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이 함께 풀어야 할 역사, 관동대학살
유영승 지음, 무라야마 도시오 옮김, 시민모임 독립 기획 / 푸른역사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개인의 역사든 민족의 역사든 인류가 존재하는 한 시공간을 넘나들며 쉼 없이 기록된다. 지금으로부터 100년 전 192391일 오전 1158분 대지진이 관동 지역을 덮쳤다. 진도 7.9의 대지진으로 바람을 탄 화염은 도시 전체를 불태우며 10만 명 이상이 목숨을 잃었다. 대지진으로 목숨을 잃은 천재(天災) 이면에는 육천 명에 달하는 조선인이 학살된 잔혹한 살육 현장을 목격한 증언이 쏟아졌다. 산술적인 계산에 포함되지 않은 조선인의 수습되지 않은 유골뿐 아니라 피해자의 신원 확인조차 되지 않은 어두운 역사를 재조명한 필자를 중심으로 한 관동대학살은 역사의 그림자로 남아 있다.


  일본당국은 대지진으로 혼란에 빠진 상황에 폐허를 방불케 하는 삶의 터전을 복구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기보다는 조선인 폭동 등의 유언비어를 살포하며 조선인들을 극악무도한 방법으로 살육하였다. '조선인이 우물에 독을 탔다', '조선인이 폭동을 일으켜 일본인을 습격하고 있다'는 날조된 유언비어는 바람을 타는 불길처럼 삽시간에 퍼졌다. 조선인 탄압을 위하여 군대와 경찰이 동원되었고, 자경단이란 조직이 결성되어 조선인 대학살은 걷잡을 수 없이 퍼져 나갔다. 반봉건ㆍ반외세를 외친 동학농민군과 항일 운동에 참여한 이들, 의병 등을 상대로 총칼을 겨눴던 재향군인들을 중심으로 조직된 자경단이었다. 단지 '조선인'이라는 이유만으로 참혹한 살육행위를 자행하였고, 조선인을 죽인 일을 무용담처럼 말하는 이들이 늘어났다.


  작가는 글 쓰는 일을 숙명으로 알고 근대 일본이 겪은 대지진을 진재 문학이라는 새로운 문학 양식을 만들어 당시의 상황을 사실적으로 표현하였다. 작가의 일기와 수기에는 지진의 경험과 보고 들은 학살의 기록을 주로 드러냈다. 대지진에서 살아남아 학살을 피한 조선인은 재난 현장을 떠나 피신하였지만, 그들이 머문 피신처에서도 유언비어는 난무하여 조선인의 박해는 극심하였다. 작가들은 표현의 규제와 검열 문제로 작가들이 일본 당국을 경계한 탓에 도쿄에 계엄령이 내려진 상황에서 당국에 적극적으로 저항하지 않은 한계를 보였다. 보도 규제가 해제된 후에도 언론에서는 학살은 불령조선인의 폭동에 대한 자위적 행동이었다는 아전인수식 해석을 서슴지 않았다.


  일본의 가해와 학살을 피해 고국으로 돌아가려는 조선인들이 연락선을 타기 위하여 시모노세키로 몰려들자 학살 사건이 조선에 알려지는 것을 우려한 총독부는 부산에 구호사무소를 설치했다. 총독부는 구호사무소에 귀환한 조선인들을 수용하여 학살 사건을 발설하는 것을 막았다. 천신만고 끝에 살아남은 조선인들은 아이들이 뛰어가는 소리만 들어도 공포에 시달리며 학살의 기억에 갇혀 일상이 쉽지 않음을 절감한다.


  ‘일 엔 오십 전. 십 엔 오십 전이라며 죽창에 찔려 죽어간 조선인들의 참혹한 주검을 목격한 이들은 환각에 시달리며 정신적 피해를 호소한다. 존엄한 생명을 살육하기 위하여 유언비어를 살포하고, 날조된 의견을 들어 폭력과 살인을 정당화하는 일은 근절되어야 한다. 인류의 평화를 위하고 공존하는 세상을 위하여 한일 양국은 100년 전 관동에서 일어난 일본의 조선인 학살 이면의 진실을 밝히는 데 역사적 소명을 다해야 한다. 지금은 가해 사실을 은폐하여 기억 저편으로 사장하려는 태도에서 벗어나 진실과 마주하는 용기를 내야 할 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