작가 박민규라는 것으로도 관심을 끌기에 충분했다.

남들이 놀리고, 무시하는 외모를 가지는 여주인공과..
남모르게 상처를 안고 살아가는 두 남자주인공의 우정과 사랑을 담은 책.

전체적인 흐름은 로맨스 소설을 따라가지만
결국 책에서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은 외모 지상주의에 대한 비판과 각성이였다.

외모때문에 모든것이 용서되고, 허용되는 부분..
외모때문에 생기는 편견으로 인한 무시와 상처.

외모를 가지고 누가 누구를 용서한다는 것인지.
그 용서의 자격은 누가 주는것인지도 모른채..
외모 지상주의에 대한 찬양스러운 현실...

여자주인공의 외모에 대한 상처때문에 남자주인공을 떠나면서
남자주인공한테 보내는 편지를 읽고는
마음이 답답하기도 하고, 슬프기도 한 안타까운 생각이..

누구나가 조금더 예쁘고 멋지기를 바라는건 사실이지만..
못생긴것의 기준이 정확히 뭔지는 모르겠지만 못생겼다고 해서 남에게 주는 상처는..
그 당사자에겐 정말 인생이 바뀔정도로 엄청난 것이 될 수도 있다.

나도 문득 지나가는 말이나..장난이라도 혹시나 외모를 가지고 말한적이
없나 하는 뜨끔한 생각이 스친다..

20살이라는 꿈과 희망으로 가득찰 나이에
책의 주인공들은 여러가지의 다른 종류의 상처로 힘겨워 하고,
좌절하는 모습들이 그려져서 참 안타까운 마음이 들었다.

문장 구성이 참 독특해서...신선한 느낌도 들었지만 한편으론
조금 집중하기가 어려워 글의 흐름이 조금 끊어진다는 점이 아쉬었다.

여전히 지금도 외모 지상주의는 현실이다.
어쩌면 이 부분은 영원히 안고 가야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더 좋은 외모를 위해 노력하고 투자하는 것을 단점이라고 지적할수 없듯이
있는 그대로의 외모자체도 단점이라고 지적할 수 없다.

외모 지상주의가 아닌
마음가짐 지상주의, 정 지상주의, 사랑 지상주의..이런건 안되려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