펜필드W. G. Penfield의 호문쿨루스homunculus에 따르면 가히 촉각의 ‘중추’라 할 만한 것은 손과 입술(과 혀를 포함한 입 주위)이다. 그중 단연 손이다.



피부 접촉 가운데 대부분을 손으로 한다. 닿기(대기), 만지기, 쥐기, 쓰다듬기, 다독이기, 도닥이기, 문지르기, 비비기, 잡기, 닦기, 씻기, 두드리기, 때리기, 긁기, 간질이기, 누르기, 받치기(받들기), 주무르기, 접기, 펴기, 벌리기, 찌르기, 짜기, 조르기·······.


여기서 생사가 나뉘고, 애증이 교차한다. 여기서 성장과 퇴행이 엇갈리고, 상처와 치유가 자맥질한다. 여기서 웃음과 울음의 쌍곡선이 그려지고, 이별과 상봉의 운명이 결정된다. 여기서 한 생이 시작되고 한 생이 끝난다. 여기서 문명이 일어나고 문명이 스러진다. 여기서 지구가 안식하고 지구가 요동친다.


백색 손은 소외와 격리를 극단화한다. 백색 손은 기술과 돈을 극대화한다. 하여, 죽음과 증오, 퇴행과 상처, 울음과 이별이 비즈니스 전략으로 둔갑한다.


백색의학은 더 이상 손으로 진단하고 치료하지 않는다. 기구·기계·화학합성물질이 모든 것을 한다. 백색의학에게 아픈 인간은 인간이 아니라 고장 난 기계다.


녹색의학은 손 의학이다. 손으로 진단하고 손으로 치료한다. 녹색의학에서는 코도 손이다. 녹색의학에서는 입도 손이다. 녹색의학에서는 귀도 손이다. 녹색의학에서는 눈도 손이다. 녹색의학에서는 약도 손이다. 의자와 환자가 서로 마주 닿고(대고), 만지고, 쥐고, 쓰다듬고, 다독이고, 도닥이고, 문지르고, 비비고, 잡고, 닦고, 씻고, 두드리고, 긁고, 간질이고, 누르고, 받치고(받들고), 주무르고, 접고, 펴고, 벌리고, 찌르고, 짜면서 생명을 지켜간다.


나는 신학의 길을 가다 의학으로 돌아섰다. 말의 사람에서 손의 사람이 되기 위해서다. 이 손의 사람을 근원에서 요청하는 의학이 녹색의학이다. 이런 손의 사람을 근원에서 요청하는 곳이 둘 더 있다. 농업, 그리고 출산. 이 둘을, 나는 인연이 짓는 길 따라 내 손 닿는 곳 안에 두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