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 우울증 - 남성한의사, 여성우울증의 중심을 쏘다
강용원 지음 / 미래를소유한사람들(MSD미디어) / 201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말은 관사나 전치사하고는 거리가 멉니다. 관사나 전치사는 각 단어의 개별성, 독립성, 자율성, 차이성을 기반으로 하는 언어체계의 소산입니다. 그 언어체계는 다시 사람과 사물의 개별성, 독립성, 자율성, 차이성에 터 잡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관사나 전치사가 발달한 서구 언어는 이른바 ‘존재 중심 세계관’을 반영하며, 그렇지 않은 우리말은 이른바 ‘관계 중심 세계관’을 반영합니다.

  이런 특성은 일상에서 흔히 쓰는 ‘말을 섞는다.’는 표현에서도 여실히 드러납니다. 서구인은 서로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말합니다. 우리는 서로의 일치를 확인하기 위해 말합니다. 차이를 확인하는 존재 중심 사회는 생명의 공통 기반이 전제되지 않으므로 이것은 이것이고, 저것은 저것일 뿐입니다. 둘 사이는 ‘계약’이 가로놓이고 쌍무적 이행을 중심으로 흘러갑니다. 이에 반해 일치를 확인하는 관계 중심 사회는 이것과 저것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두레’ 개념이 네트워크를 이루며 연속과 융화를 중심으로 흘러갑니다.

  서구의 삶이 계약의 삶인 것은 상담에도 통용됩니다. 계약 당사자끼리 인격과 정서를 교류할 까닭이 없습니다. 서로 필요한 것만 주고받으면 그만이지요. 반면 우리의 삶은 두레의 삶입니다. 공감과 공유의 삶입니다. 각 부분은 서로 긴밀한 생명적 연결 관계에 있고, 다시 전체 속에서 통합된다는 사실이 공유하는 삶을 통해 증명됩니다. 상담도 그러합니다. 두레 치료가 일어납니다. 치료공동체가 자연스럽게 형성됩니다.(194-195쪽)


지난 주말 늦은 밤, 마흔 일곱 먹은 제자가 조증 상태를 걱정하며 황급히 상담을 요청해왔습니다. 일요일 늦은 아침 약속을 잡았습니다. 일요일 새벽 가능하면 더 빨리 뵙고 싶다는 문자가 날아들었습니다. 서둘러 빨래를 해서 널어놓고 한의원으로 향했습니다. 보자마자 그는 울음부터 터뜨렸습니다. 간단한 인사치레를 끝내는 둥 마는 둥 하더니 이내 억억거리며 줄줄이 이야기를 토해내기 시작했습니다. 그의 이야기 가운데 참으로 가슴 아픈 것은 주위 사람들이 보인 반응이었습니다. 그가 어린 시절에 받은 상처를 이야기하며 울자 그들은 대략 이런 내용의 말을 건넸다고 합니다.


“왜 과거를 그리 집요하게 붙잡고 있니? 제발 내려놓고 행복한 삶을 선택해라.”


“너와 같은 상처가 없으면 아무도 널 이해할 수 없다는 거니?”


심지어 남편을 포함한 두어 사람은 이렇게까지 말했다고 합니다.


“왜 우니? 이게 울(어서 해결될) 일이니?”


물론 이들은 마음의 병을 상식적인 이해 수준에서 이해하고 그에 터하여 말했을 것입니다. 이런 반응에는 불연속선이 두 개 쳐져 있습니다. 하나는 무엇보다 아픈 사람과 이런 반응을 보인 사람들 사이의 것입니다. 아픈 사람의 감정이 형성되어가는 과정에 동참할 생각이 전혀 없는 절연반응인 것입니다. 이것은 차가운 이성을 토대로 거래하는 개별자가 보이는 기본적 태도입니다. 치유공동체는 이들에게 별나라 이야기입니다.


다른 하나는 아픈 사람과 아픔 사이의 것입니다. 저들은 저들 자신이 아픈 사람에게 그리 대하듯 아픈 사람이 자신의 아픔을 단칼에 잘라내기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다들 하는데 왜 너만 못하느냐는 다그침입니다. 마음병은 아픈 사람이 붙잡아서 생기는 것이 아니라 꼼짝 못하고 사로잡혀서 생기는 것입니다. 놓고 싶으면 놓을 수 있는 것 따위 때문에 대체 그 누구의 일상이 무너지며 목숨 줄이 끊어질 것입니까. 한 걸음만 물러서 생각해보면 알 수 있는 이치에 무지하고도 서슴없이 아픈 사람을 공격해대는 이 비인간에서 우리 각자는 얼마나 자유로운가요.


다시 정색하고 곰씹어보겠습니다. 이런 반응을 보인 사람들 가운데 스무 해 넘게 살 섞으며 살아온 남편이 있습니다. 그는 어떤 의미에서 남편인 것입니까. 이런 반응을 보인 사람들 가운데 인문학 공부를 함께한 선배, 심지어 선생이 있습니다. 그들은 어떤 의미에서 인문학도인 것입니까. 사실 이런 풍경은 이미 낯선 것이 아닙니다. 우리사회의 익숙한 민낯입니다. 왜 이렇게 되었을까요? 모국어 감수성을 잃어버린 식민의 세월 속에서 마침내 인간다움의 감각까지 풍화되어버린 탓이 아닐까요?


그 제자는 잠시 여행을 떠났습니다. 뭔가 챙겨가며 정리를 해보겠다고 하기에 애쓰지 말고 그냥 멍 때리다 오라 일러주었습니다. 뭐라도 감정이 일어나면 그렇다, 그렇다 느끼기만 하다 오라 당부했습니다. 마흔 일곱 살짜리 제자 곁에 다팔다팔 걸어가는 일곱 살짜리 상처 입은 그의 영혼을 보며 제 두 눈에 노을이 집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