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 시를 말하다 토트 아포리즘 Thoth Aphorism
고두현 엮음 / 토트 / 201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인, 시를 말하다

 

시에 대하여 시인은 어떻게 생각하고 있으며, 무슨 말을 할까?

철학적이면서도 선문답 같기도 하다.

평소에 시를 대할 때, 깊이 생각할 필요나 기회를 갖지 못하였다.

시란 그냥 시라고 생각했다.

 

좀 더 이론적으로 설명하자면, 시란 일전한 내재적 운율을 가진 아름다운 생각을 글로 정리한 것이다 정도로 생각할 뿐이었다.

사실 나는 어렸을 때의 꿈이 시인이었다.

왜 시인이 되려고 했는가에 대한 구체적인 이유도 설명도 할 수가 없다.

단지 뜬 구름 잡는 심정이랄까 그저 막연한 동경에서 비롯되지 않았나 싶기도 한다.

 

학창 시절 나는 공부시간에도 공상에 젖는 시간이 많았고, 그 때 당시만해도 109일 한글날을 기해 열리는 백일장 같은 행사에 참여하여 장원은 한 기억이 없지만 시 부문에서 장려상을 몇 번 받았던 기억이 난다.

 

나에게는 그 이력이 당연히 시인의 가능성과 자질을 확인하는 명분이 되었고, 그럴수록 시에 심취되어 학교 공부에도 지장을 줄 정도로 열심이었다.

각 언론사에서 매년 모집하는 신춘문예에 응모하기도 해 보았지만 번번히 낙방의 고배를 마시기만 했다.

 

나에게 시가 무너냐고 묻는다면, 지금도 나는 대답하지 못한다.

시란 시 그 자체를 손대지 않고 보호해 주는 것이 시에 대한 예우라고 생각한다.

어줍잖고 설익은 이론으로 시를 설명하는 것은 시에 대한 비례이며, 불경이라고 생각이 든다.

 

이 책은 20여 년간 시인으로써 활동하는 시인이 동서고금의 시인들의 아포리즘을 소록한 책이다. 이 책에서 모든 시인들은 한결같이 시를 정확히 설명하지 못한다.

시에 대하여 내로라하는 시인들조차 이 정도이니 시를 모르는 범부들이야 더 말해 무엇하겠는가?

 

역으로 설명한다면, 시가 이토록 어려운 과제이기 때문에 지금도 사람들은 시를 쓰고 있는 것이며, 감상하고 있는 것이리라.

그렇게 본다면, 시란 처음부터 그 실체가 명확하지 않거나 아예 없었던 그 무엇인지 모른다.

 

시는 그저 감상과 생각을 적어 놓는다고 시가 되는 것은 아니다.

시란, 감상과 생각 그 이상인 영감이라고 말하고 싶다.

그래서 잘 된 시는 사람들을 감동시키며, 위무시키며, 인생을 변화시키기도 한다.

 

그 시를 쓴 시인조차도 감동시키지 못한 시로는 다른 사람에게 감동을 줄 수가 없다.

이 책은 하얀 공간이 텅 비어 있음이 시원함과 사유의 자유를 준다.

글을 읽으며, 그 행간의 의미를 더 자유롭게 내가 쓸 수 있도록 배려했다고 이해한다.

시란 내가 쓰는 것이 아니라 내 몸을 빌려 흘러나오는 우주의 노래라고 하는 이도 있고, 정호승같은 시인은 모든 인간에게서 시를 본다고 말한다.

옳고 그름을 떠나서 시란 사람과 일체임을 확인한 대 발견에 공감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