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이라는 착각 - 얽매이고 상처받은 가족을 치유하는 마음 기술
이호선 지음 / 유노라이프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1세기로 오면서 다양한 가족 형태가 생겨났지만 일반적인 가정의 가족은 유전적 조합으로 이뤄진 형태이다. 태어나 살다 보니 맏이로 집안일을 도맡아 지내야 했다. 십 리를 걸어다니며 아침을 준비하여 밥상을 차리고 설거지하며 동생을 돌보는 일은 내 몫이었다. 생계를 전담하던 홀어머니를 대신해 아홉 살 때부터 시작된 집안일은 50대 중반을 넘긴 지금도 계속 된다.


  선택보다는 유전적 조합으로 이뤄진 가정의 가족을 떠올려 본다. 애증의 그림자를 짙게 드리운 채 갈등 요소들이 도처에 자리해 불만을 터뜨리지만 현실은 달라지지 않는다. 서로 다른 자아가 만나 각자의 몫을 드러내며 욕심을 버리지 못한 채 욕구를 채우려는 이기적 발상을 보인다. 맞벌이하면서 육아를 전적으로 책임져야 했던 30년 전이 떠오른다. 공동 육아를 그렇게 부르짖어도 자신이 몸 담고 있는 직장이 우선이었고, 연계한 친목 모임이 우선이었다. 


  결혼은 미친 짓이라는 말이 절로 나올 정도로 힘들었던 시간을 뒤로 하고 지나온 시간을 반추하니 모든 것이 허허롭다. 결혼 면허라는 소설에서 부르짖듯 결혼을 위한 자격증 취득이 우선적으로 이뤄져 공동 육아에 나설 용기가 없는 사람들은 결혼을 안 하는 것이 맞을 듯하다. 출생률이 1명 이하로 떨어진 우리나라 인구 정책에는 반하지만.........30대 중반에 결혼한 제자들은 하나같이 딩크로 살겠다는데 그 이유가 바로 자녀 양육 문제에 있다고 하였다. 어렵게 가정을 이뤄 자녀들을 제대로 키울 자신이 없어 자신 같은 부당함을 겪게 하고 싶지 않다는 것이 이유였다. 


   나와는 다른 사람이 만나 가정을 이뤄 가족으로 살아가는 일이 쉽지 않다. 문화적 차이를 포함한 환경적 차이는 친인척을 포함한 가족까지 아우르는 일들을 병행하기 힘들다. 엄연히 가른 개체인 구성원인데 가족이라는 이유로 타인의 생각을 저버린 채 어떤 일을 강요하는 일은 생기지 않아야 한다. 가족이라라고 편하게 생각하여 그것도 못해 주냐고 말하기 전에 상대의 입장에서 그 사람을 바라볼 수 있어야 한다. 내가 아닌 타인인 제3자로 여기며 적정한 ‘거리 두기’는 필수이다. 내리 사랑이라는 명분으로 의존적인 자식으로 키우는 것은 아닌지 살펴봐야 한다. 자식을 믿으며 자립할 능력을 길러주는 일은 더더욱 필요한 때이다. 나이 마흔이 넘어도 부모에게 기생하는 자식들이 많기 때문이다.


  여고 동창으로 만나 지금껏 우정을 쌓고 지내는 친구와는 같은 길을 걷는 교육 동지이다.

초드학교 보건교사로 일하는 친구는 내 뜻대로 안 살아지는 것이 인생이라며 정퇴냐 명퇴냐를 두고 서로 대화할 때가 있다. 

 "친구야, 나는 교직에서 물러날 수 있을 때 나올 수 있게 자식이 내 발목을 안 잡아야 할 텐데......옆에 선생님 보면 명퇴를 하고 싶어도 자식 때문에 못하고 스트레스로 힘든 것 보면 자식이 무섭더라고......."

 라는 친구의 말에 공감하며 자식들 역시 냉정한 사랑을 베풀며 적정 거리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가족이라고 너무 많이 관여하여 지치는 관계가 아닌 서로 성장하는 건강한 관계 회복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한 번뿐인 인생 하고 싶은 일하면서 노년을 보낼 수 있게 가족이라는 테두리에서 벗어나 홀로 걸어갈 남은 생을 생각하니 지금에 충실한 삶에 답이 있을 뿐이다. 오지 않은 미래 당겨 걱정하지 말고, 이미 지나가버린 시간 끌어다 후회하지 말고 현재에 충실하하는 선지식의 감로법을 새기며 가족을 떠올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