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의 품격
정병태 지음 / 넥스웍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속담에 말 한 마디에 천 냥 빚을 갚는다는 말이 있습니다.

또 그와는 반대로 혀 아래 도끼 들었다라는 말도 있습니다. 이 두 말은 이처럼 정반대의 뜻을 갖고 있습니다.

 

이는 언어의 스펙트럼이 선한 것에서 악한 것까지 한량없이 넓음을 알 수 있습니다.

언어는 우리 입 밖에 나가는 순간 다시 주워 담을 수 없습니다. 그러기에 말하기 전에 심사숙고 한 후에 세상으로 내 보내야 합니다.

 

또한 말이란 메아리가 되어서 자신에게 되돌아 올 수도 있음을 생각해야 합니다.

남을 해치는 말은 남에게 도달하기 전에 먼저 자신의 생각과 입을 해친다는 순서를 명심해야 합니다. 이는 반대로, 남에게 유익을 주는 축복의 말은 자신에게 먼저 복이 된 다음에 남에게 전달되는 것임을 알아야 합니다.

 

우리는 행복하고 싶습니다. 복 받는 삶을 살고, 건강한 삶을 살고 싶습니다.

그렇다면, 행복한 말, 복이 되는 말, 건강한 말을 사용하는 생활습관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 책의 저자는 철학을 전공한 분입니다.

 

특히 소통과 언어 연구를 다년간 하고, 그 분야에 강의도 하시는 분입니다.

이 분은 서두에서, ‘따뜻한 언어, 부드러운 언어, 고운 언어가 사람을 살린다고 설명합니다.

이 책에는 저자가 다년간 연구하고, 성찰한 세계적인 주옥같은 사례들을 아낌없이 소개해 주고 있습니다.

 

나는 이 책 서두에서 저자가 소개한 고미용감사를 당장 실행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 내용을 전하는 전도사 역할을 해 보려고 합니다. 어제 저녁에 퇴근하고 집에 들어 가서 제 집사람과 이 다섯가지 감사를 실행해 보았습니다.

 

고맙습니다, 미안합니다, 용서합니다,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참 좋은 말들입니다. 노래 가사 같기도 하고, 아름다운 시 같기도 합니다. 이 내용 들을 상상만해도 기분이 좋아지고 힐링이 됩니다.

 

저자는 사람은 언어를 먹고 산다. 언어를 통해 세상을 알아 가고, 자아를 확립하고 타인과 관계를 맺는다고도 말합니다. , 말은 씨앗이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자녀들에게 좋은 말씨를 뿌려 놓으면 아이들은 그 씨앗대로 천 배 만 배 결실을 맺을 것이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우리는 한 순간도 말을 하지 않고 살 수는 없습니다.

저자가 말하듯이 이 책은 책장에 장식용으로 꽂아 둘 책이 아니라, 품에 안고 다니면서 계속 읽고 실천해야 할 책이며, 할수 있는 한 암기하고 외워서 다른 사람들에게 전해야 할 내용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따뜻한 세상을 만들어 가는 것이 우리들의 사명이 되어야 한다고 다짐해 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