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 일러스토리 2 - 고전으로 보는 로마문화사 인문학 일러스토리 2
곽동훈 지음, 신동민 그림 / 지오북 / 201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계사를 접하며 만난 중세 시대에 인문학을 접목하여 좀 더 깊이 있게 들여다보면 흥미는 배가 된다. 책을 읽다 보면 어느새 분야가 넓어지는 순간이 오기 마련인데 이 책은 중세 인문학 입문서로 참 좋은 책이다.

책은 역사적 지식에 인문학을 곁들이고 시선이 머무는 곳마다 웃음을 유발하는 재미난 일러스트로 구성이 되어있다. 대략 250페이지 정도의 분량을 볼 때 로마에 관한 기본 배경지식을 갖고 있는 편이 좋을듯하다. 간략하지만 흥미로운 내용들의 이해를 돕고 저자의 추천도서에 관심이 생길 정도의 지식이라도 괜찮다.

올여름 처음 만난 그리스 편에서도 가볍게 읽기 좋은 몇 권의 철학 서적을 더 들이기도 했었다. 그런데 로마는 그보다 훨씬 방대해서 추천도서를 선뜻 읽어볼 엄두가 나지는 않지만 분명 로마를 오래도록 기억하는데 좋을 것 같다.
이전에 읽은 내용들이 오래 머물면 좋으련만 늘 그렇듯 기억은 가물가물이다 그러던 차에 2권을 읽다 보니 꺼져가던 기억을 살려낼 수 있어서 반가웠다. 로마 하면 뭐니 뭐니 해도 정치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기에 역사학자들의 시선에 문학가들의 시선을 더해 다양한 시각으로 로마를 세세히 살펴보았다.

그리스인들이 모든 것을 시작했다면,
로마인들은 그 모든 것을 지중해 전역으로 퍼뜨렸다고 할 수 있습니다. -p.4

로마의 건국신화부터 시대를 대표하는 영웅들과 정치, 문화 그리고 쇠락의 이유 등이 일곱 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늘 그렇듯 부풀려진 신화 속 살벌한 패권 다툼은 피 튀기는 로마 정치의 축소판을 보는 듯하다. 사소한 일화들마저도 황당한 내용들이 많지만 오히려 독자들을 자극하기는 안성맞춤이다.

지중해의 패권 다툼의 하이라이트는 한니발 장군의 활약상일 것이다. 코끼리를 이끌고 알프스를 넘으며 천하무적임을 과시한 일화와 스키피오가 카르타고를 정복하여 얻었다는 이름 속에 숨은 일화도 재미있다. 관련 저서로 몸젠의 [로마사]는 꼽고 있는데 공화정 수립 과정과 패권을 장악할 때까지 가 상세히 기술되어 있어 많은 도움이 될듯하다.

3장에서는 율리우스 카이사르에 관한 내용을 만나볼 수 있다. 그의 유명한 일화나 명언들은 익히 들어본 적이 있을 터인데 공화정에서 제국으로 변모해가는 정치 상황 속 그의 업적이나 정치적 소신 등을 살펴보며 역사를 익히고 그 일화 속에서 만나는 셰익스피어의 문장들은 한층 더  돋보인다. 브루투스와 카이사르의 믿거나 말거나 이야기와 클레오파트라와 안토니우스의 이야기는 익히 들어보았지만 다시 읽어보아도 흥미롭다. 일러스트를 들여다보면 그 느낌이 배가 된다.ㅎ

 

 

 

겉치레를 중시했던 로마는 정치에서도 그 면모가 드러난다. 공화국을 표방하였으나 실질적으로는 제국에 가까웠지만 형식적인 면과 실용적인 면도 두루 갖추었기에 팍스로마나 체제를 유지할 수 있었다. 하지만 그 시기에도 미친 독재자와 황제들의 비참한 말로는 정말 추잡함의 끝을 보는 듯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로마의 평화가 오랜 기간 유지될 수 있었던데는 아우구스투스의 노고가 반영된 결과임을 말하기도 한다. '모든 길은 로마로 통한다'와 '빵과 서커스'라는 말 등에서 그의 업적과 정치를 비추어 볼 수 있다.
로마의 역사학자 수에토니우스에 따르면,
아우구스투스는 "나는 벽돌로 된 로마를 물려받아 대리석으로 바꾸어놓았다"라고 말했다고 합니다.-p.131

 반면 칼리굴라와 네로의 사이코 패스적 행동은 광기가 얼룩져 섬뜩한데 세계사 책에서 대충 지나간 내용들을 좀 더 구체적으로 읽어보니 공포가 전율한다. 어떻게 저런 왕이 집권했음에도 불구하고 평화를 이어나갈 수가 있었단 말인지.. 

로마인들의 그리스 문화에 대한 강한 열망은 특히 중산층에서는 두드러졌는데 그리스어를 사용함으로써 학문이나 지식의 위상을 높이고 출세의 지름길로도 이용했다. 또한 로마의 문화를 그대로 흡수하다 못해 조각이나 미술품 소장에 이어 복제품도 많았다. 이 부분은 얼마 전에 보았던 중세 미술사에서 본 기억이 떠올랐다. 그 외 로마인의 자유로운 성문화와 자유롭다 못해 질서 없는 결혼문화를 보며 황당에 황당이 이어졌다. 수에토니우스의  [열두 명의 카이사르]를 보면 일일극의 막장은 양반이다.ㅋ 그래서 저자가 재미로 따지자면 3위안에 꼽을 수 있다는 이 책도 리스트에 올려놓았다.

마지막으로 간략하게 오현제 시대를 지나 사두 체제를 거쳐 콘스탄티누스 대제에 이르는 로마의 성쇠에 관한 부분은 좀 더 깊이 있게 들여다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게르만의 대이동이라고 한 문장으로 결론 내리며 책을 덮고 지나쳤는데 에드워드 기번의 [로마제국 쇠망사]는 대략 500페이지 분량 여섯 권짜리 책인 만큼 방대한 내용에 선뜻 펼쳐들 것 같지는 않지만 한 번은 들춰보고 싶은 책이다.

"로마 제국이 왜 멸망했는지 묻는 대신 오히려 어떻게 그토록 오래 지속될 수 있었는지 놀라워해야 할 것이다."
- 영국 역사학자, 에드워드 기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