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향모를 땋으며 - 토박이 지혜와 과학 그리고 식물이 가르쳐준 것들
로빈 월 키머러 지음, 노승영 옮김 / 에이도스 / 2020년 1월
평점 :
절판
물과 땅은 우리가 아는 이상으로 친밀하다.(431쪽)
광화문 교보문고 남쪽 카운터 앞에는 조각가 양화선의 작품 <山水紀行-물의 나무>가 전시되어 있다. 수없이 그 앞을 오갔음에도 거기 그 브론즈가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했다. 버드나무 탐색 이미지가 형성되고서야 비로소 눈에 들어왔다.

‘山땅水물紀行’은 작가가 연 전시회(2017) 주제였으니 그때 함께 전시되었던 모든 작품에 이 말이 붙었겠지만 물의 나무인 버드나무와는 더욱 각별한 의미 결합을 이루고 있다. 높이 차로 구별했으되 활짝 펼쳐진 책 형상이라는 점에서 물과 땅은 동일하다. ‘나무를 사랑해 나무가 된 물’이라는 별명을 지닌 버드나무는 물과 땅 모두에 몸을 풀고 있다. 버드나무는 물과 땅을 “우리가 아는 이상으로 친밀”하게 느끼고 알아차리고 받아들여 사는 생명이다. 버드나무는 물과 땅이 얼마나 친밀한지 단도직입 증언함으로써 다만 땅에 뿌리내린 듯 보이는 다른 낭/풀들도 땅 품은 물과 닿으려는 소망을 함께 지니고 있다는 진실에 가 닿게 한다.
물과 땅이 우리가 아는 이상으로 친밀하다는 지식은 그러고 보면 낭/풀이 건넨 위대한 선물이다. 버드나무를 선구자 삼은 모든 낭/풀이 땅을 푸르게 뒤덮어 물과 더불어 지구를 푸른 별로 만들었으니 말이다. 극동아시아 사람들이 숲도 푸르다고 하고 바다도 푸르다고 한 연유가 바로 여기에 있지 않을까.
광화문 교보문고에서 다시 만날 그 버드나무가 하늘하늘 춤추는 꿈을 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