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크로스 본즈 ㅣ 모중석 스릴러 클럽 16
캐시 라익스 지음, 강대은 옮김 / 비채 / 2008년 9월
평점 :
절판
'본즈: 죽은 자의 증언'이 이미 출간되어 있고 나는 아직 접해보지 않았지만 지금까지는 철저하게 법의학을 기초로 하였다면 '본즈 시리즈'의 여덟번째 소설인 크로스 본즈는 법의학과 고고학을 접목시킨 팩션 스릴러를 표방한다. 법의학의 사전적 의미는 법률상 문제되는 의학적 ·과학적 사항을 연구하여 이를 해결함으로써 법운영에 도움을 주고 인권옹호에 이바지하는 학문이며 고고학은 유적 ·유물과 같은 물질 증거와 그 상관관계를 통해 과거의 문화와 역사 및 생활방법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언뜻 보기에는 전혀 어울리지 않을것 같은 두 학문을 가지고 케시라익스는 <크로스 본즈>를 만들어 내었다.
나는 이책이 모중석 스릴러 라인이다 보니 당연히 스릴러를 기대하였건만 스릴러라기 보다는 팩션에 가깝다고 할수 있다. 한 유대인의 죽음과 연관된 열쇠를 찾아나선다는 스릴러를 밑바탕에 두고 마사다 유적과 예수의 유골을 다루는 고고학을 얹어놓았다고 할까. 그래서 인지 그 방면에 지식이 부족한 독자를 위해 설명하는 부분에 많은 할애를 하다보니 긴장감을 고조시켜야 할 부분이 맥없이 흘러가버리게 되어 책의 흡인력에 방해요소가 되었다는 것이다. 그 유명한 CSI도 너무 전문성만 내세우고 드라마적인 요소가 살짝 배제될때는 불만을 토로하기도 한다.
크로스 본즈 읽는 독자라면 <다빈치 코드>가 자연스레 연상되어 질것이다. 처음 다빈치 코드를 접했을때는 나의 짧은 지식으로 알고 있던 예수에 대한 사실에 반론을 제기한다는 점에 충격을 받았고 오로지 빠져들었고 그 진실이 진실이 아닌것만 같은 혼란을 겪기도 하였다. <크로스 본즈>도 마찬가지였다. 예수의 유골로 추정된 해골을 파헤치는 과정은 또다시 흥미롭고 가벼운 긴장감을 안겨주었다. 역시 예수의 탄생과 죽음에 대한 비화는 지금까지도 앞으로도 수많은 가설과 의견들이 쏟아져 나올것이며 수많은 소설의 소재거리를 제공할 것이라는 점에는 반대의견을 내놓는 이는 없을 것이다.
케시 라익스는 종교학자 타보르박사와의 대화중에 영감을 얻어 자신의 전공인 법의학에 고고학적 음모를 가미하기로 하였다고 한다. 소설로 옮기기 위해 꼬박 일년 동안 사본, 편람, 신문기사들과 씨름하였을 케시라익스의 열정을 고스란히 느낄수 있었다. 그러나 그 노력에 비해 허무하게 결론이 지어져서 인지 타국에서 고생하고 결과적으로 뒷북만 친 브레넌 박사와 라이언, 제이크가 안쓰럽다는 생각과 함께 그녀의 주종목인 이전의 브레넌과 케시라익스로 돌아가는게 나을듯 싶기도 하다. (물론 이점은 나는 본즈를 한번도 접해보지 않았지만 작품이 나올때마다 '북 리포트 올해의 책'리스트에 올릴 정도면 작품성과 흥행성을 인정받았을 것이라고 생각되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