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가슴에 해마가 산다 보름달문고 23
김려령 지음, 노석미 그림 / 문학동네 / 200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표지에 작은 글씨로(양심적이다. 너무 큰 글씨가 아니다. 금박도 아니고.)문학동네 어린이문학상 대상 수상작이라고 쓰여 있다. 문학동네라면 이름이 결코 가볍지 않은 출판사인데 문학상 대상을 받았다고 하면 기대할 만 하지.

150쪽을 겨우 넘긴 다소 얇은 책이었지만, 그 내용은 결코 가볍지 않았다.

하늘이랑 한강이라는 아이가 나오네. 둘 다 입양아인데 다른 점이라면, 하늘이는 공개입양되어 가족이건 친구이건 주변 사람들도 모두 입양아라는 사실을 안다는 것. 한강이는 4학년때 처음으로 입양아라는 사실을 알았는데 가슴으로 낳았건 배로 낳았건 무슨 상관이냐 한다는 것. 의외로, 당당한 한강이에 비하면 하늘이는 늘 힘들고 외롭다. 정신과 의사이자 청소년 상담 전문가인 엄마가 워낙 유명세를 즐기는지라 하늘이는 늘 행복을 가장해야 한다. 엄마에게 싫어요,라고 하기엔 하늘이는 너무 용기가 없다. 그런데 가만 들여다 보면, 행복을 가장하는 것은 하늘이 뿐이 아니다. 명색 정신과 의사이자 청소년 상담 전문가라는 엄마는 하늘이보다 더 많이 행복을 가장하고 그것을 사람들에게 인정받고 싶어하며 그러느라 하늘이의 욕구나 상처는 들여다 보지 못한다. 하늘이는 엄마의 그 행복을 차마 깰 수 없다. 왜냐하면, 자신은 무어라도 감지덕지해야 할 입양아이니까.

여기 시골에서 오신 할머니가 계신다. 이 할머니, 거칠 것이 없다. 하늘이에게 거친 소리에 심한 말씀도 서슴없이 하신다. 가시나가 시키는대로 할 것이지,는 뭐 점잖은 말씀이다. 저러니 주워다 키울 필요가 없다,라고 까지 한다. 하늘이의 부글부글 끓고 있는 화를 폭발시켜 주신다. 그런데 그런 할머니가 필요하다. 안 그러면 하늘이는 화가 폭발하는 것이 아니라 마음이 폭발해 버렸을지도 모른다. 늘 교과서같은 엄마 앞에서는 모범 답안처럼 할 수 밖에 없지만 겉이나 속이나 똑같은 할머니 앞에서는 그럴 필요가 없다. 살갑게 말씀은 못하시지만 궂은 것, 아픈 것, 슬픈 것을 꿰뚫어 보시는 할머니 앞에서는 굳이 연극을 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한강이는 제법 유들유들하다. 입양아라는 현실을 이용할 줄도 안다. 좀 잘 못 하고 실수를 해도 입양아인 줄 알게 되었다, 하면 웬만큼 면죄부를 받는 줄도 안다. 싸움도 해 보고 가출도 해 보고 그리고 다시 집으로 돌아간다. 하늘이처럼 복잡하고 심각하지 않다.

정답은 없나 보다.

뭐 공개입양이 좋다는데, 꼭 그렇다고 누가 말할 수 있는가. (입양이든 아니든 자식을 키운다는 것은 어차피 부모가 아무리 애를 써도 원망을 듣는 순간이 있는 것 같다.)

하늘이 가슴에 사는 해마는 사실 심장수술한 칼자국이다. 그리고 해마는 아빠가 새끼를 키운다. 엄마에게 정을 느끼지 못하고 아빠와 더 가까운 하늘이의 상태를 해마라는 한 매개체로 다 설명해내는 작가의 역량이 놀랍다. 어린이 책이지만, 제법 긴장감을 갖고 읽게 된다. 다만, 엄마가 술이 취해서 들어온 날, 하늘마을을 찢어버리는 부분은 개연성이 좀 부족해 보였다. 아무리 술김이래도, 아무리 쌓인 게 많았어도 너무 급하게 찢으시는 감이 있었다. 갈등이 고조되다가 폭발해야 하는데 너무 급하게 폭발해 버려서 약간 김이 새는 느낌.(나는 평론가가 아니므로 그냥 내 생각임.)

혈연을 목숨보다 중시하는 사회에서 한번쯤 되돌아볼 만한 소재, ‘입양’으로 좋은 이야기거리를 만들어 내 준 작가-김려령씨께 감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