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일 아침 숙소 가까운 오름을 확인한 터라 그리 갈 요량으로 식사를 마친 뒤 천천히 걸었다. 스마트폰 지도를 보면서 가다가 느닷없이 눈에 들어온 큰넓궤에 관심이 와락 쏠린다. 무작정 그리 발길을 돌린다. 가는 길 풍경이 절경 아니어서 멋지다. 묵은 땅 사초류 잡초가 바람 따라 빚어내는 물결과 그 소리가 도리어 고즈넉함에 깃들게 한다. 주위 낭·풀을 살피며 이름을 불러주며 사진에 담으며 가다 보니 4·3길과 유적지임을 알리는 표지가 있다.

 

멀리 뵈던 도너리오름이 갑자기 가까이 보인다 싶은 어느 순간, 큰넓궤를 알리는 조형물이 먼저 들이닥친다. 처음엔 거기를 지나 더 들어가야 큰 굴이 있나 했다. 훼손 우려 때문에 쇠막대기 구조물로 막아 놓은 작디작은 굴이 큰넓궤임을 이내 알아차렸다. 어찌 저리도 좁은 곳으로 사람이 드나들었을까 싶지만, 이치로 따지면 그래야 안전하다. 근처 도엣궤까지 확인하고 나오면서 인간이란 무엇인가, 날카로운 옛 질문이 새삼 폐부를 찌른다. 여기 숨어 살다가 더 깊은 산중으로 들어갔던 사람들은 끝내 토벌대에게 대부분 살해되고 말았다.

 

왔던 길을 되돌아가다가 만나는 큰길에서 왼쪽으로 꺾어 조금 가니 4·3유적지가 또 있다. 잃어버린 마을 삼밭구석이다. 사실은 여기 주민이 큰넓궤에 숨어 살았고, 토벌대는 마을을 불 질러 초토로 만들었다. 살아남은 사람들이 나중에도 마을을 재건하지 않고 다른 데 가서 살았기에 마을은 끝내 사라지고 말았다. 표지가 서로 혼란을 주어 마을 터가 정확히 어딘지 알 수 없게 하지만, 그렇지 않아도 마을 흔적을 지우고 시침 뚝 뗀 풍경 자체가 쓸쓸함이다. 길 잃은 채 올라가다가 축사에서 풍겨 나오는 심한 악취를 견디지 못해 돌아섰다. 지금도 그 냄새가 온몸을 휩싸는 듯하다. 이념과 돈에 눈먼 인간 악취와는 비교조차 안 될 텐데 말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프레이야 2022-05-20 10:39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선생님 제주 이야기 잘 읽고 있습니다.
제주를 그냥 여행하기에는 언젠가부터 어딜 가도 눈에 띄는 4.3유적지를 피할 수 없더군요. 하지만 그런 표지가 눈에 안 들어오는 사람들이 더 많겠지요. 저 표지의 동백꽃이 참 슬퍼보였답니다. 안덕면을 돌고 계시군요. 안덕면의 유명한 곳은 가보았지만 큰넓궤는 처음 알았습니다. 다음에 가볼 수 있기를 …

bari_che 2022-05-20 17:19   좋아요 2 | URL
예, 작정하고 길을 나서지 않아도 도처에서 4.3을 만납니다. 당시 상황을 상상하면 오늘 제주 모습은 아뜩하지요. 본성에서 다르지 않은 폭력이 지금도 일어나고 있다는 사실이 더욱 슬픕니다. 그때 그 권력이 엄존하기 때문이지요. 갈 때 마음과 올 때 마음 무게가 같아지는 날이 언제 제주에 올는지요.......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