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그와 같은 숙의 상대를 만날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그는 우리나라에서 대표적으로 큰 종교단체 소속인 중견 종교지도자였습니다. 혹 있을 수 있는 실덕을 막으려 신분을 감추고 저를 찾아왔습니다. 얼핏 보면 당차게 느껴지지만, 그 눈에는 불안이 강고한 구조로 자리하고 있었습니다.


불안의 내력은 길고 깊었습니다. 어린 시절 지속·반복적으로 어머니 없는 기다림의 시간을 감내해야 했습니다. 길을 잃고 홀로 거리를 헤맨 적도 있었습니다. 사춘기 시절 맞닥뜨린 우발적 성경험이 일으킨 수치심과 죄책감은 끈질기게 그를 따라다녔습니다. 시간이 흐르면서 잊히고 완화되는 것은 없는 반면, 사회생활을 통해 만남의 기회가 많아질수록 대인공포는 악화일로로 치달았습니다. 온갖 치료가 무용했습니다. 그는 결국 종교에 귀의했습니다. 마지막 희망도 그다지 큰 도움을 주지는 못 했습니다. 그렇다고 어찌 치료를 포기할 수 있겠습니까.


저는 그의 종교에 예를 갖추면서 폭넓은 숙의를 이어나갔습니다. 종교 경전이나 큰 스승들의 가르침이 동원되었고 그에 상응하는 의학적 담론이 오갔습니다. 그러던 어느 순간, 그는 무릎을 쳤습니다. 제 입을 나와 그의 귀에 날아든 ‘정서적 지지’라는 평범한 말 한 마디가 그의 가슴속 은산철벽에 쩡 하고 금을 내었습니다. 그도 그럴 것이 그에게 익숙한 어휘와 담론은 대부분 ‘이성적 이해’였으니 말입니다.


정서적 지지를 자신의 내부 속으로 들여 놓는 일이 기적처럼 일어나지는 않습니다. 수십 년 동안 반대하고 내쫓으려고만 했던 어둠의 정서를 있는 그대로 느끼고 알아차리고 받아들인다는 것이 어찌 쉽겠습니까. 일거에 좋아질 것이라는 마법적 희망까지 내려놓아야 비로소 동이 트듯 치유의 길이 열리기 마련입니다. 그는 필경 이 이치를 따르고자 하는 종자신뢰를 얻었을 것입니다.


삼베 바지에서 방귀 빠지듯 그의 발길이 사라졌습니다. 저는 그런 그의 선택을 존중했습니다. 제법 세월이 흐르는 동안 드물지 않게 그의 간절했던 눈길이 떠오르곤 했습니다. 아직도 그가 그의 종교에 복무하고 있는가는 별로 궁금하지 않습니다. 만약 그가 지금 자유 영혼이 되어 있다면, 아무짝에도 쓸모없었던 그 종교에 의지하지 않고, 자신의 정서를 지지하면서 고요히 살아가지 않을까 짐작해보기만 합니다. _()_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