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번째 면역 이야기에서 좌우 뇌를 언급했다. 큰 맥락을 고려하지 않고 양자를 떠올리면 다소 뜬금없다고 느낄 수 있다. 녹색의학 이야기를 전개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아직 피부 문맥을 벗어나지 않았다. 오감 뒤에 바로 면역 이야기를 한 것은 면역이 본디 피부사건이기 때문이다. 순서로 따지면 면역 관련 피부질환, 장腸 이야기, 자기면역질환 심화론 등이 이어져야 하겠지만 일단 나온 김에 좌우 뇌 이야기를 잠시 하고 가련다. 하기야 대뇌가 후각세포에서 진화했으니 마냥 샛길은 아니지 싶다. 옳거니, 여기부터 짚으면서 이야기하면 되겠다.


후각이 다른 감각과 달리 직접 뇌로 들어간다는 이야기는 이미 했다. 좀 더 자세히 말한다면 우뇌로 들어간다. 후각 소외·억압은 그러므로 우뇌 소외·억압과 같은 것이다. 좌뇌가 쿠데타를 일으켜 뇌 민주정치를 망가뜨린 사건이 바로 앞서 말한 스티브 테일러의 자아폭발이다. 본디 뇌는 좌우 비대칭의 대칭구조를 통해 온전히 균형 잡으며 생명 정치에 이바지해왔다. 자아폭발을 계기로 드러나기 시작했지만 이 대칭구조는 아직도 선명하게 지각되지 않고 있다. 좌뇌 기능 일극구조가 확고해질수록 우뇌 기능, 우뇌 기능 우위 인간은 소외·억압되었다. 좌뇌 독재는 6000년 동안 승승장구했다. 그간 두 차례에 걸쳐 극복운동이 일어났다. 칼 야스퍼스가 말한 제1, 제2 차축시대에 말이다. 유의미한 전승으로 남아 있지만 좌뇌 독재의 질주를 막지 못했다. 참 혁명이 우리 시대의 절대화두다. 좌뇌 독재의 폐해가 인류 존망이 문제되는 지경에까지 이르렀기 때문이다.


좌뇌 독재, 무엇이 문젠가? 음모론 같이 들리는 이야기로 풀어보자. 괴벨스의 440hz 음악을 앞에서 스치듯 언급했다. 무슨 말인가? 오늘날 우리가 듣고 있는 음악의 표준 주파수는 440hz다. 제3제국 제2인자 괴벨스가 주도했다고 한다. 왜 그랬을까? 정확히 의도를 알 수는 없지만 무심코 그렇게 하지는 않았을 테니 추적해봄직하다.


440hz는 좌뇌만 자극하여 그 반응을 증폭시킨다고 한다. 432hz가 좌우 뇌를 고루 자극하여 균형을 유도하는 것과 대조된다. 좌뇌는 언어와 분석을 제어하는데, 부분적 사실에 집중하도록 이끈다. 집중은 고양高揚을 낳는다. 고양의 과도가 바로 조증mania이다. 세계전쟁과 유대인 제노사이드를 일으키면서 나치가 치밀하게 계산한 심리전술 가운데 하나가 바로 440hz를 통한 조증, 그러니까 광기(mania)였다고 해석하는 게 무리일까.


나는 이런 추적을 하면서 440hz음악을 연주하는 사람들과 듣는 사람들이 드러내는 정서 상태를 유심히 관찰했다. 전문 연주자들의 과도한 표정과 몸짓이 연출이라고 생각했던 내 생각이 틀렸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청중의 열광적 반응도 마찬가지다. 황홀경으로 몰아가는 힘이 분명히 있는 것이다. 이는 연주자의 해석과 기량, 청중의 이해와 공감만으로는 설명하기 어렵다. 나는 음악뿐만 아니라 무엇에든 그토록 열광해본 적이 없어서 신기해할 따름이었는데 비로소 수긍이 가기 시작했다.


내가 또 한 가지 주의를 기울인 일은 432hz 음악 듣기였다. 나 또한 긴 세월 동안 440hz 음악에 길들여졌기 때문에 처음 들었을 때 432hz 음악은 다양한 측면에서 불편함을 자아냈다. 무엇보다 답답하다는 느낌이 확 달려들었다. 음색과 음조의 갈래가 명징하게 구분되지 않았다. 심지어 베토벤을 듣다가 중간에 끈 적도 있다. 다시 정색하고 생각해보았다. 그리고 깨달은 것은 440hz가 음악 포르노라는 사실이었다. 다시 432hz로 돌아와 모차르트 심포니40을 들었다. 고요와 평안으로 배어들 수 있었다.


흔히 좌뇌는 긍정 판단을 우뇌는 부정 판단을 관장한다고 한다. 피상적이다. 엄밀하게 말한다면, 좌뇌는 부분적 사실에 집중하기 때문에 긍정, 나아가 조증 상태를 유발하기 쉽고, 우뇌는 전체적 진실에 터하여 성찰하기 때문에 조증 상태를 제어한다고 해야 맞다. 전체적 맥락을 살피려면 반대 관점에 유의하고 받아들일 것은 받아들여야 하므로 부정적·비판적이라는 누명을 쓰는 것이다. 좌뇌적 성향은 형식논리, 우뇌적 성향은 화쟁논리에 터한다. 형식논리는 자아단일의 이데올로기를 가지고 타자를 정복하고, 화쟁논리는 자타일심의 자비를 가지고 공존을 꾀한다. 자아단일의 일극집중구조가 당연히 압도적으로 강한 물리력을 가진다. 좌뇌 문명이 역사를 지배한 까닭이 여기 있다. 그들이 지배한 인류가, 지구가 풍전등화의 위기에 몰린 소이가 여기 있다. 우뇌 혁명이 간절히 요청되는 상황이다.


우뇌는 좌뇌와 1:1의 대립항이 아니다. 이는 여성이 남성과 1:1의 대립항이 아닌 것과 마찬가지다. 이 점은 매우 강조되어야 할 진실이다. 서구적 사유로는 이 말을 알아듣기 힘들다. 또 한 가지 중요한 것은 좌우 뇌는 해부학적 개념이 아니라는 사실이다. 이는 한의학의 폐肺가 서구의학의 폐lung하고 다른 것과 마찬가지다. 이 점은 매우 강조되어야 할 진실이다. 서구적 사유로는 이 말을 알아듣기 힘들다. 이 공부에서부터 우리 시대는 녹색 뇌 혁명을 시작해야 한다. 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