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더 리더 - 책 읽어주는 남자
베른하르트 슐링크 지음, 김재혁 옮김 / 이레 / 2004년 11월
평점 :
절판
책을 좋아하는 한사람으로써 책과 관련된 제목만으로도 새삼 설레이는 것은 당연한 감정이 아닐까 싶다. 더구나 이번에는 책을 읽어주는 남자란다. 더욱더 궁금하지 않을수 없다. 문득 어릴적 침대맡에 아버지가 읽어주시던 동화책과 낮은 아버지의 목소리를 자장가 삼아 잠들곤 하던 아스라한 추억을 떠오르게 하니 말이다. 물론 이제는 내가 누군가에게 책을 읽어주어야 할 나이가 되었지만 아주 가끔은 어릴적 아버지가 읽어주시던 그때가 그립기도 하는데 지금 아버지께 책 읽어달라고 부탁한다면 나를 이상한 애 취급할것은 자명할것이기에 참기로 한다.
누군가가 나에게 책 읽어달라고 부탁을 한다면 꽁무늬부터 빼느라 바쁠 것이다. 내 목소리가 타인의 귀에 쏙쏙 들어가는 낭낭한 목소리도 아닐뿐더러 괜시리 부끄러워서 제대로 읽질 못하는데 학창시절 교과서는 어떻게 읽었을까나. 물론 그때와는 입장차이가 있긴 하겠지만 그래도 간혹 어머니께서 책이 아니더라도 간단한 광고문구나 성경몇구절을 낭독하라고 할때도 부모님인데도 쑥쓰러워하는 나를 보면서 후에 나에 아이들에게는 과연 책 한권이라도 읽어줄수 있을런지........,
15살 소년 미하엘은 어느날 간염으로 인해 갑작스런 구토로 난감한 상황에 놓이게 되고 그에게 도움의 손길을 내민 여인은 한나라는 36살의 중년 여성이었다. 다음날 감사인사를 하기 위해 한나를 찾아가게 되고 같은 또래에서는 볼수 없는 원숙미와 신비로움을 간직한 한나에게 강하게 끌리게 되면서 그들의 책 읽어주기, 샤워, 사랑나누기, 그리고 나란히 누워있기라는 의식은 시작된다.
그러나 영원할것만 같던 의식은 홀연히 자취를 감추어버린 한나로 인해 종지부를 찍었고 미하엘에게는 한나를 향한 육체적 그리움과 더불어 그녀를 외면한것에 죄책감만이 자리잡게 되었다. 그리고 세월이 흘러 다시만난 미하엘과 한나. 하필 그곳은 법대생이 되어 나치 강제수용소와 관련된 사건을 참관하기 위해 찾아간 법정이었다. 그곳에서 한나는 수용소의 감시원이었던 과거사에 대한 피의자 신분으로 재판을 받던 중이었다. 그리고 그녀가 필사적으로 숨겨온 비밀을 눈치채게 되는데 그것은 왜 자신에게 책을 읽어달라고 했는지 왜 여행지에서 그의 뺨을 때렸는지 그녀가 글을 읽지도 쓰지도 못한다는 사실이다. 그녀는 그 비밀을 필사적으로 감추기 위해 끝끝내 모든 죄를 뒤집어 쓰고 종신형을 살게되고 여기에서 미하엘은 또 한가지의 자신 스스로에게 죄를 씌운다. 그 죄는 재판과정에서 한나를 위해 사실을 말할수 있었으나 침묵한 죄이다.
그후 미하엘은 한번의 방문도 편지도 쓰지 않고 한나에게 수감생활내내 녹음된 카세트테이프를 보냄으로써 '책 읽어주기'를 계속하였다. 그렇게 일정한 거리를 두고 멀어지지도 한발짝 다가서지도 않고 자신이 정한 테두리안에서 나름대로의 방식으로 그녀를 사랑하려 한다. 과연 사랑이라고 할수 있을까? 자신의 인생을 송두리째 가져간 그녀를 향한 도피는 아니었을까? 아니면 스스로에게 씌워진 죄에 대한 속죄는 아니었을까.
처음에는 거부감이 들었던 것도 사실이다. 그렇지 않은가 이제 갓 성에 눈을뜬 15세 소년을 제어하지는 못할망정 그와 동조하는 한나의 행동은 무책임하고 무절제한 모습이 아닐수 없었다. 차라리 15살이 아닌 25살과 46살이라면 속된말로 "능력좋다"라고나 할수 있지. 최근 미드SUV에 빠져있어서 더욱더 한나의 행동에 동조할수가 없었다. 그러나 이 작품의 밑바탕에는 남녀간의 사랑, 독일 나치의 시대사, 인간 내면의 근간이 자리잡고 있다. 한남자는 배반이라는 원죄를 덜기위해 , 한여인은 자신의 자존심을 지키기 위해, 한 나라는 자신들이 저지른 죄를 감추기 위해 또 다른 누군가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복잡 미묘한 양상으로 전개되어진다.
나에게 결코 쉬운 작품이 아니었다. 쉽다고 생각하고 읽다보면 어느새 그들의 내면심리를 이해할수가 없다가도 또 다른 한편으로는 이해가 되기도 하고 철학적인 문제를 맞닥들이게 되면 마치 눈앞에 벽이 가로막고 있는 것처럼 답답함을 동반하기도 하는 둥 완독을 하였지만 결코 다 읽었다고 할수 없는 개운치 않음을 동반한 작품이라고 할까. 그런데 기회가 되면 다시한번 읽어보고 싶기도 한 작품이기한 묘한 매력을 지닌 작품이다.
<더 리더 - 책 읽어주는 남자>를 완독할즈음에 동명 영화인 케이트 윈슬렛 주연의 영화에서 여우주연상 수상소식을 접하게 되었다. 책에서는 한나의 감정을 나로써는 이해될듯 하면서도 이해하지 못했던 예민하면서 신비롭고 복잡한 사연을 지닌 한나라는 캐릭터를 케이특 윈슬렛이 어떠한 표현했을지 무척이나 궁금하다. 탁월하였기에 오스카상을 받았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