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외톨이 - 제8회 푸른문학상 수상 청소년소설집 ㅣ 푸른도서관 39
김인해 외 지음 / 푸른책들 / 2010년 11월
평점 :
절판
갈림길에 서서 방향을 잃고 어디로 가야할 지 갈등하는 순간에 놓일 때 지금 자신이 선택한 길이 잘한 것인지 자신할 수 없을 때가 늘어날수록 삶의 고뇌는 깊이 자리해 번민의 시간을 보낼 때가 종종 있다. 얼굴을 내밀고 있는 성장 소설을 읽다 보면 예전에 미처 생각지 못했던 일상에 물음을 던지고 돌이켜 생각하게 된다. 때때로 변화하는 청소년들과 함께 생활하며 그들의 생각이 기성세대인 자신과 많이도 다름을 인정하면서도 그들의 생각을 쉽게 수용할 수 없는 것은 어쩌면 내 안에 배인 습성에서 쉽게 벗어날 수 없음이리라. 어느 세대에도 쉽게 끼이지 못하는 주변인이라 불리는 아이들은 자신을 둘러싼 일상의 변화에 혼란을 겪으며 정체성에 회의하며 조금씩 성장해가는 자신을 맞닥뜨리며 살아가고 있다.
학교에서나 다른 단체 생활에서 존재감 없이 외톨이로 살아 본 적이 있는 아이들은 쉽게 공감하며 읽을 만한 <<외톨이>> 속 주인공 나는 너라 불리는 친구와의 관계를 새롭게 구성하며 인간관계의 단면을 그려내고 있다. 자신의 이름이 번연히 있음에도 불구하고 별명으로 불리며 생활하는 아이들 속에 존재감을 회복하는 일이 수월치 않았다. 키다리 재민이의 서슬에 눌려 자신의 생각을 제대로 말하지 못하고 지내던 샤프는 재민이 회장 직 사퇴를 계기로 자신의 입장을 전하기 위해 힘으로 그를 제압하고 말았다. 그동안 존재감 없이 키다리 옆에 기생하던 샤프가 작은 영웅으로 떠오르는 순간 그는 키다리가 그토록 숨기고 싶어 했던 새엄마와 살고 있다는 사실을 폭로하여 또 다른 외톨이 신세가 되고 말 듯한 인상을 더했다.
사랑을 나누며 살아가는 일은 삭막한 세상 마음에 희망의 꽃을 피우는 일 중 하나이다. 성적지상주의에 사로잡혀 학교 공부만을 파고드는 병폐를 벗기 위해 특별활동으로 봉사 활동 시간을 누적해 주고 있다. <<캐모마일 차 마실래?>>에서는 수동적으로 학교봉사 시간을 채우기 위해 시설에 온 주인공이 장애인들에게 대한 편견에서 벗어나 차별의식 없이 서로의 다름을 받아들이며 조화로운 생활로 이끄는 구성이 돋보인다. 봉사 활동 실적에 관심이 있는 석이는 교통사고로 후천적 장애를 입은 왕재수 지연이와 불화하다 사랑의 하모니를 이뤄내는 과정이 아름다운 풍경으로 비춰진다. 몸이 불편한 이들이 사용하는 화장실은 덕지덕지 붙은 오염으로 심한 악취가 나고 메스꺼움이 더해 청소하는 일이 힘들었지만 석이는 성찰하는 가운데 조금씩 닫힌 마음을 열어 갔다. 리듬악기 연주회가 열리는 날 진정한 봉사를 나가 장애인 수용 시설에서 생활하는 이들과 교감하며 성장해가는 모습은 경험 속에 체화하는 일의 소중함을 일깨워 준다.
때 이른 추위로 겨울나기가 녹록치 않은 이들이 떠올라 마음이 무겁기만 하다. 제대로 된 난방 시설도 갖추지 못하고 냉기와 싸우며 혹독한 추위를 견뎌야 하는 이들은 한파 주의보라는 말만 들어도 섬뜩할 듯하다. <<한파주의보>>는 아버지의 재혼으로 선택의 여지없이 가정의 구성원으로 새로운 관계를 형성해가는 과정을 다루고 있다. 설을 쇠러 간 사이 한파 속에 수도관이 얼어 물 공급이 끊긴 상태에 물을 사러 간 사이 주인공이 불량스런 청소년들에게 당할 위기에서 새엄마가 그를 도와줘 냉랭한 기운을 회복하여 가족애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소 작위적인 구성이지만 서로에게 냉담했던 이들이 서로 화해하는 구도를 통해 인간관계 회복을 위해 노력해야 할 가치가 있음을 표현했다.
각기 다른 길을 걸으며 일상을 사는 청소년들의 모습은 단편 소설 속 주인공으로 한 단면을 그려내고 있다. 수많은 선택의 기로에 서서 갈등하고 번민할 때 조금만 달리 생각하면 삶의 이정표가 될 만한 일들은 눈에 띈다. 넉넉한 마음으로 인생을 살기보다는 개인주의적 성향을 보이며 자신만을 챙기는 아이들 모습에 오늘도 화를 내며 훈계를 잊지 않았지만 때로는 단편 소설 한 편이 더 의미 있을 때가 있다. 허브 향 가득한 캐모마일 차를 지연이와 석이 함께 마시며 교감하는 것처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