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인트 (반양장) - 제12회 창비청소년문학상 수상작 창비청소년문학 89
이희영 지음 / 창비 / 201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핏줄로 굳어진 전통적 가족의 의미를 벗어나 공동체로서 가족의 범위를 확대한 어느 가족의 끈끈한 유대가 상영관을 꽉 채웠다. 혈연으로 맺어진 가족 구성원은 아니지만 그들만의 생활방식으로 가정을 이루고 살다 흩어지기도 하지만 서로에게 힘을 주는 관계로 이어진다. 급변하는 시대에 등장하는 가족의 형태도 다양하게 분화되고 있다. 연애는 필수이고 결혼은 선택이라는 유행가 가사처럼 비혼을 선언하는 이들, 부부가 결혼해도 자식은 낳지 않는 이들, 자식을 낳았지만 양육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는 이들이 늘고 있다. 출산율 저하와 고령 인구 증가에 따른 인구 절벽 시대에 국가에서 센터를 설립해 아이를 키워 주는 양육 공동체(NC센터)’에서 자녀 입양을 위한 부모 면접 중심으로 이야기는 전개된다.

 

   ‘너희 모두에게 좋은 부모를 소개해 주는 것이 우리의 의무다.’

   방과 욕실을 제외한 곳곳에 감시카메라가 설치되어 센터 아이들이 문제를 일으키면 벌점으로 기록되어 부모 면접권 자체를 박탈하며 인성 함양을 도모하였다. 좋은 부모를 만나려면 먼저 좋은 아이가 되어야 한다는 센터 담당자들은 규율과 통제로 아이들을 관리하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존재하지만 센터의 실적을 올리는 일에는 열을 내지 않는다. 부모 면접을 보러 온 사람들이 어떤지 센터 아이에게 알려 줘야 했다. 부모 인터뷰를 통해 아이와 부모가 행복한 가족으로 자리할 수 있는지 살피는 일은 입양 가정을 선택할 아이의 몫이다. 부모 면접 응시원서를 낸 부모의 서류를 살핀 뒤 부모를 서너 번 만나 인터뷰를 하고 한 달 합숙하며 가족으로 자리할 수 있을지 관찰하고 살핀다.

 

   폭군 아버지 밑에서 자란 박은 NC센터의 센터 장으로 어려운 아이들이 가정이라는 울타리를 멋지게 이뤄 남다른 경험 속에 자신의 빛깔을 찾기를 바랐다. 박은 죽음을 앞둔 아버지의 소식을 접하고는 번민에 휩싸였다. 세상에서 없어지기를 바랐던 아버지를 용서할 수 없었지만 죽음을 목전에 둔 아버지를 용서함으로써 자기 번민에서 조금씩 벗어날 수 있었다. 센터 자리를 비운 적이 없던 박이 심경을 정리하느라 센터를 비우면서 그의 후배 최, 제누, 아키와 노아는 현상 이면의 본질을 파악하는 일이 쉽지 않음을 알아차린다. 그동안 봐왔던 일들을 조합하여 한 사람을 이해하고 있다고 여기며 섣불리 그 사람을 판단하며 지내온 것은 아닌지 돌아보게 되었다.

 

    17세 소년 제누는 사려 깊은 이로 어른보다 더 어른스러운 언행으로 센터에서 생활하는 아이들의 본이 되었다. 성년이 되기 전 센터를 떠나 생활해야 하는 부담은 있지만 제누는 부모 선택에 신중하였다. 부모 페인트에 응하지 않았던 그는 하나와 해오름부부를 보고 자발적으로 페인트를 신청하고 부모 면접을 보았지만 부부에게 합격점을 주지 않았다. 아이 입양으로 얻을 경제적인 혜택을 앞세우는 이들과는 다른 인간적인 면이 돋보였지만 부모 면접은 결렬되어 센터를 떠나지 못하였다. 제누는 그를 친형처럼 따르는 아키와 센터에서의 삶을 공유하며 아무도 스스로를 차별하지 않는 곳에서 새로운 삶을 살 수 있기를 서로 희망했다.

 

   선택할 여지도 없이 한 가정에 태어나 경제적인 자립으로 독립적인 생활이 가능할 때까지 자식을 뒷바라지하며 부모 됨됨이에 대한 생각은 자주 하지 못하였다. 애비 없는 자식이라는 말을 들으면 안 된다는 말을 명언처럼 새기며 스스로를 옥죄며 지냈던 청소년기, 어머니는 엄한 가르침으로 남매를 길렀다. 남들에게 손가락질 안 받고 지내야 한다며 딸의 마음이 어떤지 헤아리며 사춘기 방황을 달래주기는커녕 집안일을 잘하는 옆집 아이처럼 밥상을 잘 차라기를 바랐다. 남몰래 뒤란으로 가서 눈물을 훔치며 왜 이런 집에 태어나 고생이냐며 신세를 한탄하곤 했다.

 

   사회 초년생으로 모든 것이 낯설고 익숙지 않은 때 만난 사람과 짧은 연애를 하고 결혼하여 딸과 아들의 어머니로 살아온 세월이 서른 해가 가깝지만 여전히 어머니 역할은 쉽지 않다. 한 고비를 지나면 또 맞닥뜨리게 되는 벽들이 있어 몰랐던 것들을 끊임없이 해결하며 깨닫는 여정에 삶이 존재하는지도 모른다. 자녀가 타인의 잣대에 휘둘리지 않을 자신으로 오롯한 인생을 살아가는 일을 지켜보는 것만으로도 부모는 기쁠 것이다. 전통적인 가족 형태를 벗어나 또 다른 가족으로 서로 유대하며 공동체적 삶을 살아가기까지 부모 면접은 여러 유형으로 존속될 것이다. 3학년 아이들과 함께 소설을 읽으며 지금의 가족은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앞으로 가족을 이룬다면 어떤 가족이었으면 하는지 고민하던 시간은 불쑥불쑥 떠올라 삶의 위로가 되었으면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