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마음은 내가 결정합니다 - 내 감정의 주인이 되는 자기결정권 연습
정정엽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세대의 가장 위대한 발견은 자신의 마음가짐을 바꿈으로써 삶을 바꿀 수 있다는 사실이다.’

   윌리엄 제임스의 한마디는 고착화된 습관대로 사는 자신을 돌아보게 한다. 머리로는 변화를 추구하며 새로운 시도를 꾀하지만 현실은 편한 대로 살던 방식대로 살아가려는 경향이 크다. 자신의 부족함을 채우느라 앞만 보고 달려온 이들에게 저자는 잠깐 멈추고 오던 길을 되짚어 보라고 권한다. 무엇을 채울 것인가 고민하기 전에 먼저 마음의 빈 공간을 점검하며 심리학적 관점에서 자신을 보며 남은 시간을 보내고 싶다. 삶의 결정권을 결정권자인 나에게 돌려주는 일은 주의 편향에서 벗어나 자기감을 찾는 여정의 출발이다.

 

   남편을 저세상으로 떠나보낸 뒤 일벌레처럼 생활해 온 어머니의 눈에 나지 않기 위해 자신의 욕구를 억압하며 지내온 시간이 연민으로 다가온다. 부모의 보호 아래 학교를 오가며 맡은 일에 충실한 친구를 부러워하며 자기 연민에 져 지내다가도 집안 살림을 돕고 현실을 수용하며 지냈다. 받아들이기 어려운 것을 의식 밖으로 밀어내며 어머니의 결정에 따라 지냈던 시절을 벗어나 홀로 생활하며 자유를 누렸을 때의 기쁨은 배가 되었다. 어머니 품을 벗어나 독립된 생활을 이으며 무엇인가를 지키지 못하였을 때에는 죄책감을 느낄 때도 있었지만 홀로 지내면서 스스로를 통제하고 조절하며 삶은 지속되는 것이라 여겼다.

 

   생활 반경이 다르고 생각이 다양한 사람들과 종횡으로 만나 교유하며 지내는 동안 감정의 파고는 방어벽을 넘나들었다. 감정은 행동을 유발하고 행동은 감정을 해소시키며 살아가는 지금, 감정을 제대로 만나야 상황에 맞는 올바른 판단이 가능해진다. 아동기부터 형성되기 시작하는 스키마는 부모의 가르침과 양육 방식, 외상 경험, 성공과 실패가 주는 경험 등에 영향을 받는다. 타인과 안정적인 애착관계를 형성한 경험이 적으면 정서적 박탈감은 더할 테고 안정적 애착을 희구하게 될 것이다. 자신의 존재와 욕구를 억압하며 남들이 보기에 괜찮은 삶을 살기 위해 온힘을 쏟아 왔다면 이제는 삶의 주도권을 자신에게 돌려주어야 한다.

 

   유아기를 거치며 타인의 존재를 인식하고, 그들과 내가 분리되어 있다는 사실을 경험하며 자아 경계를 만들어간다. 이렇게 형성된 자아 경계는 자기감으로 연결되는 만큼 소소한 의사결정 습관을 쌓으며 자기결정권을 형성해 일관성 있는 삶을 지속할 필요가 있다. 죽음의 수용소에서 살아남은 빅터 프랭클은 어떤 상황에서도 의미를 찾아 나서는 일에 집중하였고, 절망적 상황에서도 무엇인가를 창조하며 시련을 감내해왔다. 나아가고자 하는 삶의 방향으로 목적을 설정하고 삶의 의미를 찾으며 극한의 공간에서 생존할 수 있었다. 타인에게 죄의식, 열등감, 공격성 같은 감정을 돌림으로써 자신의 속내를 부정하는 방어기제에서 벗어나는 일은 어떤 태도로 삶을 살아갈 것인지 결정할 때 생각해 볼 일이다.

 

   자신의 감정에 솔직하기보다는 사회적응에 필요한 심리적 가면을 쓰고 당위성에 휘둘리며 지내는 직장인을 상담·치료한 사례는 공감을 더한다. 자의적인 판단을 거두고 타인의 감정에 맞춰 공감의 방향을 잡고 적절한 타이밍에 조언하는 방법은 상대를 아낀다며 행했던 숱한 충고들이 떠올라 괴란쩍어진다. 잠정적인 이해가 없는 조언이나 충고는 공감을 일으키지 못한다는 점을 새기며 좋은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정성을 쏟고 싶다.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객관적으로 인지하고 데이터화하는 방법을 터득하며 자신이 원하는 것을 정확히 알고 용기 있게 선택함으로써 남은 생은 나답게 살아가기를 꿈꾼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