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백범일지 - 책 읽어드립니다, 김구 선생의 독립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
김구 지음 / 스타북스 / 2020년 8월
평점 :

"백범일지"에 대해서 대략적으로만 알고 있다가
이번 기회에 제대로 읽어볼 수 있어서 참 다행이다.
인생의 전반부를 다룬 상권에는
개구쟁이 어린시절의 이야기들이 가득했다.
동네 아이들에게 두들겨 맞고 집의 식칼을 가지고 나갔다가 뺏기고 또 두들겨 맞고,
엿 바꿔 먹으려고 아버지의 멀쩡한 수저를 망가뜨리고,
떡이 먹고 싶어 아버지의 돈을 몰래 가지고 나가다 들키는등
대한독립운동의 백범 김구 선생님의 이미지만 생각하다가
사고뭉치 어린 시절의 모습들은 너무 친근했다.
그러나 젊은 시절부터 시련과 고난의 연속이였다.
어쩌구니 없는 과거 시험에 대해 실망하고,
평등을 중요시여기는 동학의 세계로 들어갔지만 잘되지 않았고,
청계동의 안진사에게 몸을 위탁하게 된다.
그러나 운명이라고 해야할지, 다행이라고 해야할지
안진사의 맏아들이 바로 '안중근 의사'.
그 뒤에도 여러가지를 계획하고 행동했지만
뭐하나 뜻대로 되는게 없었고, 계속 방황하게 되고,
급기야는 인천 감옥에 갇히게 된다.
상권을 읽는동안 잘 되는게 없지만
마음만은 굳건하게 밀고나가시는 김구 선생님이 참 대단하다고 생각되었고,
잘난척하거나 자랑거리가 아니라
일상적인 소소한 이야기부터 있는 이야기들을 그대로
솔직하게 써낸 내용들이 거부감없이 몰입하게 만들었다.
임시정부의 이야기를 다룬 하권에서는
상해임시정부의 설립과정과 여러가지 독립운동 관련된 이야기가 등장한다.
단연코 눈에 띄는 2가지 이야기가 있는데
바로 '이봉창 의사'와 '윤봉길 의사'이야기다.
'이봉창 의사'는 일본에서 노동운동을 하다가 독립운동을 하고자 상해로 왔다.
지금까지 살아온 31년 동안 충분히 쾌락은 맛보았으니
이제는 영원한 즐거움을 얻고 싶다며 독립운동을 하고자했다.
그 젊은 나이에 어떻게 목숨을 던질 수 있었을까?
결코 많은 나이가 아닌데, 어찌 그렇게 단호한 마음을 가질 수 있었을까?
영원한 즐거움을 덕도 싶어서 독립운동에 몸바치겠다는
'이봉창 의사'의 말이 너무나 울컥하고 감동적이였다.
'윤봉길 의사'의 이야기는 여러번 들었는데도 울컥했다.
거사 전 김구 선생님과 시계를 바꾸자며
자신의 시계는 이제 1시간 밖에 더 소용이 없다는 말은
들을때마다 큰 울림을 준다.
그리고 김구 선생님의 대답
'후일 지하에서 만납시다'.
백범일지를 읽으면서 또 하나 놓칠 수 없었던 부분은
김구 선생님의 강인한 어머니였다.
감옥에 갇힌 아들을 찾아가
독립운동하다 잡힌 것이 경기 감사를 한 것보다 더 기쁘다고 하셨던 어머니.
아마 이런 어머니가 계셨기에 김구 선생님이 독립운동을 하실 수 있지 않으셨을까 싶다.
중국 남경국민정부 주석 '장개석'을 만나 지원 약속을 받고
임시 정부 요인들을 만나 한국의 독립을 약속받고
차곡차곡 준비를 마칠 찰나에 일제가 항복을 했다.
그동안 준비한 것들이 모두 허사로 돌아갔다.
끝내 이루지 못한 소원, 완전한 자주 독립.
얼마나 허망하셨을까?
그렇게 오랜 시간 끝에 고국으로 돌아오신 김구 선생님.
나의 소원으로 "민족 국가, 정치 이념, 내가 원하는 우리나라"의 글이 있는데
'내가 원하는 우리나라'라는 부분이 유독 눈에 들어왔다.
"오직 우리가 한없이 가지고 싶은 것은 높은 문화의 힘이다".
'지금 우리나라의 모습은 김구 선생님이 그렇게 바라시던
대한민국의 모습이 맞을까?' 라는 물음을 스스로에게 해본다.
마치 소설을 읽듯 빠져드는 재미도 있었고,
기억해야 할 역사를 제대로 알게 되는 점도 좋았고,
잊지 말아야 할 김구 선생님을 이렇게 만나볼 수 있어서 정말 다행이다.
이 책은 개인의 유언,기록이 아니라 우리 모두가 읽어야 할 역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