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 애무
에릭 포토리노 지음, 이상해 옮김 / 아르테 / 2008년 10월
평점 :
품절


아버지는 어머니가 될수 있는가?
 
저자는 붉은애무를 통해 아버지는 무엇이며, 어머니는 무엇인지 그리고 서로가 서로의 될수 있는가 라고 질문을 던진다.
나는 먼저 질문에 답을 하고 시작하려한다. 아버지가 어머니의 혹은 어머니가 아버지의 역할을  부재에 따른 보충일뿐 완벽하게 채운다는 것은 어렵다고 생각된다.  특히나 서로가 서로의 존재자체가 될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신문의 한자리를 차지하는 말들처럼 '어머니가 아버지 역할까지 하느라 고생하셨다고 이제는 그 고생에 보답할 차례라고'
이렇듯 대신일 뿐이다. 
 
<붉은 애무>는 바로 아버지와 어머니가 동시에 되려했던 한 사내의 비극을 그려내었다.
펠릭스는 자신의 전부였던 아들 콜랭을 뺑소니 사고로 인해 잃는 사고를 당했다.
사고의 고통을 가슴을 뭍어두고 일에만 열중하던 그에게 화재가 났다는 전화한통으로 현장으로 달려간 그가 접한 사실은 모자의 실종뿐이었다.
이일은 계기가 되어 가라앉아 있던 아들에 대한 기억이 다시금 수면위로 떠오르게 되고, 이야기는 아들을 잃은 상실감으로 하루하루를 무미건조하게 살아가는 펠릭스의 행보를 통해 과거 사고가 일어나기 전까지의 아들과의 추억을 상기시키는 과정을  서로 교차시켜가면서 진행한다.
 

펠릭스는 홀어머니 밑에서 아버지의 존재를 모르고 자라났고. 홀연히 떠나버린 마리로 인해 콜랭은 어머니의 존재를 잃어버렸다.
그래서 였을까 . 콜랭이 겪게될 고통을 대물림해주고 싶지 않은 마음에 엄마의 빈자리를 메우고자 결심하면서 낮에는 아버지로써 밤에는 어머니로의 영역을 교대하면서 급기야는  아빠인지 엄마인지 모를 정체성에 혼란을 겪으면서 위태롭게 한편으로 만족스럽게 경계를 넘나들게 되지만
갑작스럽게 귀환한 마리로 인해 한순간 제자리를 찾게되고 엄마였던 펠릭스는  이세상에서 없어져야할 존재가 되어버린다. 
아빠로 50%, 엄마로 50%, 100%의 사랑을 콜랭에게 주었던 펠릭스로써는 엄마의 사랑 50%의 상실감은 회복이 불가능하게 되어버린 상태였고 콜랭의 거부는 촉매제일 뿐이었다.
" 너무 큰 사랑이 아이를 죽일수도 있다는 거 아세요, 마레스코씨?
펠릭스는 사랑을 하는 방법에서 사랑을 주는 방법에서 미숙아였던 것이다. 결국은 콜랭에 대한 과도한 사랑이 재앙을 가져오는 결과를 낳게 된 것이다. 


이책을 읽는 많은 독자들은 대단한 반전이라고들  하지만 이미 내용의 줄거리를 알고 있던 나에게 새삼스레 반전으로 다가오지는 않았다.
단순히 반전의 대단함만을 생각한다면 괜찮은 한편의 미스터리 소설이다. 그러나 반전속에 숨겨진 부재로 인한 결핍, 상실로 인한 허무함, 정체성의 혼란등 인간의 내면 또한 섬세하면서 탁월하게 그려내었다는 것이다.
저자 에릭 포토리노는 이 소설에서 기존질서에 대한 위반을 얘기하고 싶었다고 한다.
그래서 슬프고 허무하다. 
철저하게 작가의 의도대로 등장인물 한사람 한사람이 결핍된 자들만으로 응집되어 있을 뿐인지라 한사람이라도 펠릭스 옆에서 제대로 된 사랑을 보여주었다면 비극은 없었을테니 말이다.
너무나 화창한 날씨의 그날이면 따스한을 맛보았을텐데 스산한 초겨울 참바람을 느끼게 하는 소설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