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관에 간 해부학자 - 명화로 읽는 인체의 서사 미술관에 간 지식인
이재호 지음 / 어바웃어북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제목을 보며, 미술과 해부학의 관계성에 강한 의문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미술이라는 예술과 해부학이라는 의학에 부조화가 도드라지게 생각되었습니다. ‘예술가의 손끝을 따라가며 명화에 담긴 해부학코드를 해석하다는 저자의 의도가 너무 과장되었거나 의욕이 넘쳤다고 생각해 보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이 책을 펼치자마자 내 생각은 부족함을 넘어서 무식하였고, 저자에 대한 실례였다고 인정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저자는 자신을 소개하면서, ‘해부학 실습실에서 미술책을 펼치며 차가운 카데바에 온기를 불어 넣는 이야기를 만드는 해부학자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이 책은 그런 저자의 소개를 확인시켜 주는 증거물입니다.

이 책은 르네상스 최고의 예술가인 미켈란젤로와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조각과 회화들을 소개하면서, 그들이 남긴 작품과 관련한 서사를 설명해 주고 있습니다.

 

그들은 제대로된 작품을 만들거나 그리기 위해서, 조각과 미술을 하기 전에 해부학을 배우거나 연구했다고 합니다. 이런 기초 위에서 미켈란젤로의 천지창조최후의 심판과 예수의 근육과 혈관까지 생생하게 표현한 피에타와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최후의 만찬리타의 성모같은 위대한 명작이 탄생하게 되었던 것입니다.

 

특히 다 빈치는 시체안치소에서 30여 구의 시체를 해부하며, 1800여 점의 헤부학 그림을 완성하기도 했다고 합니다. 이런 사실을 참고하면, 다 빈치는 예술가라기보다는 해부학자로 부르는 것이 더 맞지 않을까 싶기도 합니다.

 

이 책에는 저자의 해박한 인문학적 지식이 미술과 해부학에 얼킨 관계성을 더 깊고 넓게 그리고 더 굵고 촘촘하게 탄탄하게 엮어 놓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저자의 이력과 능력을 감안하면, 저자는 해부학을 전공한 의사라기 보다는 글을 쓰는 작가로 불러야 더 마땅하지 않을까 싶기도 합니다.

 

이 책에서 저자는 유럽 미술의 뿌리인 신화나 님프의 지식 등을 인체와 결부하여 설명해줌으로써, 한층 더 풍부한 의미를 전달해 주고 있기도 합니다. 책을 읽어갈수록, 저자의 인문학에 대한 지식을 확인할수록, ‘해부학 실습실에서 미술책을 펼치며 차가운 카데바에 온기를 불어넣는 이야기를 만드는 해부학자라고 소개한 저자의 소개가 빈말이 아님은 물론, 한 치의 과장도 아닌 사실임을 알게 됩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우리 인체의 각 명칭에는 고대의 신화의 이름에서 유래한 것들이 많음을 알게 되기도 합니다. 그리고, 우리가 즐기고 있는 육면체 모양의 주사위는 사람의 목말뼈 아래에 있는 입방뼈를 닮았다고 하며, 로마시대에는 동물들의 목말뼈로 주사위를 만들어 사용했다고 설명합니다.

 

또한 스무 살에 마케도니아 왕이 된 알렉산드로스가 운용한 팔랑크스 대형은 손가락과 닮게 만들었다고 설명해 주고 있습니다. 이 책은 신화에 얽힌 서사를 읽는 흥미와 함께 깊은 인문학적 소양까지를 취할 수 있는 귀한 책으로서, 1: 해부학으로 푸는 그림 속의 미스터리, 2: 명화에서 찾은 인체 지도, 3: 인체에 이름으로 남은 이야기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