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똥친 막대기
김주영 지음, 강산 그림 / 비채 / 2008년 9월
평점 :
품절
작고 보잘것 없는 것들에 바치는 아름다운 생명의 기록!!!
기차가 지나가는 마을이 있습니다. 매일아침 기적소리로 부모님께 안부를 전하는 기관사가 태어나고 자란 양지마을입니다. 오늘 아침도 수탉이 우는 소리가 아닌 기적소리로 여지없이 아침을 맞이합니다. 양지마을 박씨는 이른 아침 임신 8개월된 암소를 끌고 논을 갈고있습니다. 그런데 임신때문에 예민해져서 인지 기적소리에 화들짝 놀라 뛰어가는 바람에 논두렁 옆 봇도랑의 20년된 백양나무의 옹이에서 2년전 곁가지로 태어난 가지의 평온한 일상은 끝이나 버립니다. 어미나무인 백양나무 곁가지에서 나무막대기로, 다시 회초리에서 결국 똥친막대기로 우여곡절을 겪으면서 자리의 뿌리내릴 곳을 찾아가는 어린 가지의 이야기입니다.
나는 비극을 맞이할 준비만 갖추고 있는 꼴이었습니다. 그러나 나는 그 운명의 길에 나를 내맡긴 채 어떤 기적이 찾아오기를 바랍니다. 기적만이 나를 희생 시킬수 있다는 믿음도 가치없는 것은 아니겠지요. < P48 >
'길 위의 작가' 라고 불리우는 김주영 작가의 첫 그림소설입니다. 이책을 읽다보면 저자가 길위, 자연과 얼마나 공감을 하며 생활을 하였나 고스란히 느낄수 있는데요. 띠지의 "작고 보잘것 없는 것들에 바치는 아름다운 생명의 기록"이라는 말처럼 졸지에 똥친 막대기가 되어버린 곁가지의 모습에서 우리가 자연 속 미물들을 얼마나 하찮게 생각했는지, 무심코 꺾어버린 가지에도 분명히 길가의 돌멩이에도 , 아무곳에나 자라난다고 미움받는 잡초 조차도 인간만이 느낄수 없을 뿐이지 분명 그들에게도 생명이 존재하고 그들만의 언어가 존재할터인데 인간이 얼마나 하찮게 생각하였는지 작가는 바로 생명의 중요성을 우리들에게 이야기 합니다.
한편으로 저자는 그 시절이 그리웠는지도 모릅니다. 섬세하면서도 깨끗한 언어와 책속에 삽입된 그림들은 그때의 그시절 겪은 이들에게는 향수를 불러일으키고 경험하지 못한 이들에게는 상상력을 키워주니 말입니다. 소가 논을 갈고 밭을 가는 모습, 연기가 피어오르는 굴뚝, 싸리로 만든 담장이나 대문, 사람들이 줄지어 엎드려 모심는 정경은 대량생산에 따른 기계화로 인해 이제는 시골에서 조차 찾아보기 힘든 모습입니다. 이제는 똥친막대기도 추억이 되어버렸답니다. 시대가 바뀌고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우리의 생활도 윤택하게 변화되는 것은 당연할터인데 그래도 그 시절이 그리워 지는 것은 이웃간의 정 그리고 아무런 근심없이 들판을 마구 뛰놀던 어린시절 함박웃음이 그립기 때문이 아닐런지요. 지금 가장 그리운것은 한겨울 아궁이 장작불 속에서 구워먹던 군고구마와 눈썰매장이 아닌 동무들과 비닐푸대를 썰매삼아 미끄럼타고 눈싸움하던 그 겨울이랍니다. 오랫만에 <똥친 막대기>를 읽고 말괄량이 였던 그때로 돌아가 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