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영화마을 언어학교 - 영화보다 재미있는 언어학 강의
강범모 지음 / 동아시아 / 2003년 4월
평점 :
절판
"언어학자의 영화 속 언어 보기"가 주요한 내용인 책이다.
언어학이라는 게 실제로 참 어려운 학문인 것인데 좀 쉽게 볼 수 있을까 하여 읽게 된 책인데 언어학이 이런거구나 하는 생각을 했다.
누구나 직업을 가진 사람이라면 은연중에 자신의 직업을 드러내게 된다. 흔히 말하는 직업병.
책을 읽으면서 남들은 다 영화 속에 빠져 있을 때도 자신의 일과 관련하여 생각한다는 지은이 이야기 속에서 그 직업병을 느낄 수 있었다.
진짜 신기하게 느꼈던 것은 외계인 말이 대충 만들어진 게 아니라 나름대로 규칙을 가지고 계산되어 만들어졌다는 사실과 연구하는 곳이 있다는 것이 무척 신기하게 느껴졌다.
우리 같았음 어땠을까 하는 생각도 같이 하면서.
또한 번역의 어려움도 아주 충분히 알 수 있게 되었다. 그저 막연하게 힘들겠지 라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으로 왜, 어떤 이유로 힘든 것인 지, 왜 번역을 정말 잘 해야 하는 것인 지를 잘 알게 되었다.
그리고 우리 말과 글에 대한 자부심도 더욱더 강해졌다.
이런 훌륭한 글을 만들어 주신 세종대왕과 그를 도운 많은 우리 조상님들을 더욱더 존경하고 그 정신을 배워야 한다는 생각이 아주 찐~하게 다가왔다.
새로운 낱말들이 나올 때 그냥 원어를 한글로 써서 사용할 것이 아니라 우리 글로 잘 만들어 사용하는 일이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어떤 이륻들은 세계화 시대에 뭐 새로 만드느냐 어차피 그 단어를 쓰는 게 더 편할텐데 라고 하는 데 이런 생각이 우리 글과 말을 발전시키는 데 장애 요소라고 생각한다. 언제나 우리 것을 아끼고 보살피고 살려서 발전시켜야 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다시금 다짐하게 되는 것이 우리 글과 말을 잘 살려 써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는 우리답게 세계 속에 우뚝 서는 우리를 위해. 우리 글과 말은 가장 소중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