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방울, 참 추억의 이름이다.

추억은 아련한 그리움이 있다. 내가 어렸을 때, 제 할아버지께서 이 분의 창을 무척 좋아하셨다. 그 당시 우리 집에는 유성기(축음기)가 있었다.

 

태엽이 감긴 유성기에 엘피판을 얹고, 그 위에 소리통의 머리통을 얹으면 판에 찍힌 실 같은 줄을 따라 신기하게도 노래가 들리는 것이었다.

축음기에서 흘러나오는 소리는 그냥 육성으로 하는 소리보다 더 감칠맛이 있었고 아름다웠다.

 

임방울씨가 부른 쑥대머리를 그 때 들었다.

그 노랫말은 생각이 나지 많지만, ‘쑥대머리로 시작되는 노래이니 지금도 쑥대머리가 환청처럼 들려온다.

 

오랜 세월이 흘렀지만, 그 때 들은 깊은 소리를 들으려고 언젠가 임방울씨가 불렀던 시디를 구해서 들어야겠다고 생각하고 있다.

임방울씨는 소리의 대가라고 할만하다. 오재익과 공창식씨로부터 서편제를 배우고, 유성준에게서 동편제를 배워서 그들의 장점들을 녹여서 더 나은 노래로 진화시켰으니, 그 실력이 그렇게 뛰어 날 수 밖에 없었던 것이리라.

 

이 책은 어차피 픽션이기에 사실과 다르게 썼을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를 흠모하고 연구한 저자가 나름의 자료를 정리하고, 그가 살았던 향토에서 발굴한 사료들을 통하여 확인된 내용도 포함했을 것이므로 거의 사실과 진실에 가까운 기록일 것으로 생각된다.

 

임방울씨의 아버지는 그를 평범한 농사꾼으로 살기를 원했지만, 역마살을 끼고 태어난 그는 한 곳에 머물러 살 수 없는 팔자였던 것이다.

그의 어머니는 굿쟁이요, 그의 외삼촌 김창환은 당대를 풍미한 소리꾼이었다.

 

그를 가졌을 때, 그의 어머니는 달을 품는 태몽을 꾸었다.

그는 전국명창대회에서 일들을 하고, 일본 콜롬비아 음반회사에서 음반을 내고 공전의 히트를 기록하였다. 또 자기 이름을 걸고 전국방방곡곡을 다니며 나라 잃은 설움을 위무하는 공연도 했다.

 

저자는 아홉 살 때, 진달래꽃이 피던 봄 날, 고향 마을에 살던 이십대 초반의 청년이 꽃다운 아내와 사별한 다음 아내의 무덤 주변을 진달래꽃을 심으며, 구슬픈 소리를 하는 것을 들었다.

 

임방울 국창이 부른 앞산도 첩첨하고 뒷산도 첩첩한데 혼은 어디로 행하는가로 시작된 단가 였다. 그 뒤 저자는 열 한 살 되던 해 목수가 상량식을 하던 날 부르던 쑥대머리를 접하고 그 노래가 좋아서 목수로부터 배울 수 있었다.

 

그 뒤 신춘문예에 당선된 다음에는 그 상금으로 전축을 사고 임명창의 음반들을 사서 모으게 되었다. 그리고, 휴대용 녹음기로 녹음을 해서 출퇴근 가방에 넣고 다니면서 듣고 불렀던 것이다. 그리고, 이 책을 통해 우리에게 소개해 주고 있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