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속의 시간 시간 속의 역사
고석규 지음 / 느낌이있는책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를 전공한 저자가 역사와 함수관계에 있는 시간이라는 주제를 연결한 묵직한 담론입니다. 저자는 대학에서 국사학을 전공하였고, 국립대학교에서 교수를 하고, 총장도 지냈고, 총장협의회 회장 등을 역임한 분으로서, 강단 과 행정의 분야에서 오랜 동안 봉직한 분입니다.

 

저자는 순수한 역사학도이지만, 틈틈이 과학과 문명에 관심을 늘 가졌다고 말합니다. 그 중에서도 이 책의 내용인 시간이 우선 순위였다고 합니다.

사실, ‘시간과 역사는 떼려야 뗄 수 없는 연관관계를 갖고(28p)’ 있습니다.

 

이 책은 서론부분에서, 시간에 대한 총론부분을 꽤 긴 지면을 통해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태양력, 태음력, 육신갑자, 율리우스력, 그레고리력 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그 동안 단편적으로 알고 있는 시간에 대하여, 종합적인 시각을 갖도록 합니다.

 

그리고, 자연적인 체계로, 자연의 시계에서 기계의 시계로의 변천을 통해서, 시간과 문화에 대한 관계성을 다루고 있습니다. 저자는 오랫동안 강단에서 후학들을 가르친 경험을 바탕으로, 막연한 시간에 대하여 원근법을 이용하여 우리에게 시간으로의 관심을 집중하도록 하는 장치를 설치하였고, 저자의 의도는 성공적으로 작동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 책은 크게 1, 2부로 나누어져 있고, 1부는 4장으로, 2부는 2장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 내용을 소개하면, 1부에는 시간과 역사의 관계, 역법의 세계사, 문명의 흐름을 바꾼 기계시계, 시간의 사회사로 되어 있습니다.

 

2부는 조선의 역서와 시계들이라는 제목 하에, ‘조선의 역법과 역서, 조선의 시계들이라의 내용을 설명해 주고 있습니다. 사실, 저자가 말하고 있듯이 원래 천체의 움직음을 관측하고 추산하는 시간에 관한 내용들은 백성들에게는 접근이 금지된 영역이었고, 한 나라를 다스리는 왕만이 다룰 수 있는 제왕의 학문이었다고 합니다.

 

이런 시각을 참고해 보면, 조선조 세종대왕 때 개발된 일성정시의나 해시계인 앙부일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만원권에 그려진 물시계인 보루각 자격루등과 같은 발명품들은 훈민정음과 같은 경천애민정신의 상징적 결과물이었음을 알게 됩니다.

 

이와 같이 세종 때는 의표장제 사업을 통해서 수많은 천체 관측 장비 및 시간 측정 기구들이 만들어졌음을 알았습니다. 코로나의 여파로 방콕을 당하고 있는 상황에서 모처럼 시간에 대한 깊고 넓은 지식, 특별히 우리나라 역사를 짚어 볼 수 있는 귀한 책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