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열네 살이 어때서? - 노경실 작가의 최초의 성장소설
노경실 지음 / 홍익 / 2010년 9월
평점 :
절판
어린이와 어른 사이 어디쯤에선가 바람 많은 날들을 보내고 있을 사춘기 소녀와 소년이 떠오른다. 어쩌면 청소년으로 지칭되는 본격적인 나이 열넷은 초등학교 시절의 유치함을 벗고 조금씩 성장하며 철이 나는 모습을 기대하는 나이인지도 모른다. 별 다른 준비 없이 세월 따라 6학년이 되었고 때가 되어 초등학교를 졸업하였을 뿐인데 기성세대들은 애처럼 행동해서는 안 된다고 말한다. 열네 살 연주는 중학교에 갓 입학하고 초등학교 생활과는 달리 획일화된 상황과 달라진 환경에 적응하느라 애를 먹고 지낸다. 열세 살과 열네 살은 고작 한 살 차이밖에 나지 않지만 중학생이 되어 감내하여야 할 일들은 많이도 늘었다. 생떼를 쓰고 어리광을 부리기도 했던 초등학교 시절과는 달리 스스로 해결해야 할 숙제가 많아져 여유를 부리며 지낼 틈이 쉬이 나지 않았다.
고작 열네 살밖에 먹지 않은 연주는 지극히 평범한 가정환경과 외모, 보통의 능력밖에 지니지 않았지만 가수의 꿈을 꾸면서 뮤지션의 길을 걷기 위해 기회를 놓치지 않으려고 애쓴다. 한창 때는 꿈이 많았지만 그 꿈은 어느 새 연기처럼 사라져 버리고 전업주부로 가정을 오롯이 지켜내려는 중년의 엄마는 열네 살 연주에게 자신과는 다른 삶을 살기 위해서라도 지금 이 순간을 허비하지 말라는 말을 잊지 않았다. 하지만 연주는 엄마가 이끄는 대로 따라가는 순응적인 아이의 길을 따를 수는 없다고 판단했을 것이다. 그녀 말대로 기껏 14년을 하루로 환산해 겨우 5,110일 살았을 뿐인데 부모들은 너무 많은 것을 강요하며 자녀의 가능성을 사장해 왔는지도 모른다. 방과 후면 학원에서 다시 강의를 들으며 점점 자신의 꿈을 찾는 시간은 줄어들어 안타까움이 더한 날 연주는 민지가 전해 준 정보대로 오디션 장으로 향했다.
엄마가 지리산으로 야유회를 떠난 날 연주는 학원을 빼 먹고 가수가 되기 위한 단계를 차근차근히 밟기로 작정하고 경연장으로 오디션을 보러 갔다. 비록 오디션에서 불합격이라는 불명예를 안았지만 좌절하지 않고 다시 일어설 준비를 위한 지렛대로 삼기로 했다. 부모의 이혼으로 외할머니, 엄마와 함께 사는 민지는 환경에 굴하지 않는 당당함을 보인다. 살면서 뜻하지 않는 일로 부부가 이혼할 수도 있다고 여기며 자신이 선택하고 결정할 수 없는 일에는 현실을 받아들여 긍정적으로 무장하고 생활하는 모습은 주눅 들지 않는 열네 살의 당당함으로 비춰진다. 연주는 매사에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행동파 민지와 대화를 나누며 힘겨운 학교생활에 활기를 불어넣으며 지냈다.
마음의 병을 앓아 미국으로 치료를 하러 간다는 지섭 오빠의 돌연한 소식은 지금껏 감지하지 못했던 연주의 마음을 흔들어 놓고 말았다. 이제 떠나면 다시는 못 볼 것만 같은 생각에 연주의 머릿속에는 지섭 오빠로 가득 차 올랐다. 예전에 미처 느껴보지 못한 감정 앞에 당혹스러워하는 연주를 보고 민지는 첫사랑의 열병을 앓고 있다며 친구를 놀리기도 하지만 왠지 모를 아련함이 자꾸만 연주의 가슴에 크게 남았다. 이별의 시간을 앞두고 엄마들과 함께 한 모임에서 서로 기억에 남을 만한 선물을 주고받으며 이별의식을 치렀다. 연주는 지섭이 영어 발표 대회에서 부상으로 받은 파란 시계를 들고 와 째깍거리는 초침 소리에 잠 못 이루며 그 소리에 번민하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연주는 또 다른 생각에 귀착되었다.
스스로 아무것도 하지 않고 있는 이 순간도 시간은 어김없이 흘러 세상은 변화해 감을 강조하던 담임선생님의 말을 떠올렸다. 시간을 허비하지 말고 매 순간 최선을 다하라는 말로 비춰진 선생님 말은 자기만의 색깔을 찾느라 고심하는 시간도 낭비처럼 치부하며 규칙적인 틀을 벗어나지 말라고 당부한다. 하지만 연주는 이런저런 일로 시간을 허비해서는 안 된다는 어른들의 말대로 따르기에는 이제 겨우 열네 살인 연주에게는 가혹한 부탁일는지도 모른다. 자신만의 삶의 길을 찾아가는 과정이 조금 더디고 힘들더라도 자신만의 빛깔과 향기로 인생을 설계해 나가길 바란다. 이제 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열네 살이 될 아들과 딸 같은 연주를 포함한 모든 중학생 새내기들의 꿈에 날개를 달아주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