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선택을 강요하는가? : 여성, 엄마, 예술가 사이에서 균형 찾기 - What Forces Women Artists to Give Up: Balancing Being a Woman, Mother, and Artist
고동연.고윤정 지음 / 시공아트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 ‘누가 선택을 강요하는가?’의 제목은 주어가 빠진 질문형식이라고 생각됩니다.

책 제목 앞에는 여자에게라는 주어가 생략되었다고 생각됩니다. 이 주어를 새긴다면, ‘여자에게 누가 선택을 강요하는가?’가 되겠지요.

 

현재 새 정부 출범과 함께, ‘여성가족부존폐의 문제로 각계각층의 다양한 의견과 시각들이 설왕설래하고 있는 형편에서, 페미니즘이나 젠더에 대한 이슈가 부각되고 있어서 이 책은 그런 분위기에 편승하여 강한 동기부여가 됩니다.

 

이 책은 두 분의 인터뷰어가 열 한 명의 인터뷰이의 내용을 실어 놓은 책입니다.

열 한 명의 인터뷰이들은 모두 여성, 엄마, 예술가라는 공통점을 갖고 있습니다. 그리고, 원로 여성 작가, 50대에 해당하는 허리 세대의 여성 작가, 30~40대의 여성 작가분들로 분류하여 각 세대마다의 특수성도 반영해 놓았습니다.

 

사실, 예술 작업은 일정한 출퇴근도 없고, 설치나 퍼포먼스와 같은 예술 행위는 화실도 작품도 전시할 수 없는 특수성 때문에 사회생활을 하는데 여러 가지로 어려움이 있다고 토로하고 있습니다.

특히 여성분들이 결혼을 하고 육아를 병행하면서, 예술작품을 만들어 가기가 얼마나 어려운 일인가를 알게 됩니다.

 

남성예술가들은 이런 면에서 일종의 특혜를 받고 있다는 생각을 해 봅니다.

지금은 직업에 귀천도 없고, 남녀의 사회생활에 제약이 많지 않게 변해 있어서 1세대 여성작가들이 겪었던 차별과 불편함은 많이 사라졌지만, 그래도 여전히 유리벽이 남아 있는 실정이라고 생각해 봅니다.

 

특히 예술작품의 설치 행위는 힘든 작업이라 여성들이 기피할 만도 한데, 그런 일일수록 남성들과 차이가 없다는 것을 보여 주려고 남성처럼 일을 하면서 결절이 생기기도 했다는 간증이 짠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이 열 명의 예술가 중에는, 여성이라는 특별함을 활용하여, ‘태아 드로잉으로 엄마의 내면을 보여주려는 작가는 여성이라는 약점을 강점으로 활용하는 좋은 사례로 생각됩니다.

우리가 잘 아는, ‘위기를 기회로 만드는 긍정성이 돋보이기도 합니다.

 

아마 이런 분야의 일이라면, 오히려 여성이 남성들을 능가하는 자질과 능력이 있고, 차별성이 부각 됩니다. 그리고, 이런 작업은 여성의 삶을 예술로 승화시키고 구체화시키는 다층의 의미까지 포함하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이런 작업의 속내는 사회적인 편견에 맞서는 용기와 무관하지 않다는 생각을 해 보기도 합니다.

, 미술이나 관련 예술 작업이 남성의 전유물이 아니고, 여성도 할 수 있음을 보여 주는 선언적 의미도 내포하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