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삶의 의미는 무엇인가 - 『죽음의 수용소에서』빅터 프랭클과의 대화
이시형.박상미 지음 / 특별한서재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 삶의 의미는 무엇인가" 참 궁금한 거 같으면서도 조금은 식상한 제목이라고 생각했었다.
내용도 제대로 모른 채, 그저 "너의 삶의 의미는 무엇이냐, 삶의 의미를 찾아라" 정도의 결론에
도달하는 책인가 싶었다.
첫 느낌을 뒤로하고, 이 책의 저자부터 살펴보니 처음 생각과는 조금은 다를 것 같다는 기대감이 생겼다.


이 책은 정신과 의사 이시형님과 심리 상담가 박상미님이 함께 작업하신 책이다.
의미치료 즉 ‘로고테라피(Logotherapy)’에 대해서 첫 장에서는 이시형님이,
두 번째 장에서는 박상미님이, 그리고 마지막장에서는 두 저자님의 대화록이 담겨있다.


먼저 이시형 저자님의 의미치료가 조금 이론에 가까운 이야기들이 많았는데
그래도 어렵지 않게, 흥미롭게 읽을 수 있었던 것은
내가 재밌게 읽은 빅터 프랭클의 "죽음의 수용소에서" 책을 바탕으로 했다는 것이다.
빅터 프랭클이 실제 아우슈비츠 포로수용소에서 겪은 일을 담은 "죽음의 수용소에서"를 너무 흥미롭게 읽었는데
바로 이 빅터 프랭클이 "의미 치료"의 창시자이고,
또 이 책의 저자인 이시형님이 "죽음의 수용소에서"를 번역하기도 하셨다.


"의미치료, 빅터 프랭클, 죽음의 수용소에서"가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과정에서
이론이나 임상에 대해 들려주니 흥미로울 수 밖에 없었다.
창시자인 빅터 프랭클에 대한 이야기도 당연히 나오고, 수용소에서의 이야기들,
프랭클의 신경증 클리닉까지 차례로 나온다.
"의미 치료"는 고민에 대해서 정신적으로, 심리적으로 당장의 그 문제의 원인이나 해결법을 찾기보다는
조금 더 깊게 들어가서 내 삶의 의미를 찾고, 왜 살아야하는지 의미를 찾아서
고통을 이겨내고 스스로 상처를 치유하는 방법이다.


그래서 의미 치료의 예를 보면, 일방적으로 어느 한쪽이 이야기하고,
어느 한쪽이 해답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대화를 통해 스스로 답을 찾고, 의미를 찾는다.
당장 눈앞에 놓인 스트레스가 문제인 것 같지만, 진짜 이유는 다른 곳에 있었던 것이다.
내 삶의 의미가 없고, 내 삶의 의미를 못 찾고, 내 삶의 의미를 잃어버려서 생기는.


심리 상담가 박상미님이 들려주시는 의미치료 이야기는 조금 더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예가 많다.
현대인들의 고민을 "의미치료"적으로 해답을 찾으니 뭔가 더 원론적인 것들의 문제가 보이는 것 같았고,
더 공감이 되었다.
다들 비슷한 고민을 하고, 비슷한 고통을 받으며 사는구나 싶기도 했고,
그런 상황에 "의미치료"가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보니 흥미로웠다.

마지막 두분의 대화록은 정리하는 기분으로 편하게 볼 수 있다.


정신 치료, 심리치료라고 하면 아들러를 떠올리곤 했었는데
이렇게 빅터 프랭클의 "의미 치료"라는 것을 알게되서 유익한 책이였다.
읽기 전에는 굳이 두 명의 저자가 필요했을까 싶었는데
두 분의 역할이 분명하게 나뉜 거 같아서 좋았고,
이론과 예시로 적절히 어렵지 않게 풀어낸 구성도 참 좋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