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상의 말 - 파리에서, 밥을 짓다 글을 지었다
목수정 지음 / 책밥상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바이러스 감염 예방을 위한 모임 규제로 여럿과 함께 밥을 나누는 시간이 줄어들고 홀로 밥을 먹는 시간이 늘어난다. 신 김치를 잘게 썰어 볶은 데에 식은 밥 한 덩이를 얹어 볶음밥을 만들어 먹는데 고향 친구가 안부를 묻는다. 친구는 무탈하게 잘 지내고 있는 거냐며 주말이면 집에 박혀 지내느라 갑갑하지만 만남을 준비하며 감염병이 진정 국면으로 돌아서면 밥 한 끼 하자고 전한다. 친구는 이승에서 다시 만날 수 없는 엄마가 해주던 제철 음식을 떠올리며 추억을 곱씹는다. 아궁이에 불을 지펴 밥을 짓던 시절, 솥에 김이 오르기 시작하면 호박잎과 들깻잎, 고추 서너 개를 밥 위에 쪄서 양념장에 싸 먹던 담박함은 추억의 맛이다. 엄마가 해주던 추억이 집밥을 그리워하게 된다.

 

   남이 해주는 밥이 최고 맛있는 밥이라는 우스갯소리가 있을 정도로 요리하는 수고는 음식에 녹아 있다. 가족 모임이 있을 때 번거롭지 않게 외식을 하자고 해도 여든이 가까운 어머니는 손수 음식을 만든다. 차밭에서 김을 매다가도 딸이 간다면 집으로 와 딸이 좋아하는 찰밥을 찌고 들깨를 빻아 체에 걸러 들깨탕을 준비한다. 어머니는 농사일로 고단한 일상인데도 누군가가 즐겨 먹는 음식을 준비하는 과정을 귀찮아하지 않았다. 저자는 추억 창고에 갈무리해 둔 엄마와 외할머니의 밥상을 떠올리며 프랑스 파리에서 밥을 짓고 음식을 함께 나누는 과정 속 건강한 생존을 위한 단상들을 글에 담았다.

 

   ‘요리는 각기 다른 문명이 음식으로 만나 서로의 온기와 에너지를 몸 안에 전달하는 방식이다.’

   밥 짓기가 쌓여 글이 되고, 글쓰기가 쌓여 나와 가족의 밥이 되는 순환은 건강을 먼저 챙기는 모성적 자아가 중심에 자리한다. 자연이 주는 것들로 요리한 음식으로 축제를 만드는 할머니와 본질로만 존재하려 했던 어머니의 음식에 대한 추억은 따스함을 전한다. 아버지를 여의고 육개장을 먹으며 위로를 받았고, 몸에 좋은 과일과 와인을 끓여 낸 뱅쇼를 마시며 치유 받은 경험은 열정적으로 살아갈 힘을 불어넣어 주었다.

 

   새로운 맛을 짓는 창조적 공간에서 요리사가 빚는 음식에 담긴 온기와 사랑을 함께 섭취하며 우리는 성장해 왔다. 한량없는 가사노동의 공간인 부엌에서 밥을 짓고 국을 끓이며 음식이 식기 전에 집중하며 밥을 먹도록 거드는 밥상의 말은 건강한 나눔의 언어다. 밥상에 둘러앉은 이들이 평등한 위치에서 대화하며 관계를 회복하는 일은 일상의 민주주의로 귀결된다. 존재적 의미로 각별한 칼리(외손녀)를 대하는 어머니의 애정은 손녀가 좋아하는 음식 마련으로 발현되었다. 살뜰한 정성으로 음식을 만들어 주는 기쁨을 즐거움을 여기던 어머니가 음식 만들기를 꺼리며 조리 방법을 잊어가는 치매 판정을 받은 일은 마음을 무겁게 한다.

 

   별반 다를 게 없는 요리 프로그램 방영이 성행하고 맛집을 찾아 떠나는 음식 순례자들이 늘어나는 때에 건강한 먹거리에 대한 관심은 커진다. 건강한 식재료를 엄선해 담백하게 조리하는 것보다 자극적인 맛으로 소비자들의 입맛을 사로잡으려는 상술이 지배하는 현실에 생명을 지키는 음식 문화를 떠올린다. 존엄한 노년을 생각하고 잘 늙어가기 위해 노력하는 참여형 주거공간인 바바야가의 집에서 함께 음식을 만들고 나누는 노인들의 모습에서 연대함으로써 공존하는 삶의 가치를 생각한다. 하지에는 포슬포슬한 감자 껍질을 벗기고 강판에 간 뒤 그것에 물, 소금, 감자 전분을 넣어 반죽한 것을 부친 감자전을 나누는 사람들을 연상한다.

 

   생태적 삶의 가치를 인지한 저자는 여러 이유를 들어 간편식으로 해결하며 지내는 현대인들의 식습관을 돌아보며 식생활 전환으로 건강을 유지하기를 바라는 마음을 곡진히 담았다. 음식물을 통한 농약 섭취가 병을 일으켜 금전적 손실과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악순환을 멈출 방법을 밥상에서 찾아야 한다. 사람 속에 들어가 약이 되기도 하고 병을 일으키기도 하는 음식은 자연과 밀착되어 살아온 사람들이 지키고자 했던 공생의 철학이 녹아 있다. 이 음식이 어디에서 왔는지 생각하며 손끝에서 어우러지는 창조의 맛을 즐기며 오늘도 밥상을 차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