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락의 에티카 - 신형철 평론집
신형철 지음 / 문학동네 / 200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든 생의 오(誤)작동을 수락하는 이의 평정(416쪽)-제 힘으로 어찌할 수 없는 헤어짐을 이별(離別)이라 하고, 제 힘으로 힘껏 갈라서는 헤어짐을 작별(作別)이라 한다. 이별은 ‘겪는’ 것이고 작별은 ‘하는’ 것이다.·······작별은 인정이고, 선택이고, 결단이·······다. 헤어짐을 ‘짓는’ 일이다.(411-412쪽)

 

철학자 김영민의 어법으로 바꿉니다.

 

“이별은 ‘어긋나는’ 것이고 작별은 ‘어긋내는’ 것이다.”

 

어느 날 한 젊은이가 찾아왔습니다. ‘당신의 말을 믿고 따랐다가 죽음의 문턱까지 갔다 왔다. 어찌 그럴 수 있느냐? 사과하라.’ 육십갑자 가까이 살면서 이렇게 당황했던 적이 또 있었을까, 싶을 만큼 젊은이의 요구는 느닷없고 거침없었습니다. 꽤나 긴 기간 동안 뒤졌지만 저는 제 잘못을 찾아내지 못했습니다. 그러면 그 젊은이에게 잘못이 있었던 것일까요? 아닙니다. 제게도 그 젊은이에게도 잘못은 없었습니다.

 

흔히 생각하듯 두 사람 사이가 어긋나거나 오작동 될 때, 어느 한 사람에게 반드시 잘못이 있거나 두 사람 모두에게 잘못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둘 다 잘못하지 않아도 오작동은 일어날 수 있습니다. 아니, 아예 그것이 오작동이 아닐 수 있습니다. 오작동이라고 생각하고 잘라내는 순간 진짜 오작동이 되는 것일 수 있습니다. 설혹 오작동이라 하더라도 ‘수락’하면 오작동이 아니게 됩니다. 그러면 ‘평정’이 깃듭니다.

 

A도 진실이고 non A도 진실인 경우를 서양철학에서는 이율배반이라고 합니다. 형식논리학으로는 풀 수 없는, 그래서 칸트도 풀지 못한 난제입니다. 학문적 차원에서는 보기 드문 현상일지 모르지만 일상에서는 수없이 이런 상황과 마주칩니다. 우리 또한 대부분 못 풀고 넘어갑니다. 모순이 공존하는 역설, 그 대칭성의 진실에 낯을 가리도록 교육받아왔기 때문입니다. ‘파사현정破邪顯正’의 기치 아래 극단적 승패 문제로 처리하도록 강제되어왔기 때문입니다.

 

그 결과는 어찌 되었습니까. 정의가 승리하는 사회가 된 게 아니라 거꾸로 승자가 정의를 전유하고 그 전리품을 독식하는 사회가 되었습니다. 권력, 자본, 종교를 거머쥔 승자가 그렇지 못한 사람들을 빨갱이, 종북, 미개인, 시체장사, 근본 없는 종자로 몰아 죽이고 있는 현실을 고통 속에서 ‘겪는’ 우리가 아닙니까.

 

 

왜 이런 결과가 나온 것일까요. 정의를 당연한 존재로 놓고 사악을 그것의 부재로 이해하는 관념적 오류 때문입니다. 인간에 관한 한, 사악함이야말로 당연한 존재입니다. 정의는 애써 ‘짓지’ 않으면 존재의 반열에 오를 수 없는 요청이며 소망입니다. 그러면 누가 과연 애써 정의를 ‘인정, 선택, 결단’으로 지어야 할까요. 권력, 자본, 종교를 거머쥔 승자가 과연 애써 정의를 지을까요.

 

버림받은 사람들, 빼앗긴 사람들, 매 맞은 사람들은 애써 정의를 지어 무엇을 하려는 것일까요. 저 사악한 권력, 자본, 종교 집단을 응징하려는 것일까요. 물론입니다. 저들의 죄를 낱낱이 밝혀 추상같이 벌주어야 합니다. 하지만 처벌은 멸절을 목표로 삼지 않습니다. 그런 짓은 저들이나 하는 것입니다. 벌을 받음으로써 자신들이 버리고 빼앗고 때린 사람들이 먼저 깨달은 진실을 나중에라도 깨닫게 하려 함입니다. 그 누구도 잘못하지 않았는데 생에는 오작동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그것을 수락하여 평정에 이르는 저 대동大同의 길로 가야 한다는 진실 말입니다. 벌까지 받아도 끝내 깨닫지 못하는 자, 제 무덤을 파는 것일 테지요. _()_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