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로소피 유니버스 - 29인 여성 철학자들이 세상에 던지는 물음
수키 핀 지음, 전혜란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9인의 여성 철학자들의 공동 인터뷰집입니다.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여성 철학자가 있음을 처음 알았습니다. 지금은 모든 영역에서 남녀가 구분없이 할동을 하고 있는 시대이기에 내 생각은 고리타분한 구닥다리였음을 깨닫고 나름 부끄럽기도 했습니다.

 

또 이 문제는 우리나라의 경우, 새 정부가 출범하고 조직 개편을 구상하는데, ‘여성가족부의 존폐여부가 검토되고 있는 것과 관계가 있는 문제여서 예나 지금이나 남자와 여자의 구분과 차별은 해 묵은 문제였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철학은 삶에 대한 성찰의 학문이기에 남녀구분 자체가 불필요한 학문인데, 불편한 편견이 있었다고 하니 이해하기가 어렵기도 합니다. 이 책에는 29명이라는 적지 않은 여성 철학자가 소개되고 있고, 다루고 있는 테마도 다양합니다.

 

29명의 여성 철학자가 각자 맡은 테마에 대해서 두 명의 인터뷰어와 진솔한 대담을 싣고 있습니다. 나는 이 책의 주제인 여성철학자에 관한 내용과 관련된 주제에 관심이 있어서, 재닛 래드클리프 리처즈의 남녀의 본질과 제니퍼 솔의 암묵적 편견을 숙독했습니다.

 

이 쳅터에서, 남자와 여자의 역할에 대한 문제들은 오래 전 존 스튜어트 밀은 여성의 종속이라는 책에서 남녀는 타고난 기질면에서 차이가 동등하다고 주장했고, 이에 대하여 보수성향의 제임스 피츠제임스 스티븐 판사는 남자와 여자는 다르다는 입장을 견지했다고 말합니다.

 

재닛 래드클리프 리처즈의 말을 인용해 보면, 남녀가 기질면에서 차이가 없다는 인식은 남녀를 보편적인 인간으로 인식하는 태도라고 한다면, 피츠제임스 스티븐 판사의 생각은 남자가 여자보다 우월하다는 보수적이고 폐쇄적인 가치관을 가졌다고 보여집니다.

 

지금, 우리나라 형편만 보더라도 최근에 발표한 남녀 사원의 임금 격차가 존재하고 있고, 아직도 남존여비의 유교사상의 잔재가 있는 듯하고, 여성에게만 있는 유리천장이 완전히 걷히지 않는 듯합니다.

 

오랫동안 금녀의 직업군인 3군 사관 학교나 경찰, 소방서 등에도 이제는 여성들에게 개방되었고, 심지어 장례사 영역까지도 여성이 진출해 있음을 보면, 남녀의 능력과 기질은 동등함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섬세하고 차분한 여성의 장점을 고려해 보면, 철학과 같은 학문을 연구하는 데에는 남성들보다 여성들에게 더 적합한 영역이 아닌가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