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호의 하얀말
오츠카 유우조 재화, 아카바 수에키치 그림, 이영준 옮김 / 한림출판사 / 200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호가 하얀 말을 안고 있다. 수호가 그렇게 큰 걸까, 아님 하얀 말이 그렇게 작은 걸까. 수호가 하얀 말을 안고 있다. 그것은 정말 하얀 말일까.

몽골 소년 수호에게는 하얀 말이 한 마리 있다. 몽골의 아이들은 걸음마도 하기 전에 말을 탄다고 하니 수호에게 하얀 말이란 어떤 존재인지 가히 짐작할 만 하다. 요즘 아이들이 개나 고양이 혹은 햄스터를 키우면서 느끼는 마음과는 비교도 할 수 없으리라. 그런데도 아이들은 그냥, 그 정도밖에 짐작을 못 한다. 왜냐하면, 푸른 초원에서 말을 타거나 말에게 먹이를 주거나 털을 빗겨준 경험이 없으므로. 하여간, 수호에게 하얀 말이란, 애완동물이 아니라 친구 이상, 가족과도 같은 존재이다.  물론 하얀 말에게도 수호는 주인 이상의 그 무엇이다. 비록 하얀 말이 그것을 말로 표현은 할 수 없었겠지만. 그런데 문제는 하얀 말이 너무 뛰어나다는 것이다. 원님이 자기 사위 자리를 경품으로 내놓은 말타기 대회에서 수호와 하얀 말은 당당히 1등을 한다. 그런데 원님은 한낫 양치기한테 딸을 주고 싶지는 않다. 그래서 말이나 내놓고 가라, 하며 은화 몇 닢을 준다. 수호는 말타기 대회에 참가한 것이지 말을 팔러 온 것이 아닙니다, 하고 돌아선다. 원님은 무력을 이용하여 수호를 흠씬 두들겨서 쫒아버리고 하얀 말을 뺏는다. 며칠 후, 연회에서 하얀 말을 자랑하고 싶었던 원님은 보기좋게 하얀 말의 등에서 떨어지고 부하들을 시켜 하얀 말에게 화살을 쏘게 한다. 하얀 말은 온 몸에 화살을 꽂은 채로, 붉은 피를 흘리며 수호에게 돌아와 수호의 품에서 죽는다. 며칠을 잠들지 못하다가 겨우 잠든 어느 날, 수호의 꿈에 하얀 말이 나타나 자기의 가죽과 털과 뼈와 심줄로 악기를 만들라고 한다. 그러면 항상 곁에 있을 수 있노라고 한다. 수호는 잠에서 깨자 말이 가르쳐 준대로 악기를 만들고 그 악기로 자신과 또한 상처받은 비루한 삶들을 위해 연주를 한다.

이 이야기는 마두금이라는 악기에 얽힌 몽골의 민화이며 안데르센 상을 받은 작품이다. 그림은 거칠고 단순하다. 그런데 굵은 선이 더 마음을 울릴 수도 있구나. 우리의 얼굴과 흡사한 검은 머리에 작고 긴 눈, 몽골 친구가 성큼 우리 곁에 다가온다. 책을 읽으며 아이들은 슬퍼요, 한다. 간혹 하얀 말이 정말 용맹해요, 라고도 한다. 그런데 나는 왜 마음에 분노가 자꾸 차오르는 걸까. 슬픔보다도 먼저, 찬사보다도 먼저 내 마음에는 분노가 일어난다. 원님에게, 원님이라고 대변되는 부조리하고 부도덕한 권력에 화가 난다. 예전에도 있었고 지금도 있고 앞으로도 있을 그 무지막지하고 잔인한 권력에 분노를 느낀다. 폭압적인고 불합리하고 부도덕한 자가 권력을 가지는 것보다 더 두렵고 무서운 일이 있을까. 이런 감정이 어린이책을 읽고 느낄만한 정상적인 감정은 아닌데???내 속에 무지한 권력에 억눌린 감정이 있나 보다. 그것이 잊혀지지 않고 있다가 불쑥.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