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강원국의 어른답게 말합니다 - 품격 있는 삶을 위한 최소한의 말공부
강원국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21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말 많은 집은 장맛도 쓰다. 가루는 칠수록 고와지고, 말은 할수록 거칠어진다.’
는 속담은 길게 말하는 것을 삼가고 많이 말하는 것을 경계하라는 뜻을 담고 있다. 타인의 말에 귀를 기울이기보다는 제각각 말하는 주장 일색으로 치닫는 말들의 홍수 시대에 침묵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고 여긴다. 경험이 쌓인 선배는 후배들을 가르친다는 명분을 앞세워 타인이 듣고 싶지 않은 말을 늘어놓는다. 이른 아침 출근해 책을 읽다 보면 직원들이 출근하면서부터 교무실은 잡담으로 채워진다. 누군가가 한마디를 꺼내면 한 사람이 끼어들어 다른 말을 이어 붙이며 언제 끝날지 모를 이야기들이 지속된다. 자기중심적으로 늘어놓는 말들에 주워 담을 말이 없다는 생각은 인욕을 부른다. 개방적인 공간에서는 듣고 싶지 않아도 들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 연출되니 서로 말수를 줄이는 수밖에 방법은 없어 보인다.
제 앞가림을 잘하고 언행에 책임을 질 줄 아는 사람으로 품위 있게 자리하기 쉽지 않은 때, 저자의 ‘어른답게 말합니다’를 읽으며 자신을 다독인다. 연설문 첨삭지도를 받으며 말을 공부했다는 저자의 경험담은 말 공부로 성장할 자신을 가늠하게 만든다. 어른답게 말하기 위해서는 그 사람의 말에 배울 점이 있어야 하고, 말을 할 때는 감정을 절제하여 나답게 말해야 한다. 자신에 대한 믿음으로 말하기에 대한 두려움 없이 중심을 바로 잡아 자기 생각을 잘 길어 올리는 말로 남들에게 선한 영향을 줄 수 있어야 한다. 어떤 말을 듣다 보면 장시간 말을 했지만 무슨 말을 하는지 알아듣기 힘든 경우가 왕왕 있다. 오락가락하는 말로 상대의 정신을 혼미하게 만들지 않기 위해서라도 말 공부는 지속되어야 한다.
조직 구성원들과 크고 작은 현안을 해결하기 위하여 협의회를 갖지만, 문제의 핵심에서 벗어난 말들에 회의적일 때가 많다. 회의에 대해 회의하지 말자고 회의장으로 들어서지만 몇 사람의 말하기 독점으로 석연치 않은 감정만 보태는 경우가 허다하다. 회의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보다는 회의는 또 다른 학습의 장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기억해야겠다. 회의 참석자들은 서로의 의견을 비교하며 자신의 현주소를 파악할 수 있는 창구로 회의의 의미를 찾는 것이 좋을 듯하다. 함께 모여 일하다 보면 학습이 일어날 테고, 학습 경연을 위해 구성원들을 경쟁시키는 장으로 자리할 수도 있는 회의이다. 말할 기회를 만들어 주도면밀하게 준비하여 회의에 참석하면 어떤 상관도 쉽게 대할 수가 없다.
‘어제 뿌린 말의 씨앗이 오늘의 나를 만들고, 오늘 뿌린 말의 씨앗이 내일의 나를 만든다.’
는 말에서 말투는 한 사람의 인격을 담는 그릇이다. 말수를 줄여 타인이 듣고 싶은 는 것이 교감하며 말하기를 한 조직의 리더는 자기만의 견해로 해석하는 관점이 필요하다. 상황에 맞는 말로 공감을 끌어내는 말하기로 필요 이상의 말을 줄이며 말조심하는 실천은 품위 있게 나이 듦에 챙겨야 할 덕목이다. 깊이 사유하고 들여다보지 않는 말은 자신에게 돌아옴을 잊지 않아야 한다. 따뜻함은 없고 유능함만 있는 말재주를 꾀하기보다는 유능함과 따뜻함을 겸비한 말하기로 언어생활을 가꿔 나가는 길은 어른답게 말하는 여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