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의 화원 1
이정명 지음 / 밀리언하우스 / 2007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김홍도", "신윤복" 아마 우리나라 사람치고 그 둘을 모르는 이는 별로 없을 것이다. 들어보았고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몇몇 작품만을 교과서나 책을 통해 보았을 뿐 그들의 생애 대해서는 전혀 알지 못한다는 것과 실제로 많이 알려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책이 내손에 놓여지자 마자 검색엔진을 돌려본다. 그러나 몇년에 태어났고 어떤 작품들이 있다는 것 빼곤 언제 생을 마감했는지는 어디에서도 찾아볼수 없었다.
그만큼 김홍도, 신윤복은 작품으로만 만나 보았고 베일속에 감추어진 인물들인 것이다.    아마 그래서 자꾸 시선이 갔는지도 모른다.

<바람의 화원> 팩션인줄은 알고 있었지만  전혀 팩션 같지 않은 것은 작가의 역량이 뛰어나기 때문이겠지만 박수를 보내고 싶은 정도이다. 걸출한 두 인물을 작품 한점한점을 보는것만으로 기뻤지만 나같이 그림에는 문외한인 사람도 아! 그렇구나 라고 감탄사를 연발할수있을 정도로 체계적이고 정확한 해설을 통해서 이해하기 쉬웠다. 거기다 일련의 사건들을 해결해 나가는 추리적인 요소까지 더해져서 재미는 두배가 된다. 

처음 만났을 때 그는 나의 제자였고, 나는 그의 스승이었다. 그러나 나는 그에게 배웠고, 그는 나를 가르쳤다. 우리는 서로 마음을 나눌 유일한 친구였고, 죽도록 이기고 싶은 경쟁자였고, 정욕으로 뜨겁게 불타는 연인어었고, 넘고 싶은 벽이었다. 죽어서도 넘지 못할 높은 벽.

<바람의 화원> 하늘아래 두 천재화가 이야기이다. 두 사람의 이야기지만 한사람을 향한 이야기이다. 바람같은 존재 신윤복.  자신을 바람에 흔들리는 가지라 했지만 한자리에서 비와 바람과 모진 풍파속에서도 굳건히 자신의 자리를 지키는 고목나무와 같은 김홍도.
스승과 제자이면서 경쟁자이고 친구였던 만큼이나 그들의 관계만큼이나 작품세계 또한 대조적이다.
홍도가 서민들의 삶을 그리고 그림안에 담백함이 묻어난다면 신윤복은 양반내들과 기생 그리고 여인들을 위주로 그렸다. 그리고 화려함을 가지고 있다.
마치 은은한 향취의 국화와 가시돋힌 강렬한 붉은장미와도 같다고나 할까. 

거기에 아버지 사도세자에 대한 그리움을 간직한 명석한 임금 정조와 그림에 대한 탁월한 감식안을 가지고 있지만 넘을수 없는 신분차이 때문에 돈과 재력으로 모든것을 감아쥐고 아슬아슬한 줄타기를 하고 있는 김조년까지. 얽히고 설킨 실타래와 같은 관계속에 하나하나 풀어지는 실가락은 그야말로 놀라움의 연속이다.

<바람의 화원>의 백미중에 백미는 국화와 장미의 그림 대결이다.                                    정조의 권유로 부터 시작된 그림대결은 단순히 그림대결이 아니다. 그당시 사회풍토, 양반들의 권위의식과 우월주의 등 작품 하나하나가 삶이 었고 사회상을 그대로 비추이는 거울이었다. 왠지 몇해전 재미있게 보았던 대장금이 생각이 난다.
수랏간 시절 음식대결을 하던 모습 같은 재료로 다른 음식을 만들어 내고 그 재료 하나하나에 깃든 정성과 맛과 풍미를 느끼는 것만 같다.

나는 개인적으로 단권을 좋아한다. 1권이 넘어서면 거기서 금새 지루함을 느껴버리는 습관이 있다. 그러나 십년전의 도화서 화원들의 죽음을 시발점으로 하여 꼬리에 꼬리를 무는 사건과 밝혀지는 진실에다 반전에 반전을 거듭하는 빠른 전개속에서 두권이라는 책을 읽어나가는 것은 어렵지 않았다. 오히려 너무 일찍 끝나버린건 아닌가 하는 아쉬움 까지 느낄정도 였다. 아쉬움 하나더 십년동안이나 숨겨져 왔던 진실이 어떤 계기없이 쉽사리 해결되어 버리는 것또한 아쉬움으로 남는다. 

어째서 내가 2006년을 뜨겁게 장식했던 <뿌리깊은 나무>를 읽지 않았는지 내가 왜 이정명작가를 이제야 만났는지 그래도 다행스러운 것은 지금이라도 만났다는 것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가섬 2007-09-14 08: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그림에 문외한이라서...
이 책 읽어보고 싶은데 시간이 기회를 안 주네요.
작가가 이정명이라는 사실을 님의 글을 읽고서야 알았는데
이 작가의 책이라면 시간을 만들어서 읽어야 될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