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급생
프레드 울만 지음, 황보석 옮김 / 열린책들 / 201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지막 한 줄이 주는 의미에 그나마 고개가 끄덕여졌다. 책의 홍보문구-친구를 위해서라면 기꺼이 죽을 수도 있다고 말했던- 가 의아했던 것은 두 소년이 주는 느낌만으로는 그다지 감이 오지 않았다. 그 당시의 시대상을 따져 묻자면 태생부터가 극명하게 달랐고 더군다나 독일인 소년은 평민이 아닌 귀족 출신으로 그는 더 성숙된 느낌을 준다. 그래서 소설은 사춘기 소년들의 우정치고는 무언가 절제하고 있다는 느낌이 들었는데 작가의 담백한 글 솜씨와 그림 같고 시적인 문체에 내 시야가 흐려져 무언가를 놓치고 있는 듯한 느낌을 받았다.
이미 많은 작품 속에서 이런 이념적 배경을 달리한 채 우정을 간직하고 지켜나가는 인물들의 이야기는 많이 접해왔다. [책도둑]에서 유대인을 도와준 독일인 친구, 그리고 독일인 소녀와의 우정과 사랑 또 전쟁터라는 극한 상황에서 만나 우정을 나눈 군인들의 이야기 등은 감동과 눈물을 안겨주기에 충분하였다. 그렇다면 이 소설은 무엇이 다른 것일까..

소설을 읽기 전 프레드 울만의 태생과 시대적 배경을 알면 그가 그 시대를 어떻게 지나왔는지 고스란히 느낄 수 있다. 또한 70세 가까운 나이에 쓰인 만큼 이 소설은 이념의 대립과 슬픔 등이 차분하게 녹아내려 잘 다듬어져 있는 느낌이다. 그리고 두 소년이 서로의 우정에 얼마큼 충실했는지를 담아내고 있다. 소설은 나치즘과 유대인이 등장하지만 끔찍하거나 그렇게 잔인한 묘사 따위는 생략되었다. 다만 독일이 어리석은 이념의 스펀지에 빨려 들어가는 모습은 자극적이지는 않았지만 충분히 무섭게 느껴졌다.

시작부터 유대인 소년의 눈에 그려진 독일의 모습은 어디에도 정착하지 못한 이방인인 그들의 우울함이 전해진다. 사춘기 소년의 방황과 고민들이 더해져 소년의 눈에 비친 교실의 색상은 빛바랜 저채도 같다. 그런 상황에서 우아함을 걸치고 등장한 귀족 출신의 독일 소년은 단연 돋보이고 빛나는 존재다. 시작부터 그렇게 두 사람의 상반되는 설정은 그들의 우정이 결코 평탄치 않음을 의미한다.

나는 세세한 것들 하나하나까지 다 기억하고 있다. 무거운 책상과 걸상이 있던 교실, 마흔 개의 축축한 겨울 코트에서 풍겨 나는 시큼한 곰팡내, 눈 녹은 물이 고인 웅덩이들, 전에 한때, 그러니까 혁명 이전에 빌헬름 황제와 뷔르템베르크 왕의 초상화가 걸려 있던 자리임을 보여 주는 회색 벽에 남은 누르스름한 선들. 지금도 나는 눈을 감으면 내 급우들의 뒷모습을 볼 수 있다.
― P.22


그렇게 유대인 소년 한스는 귀족 출신의 독일 소년 콘라딘에게 마음을 뺏기고 그와 우정을 쌓을 수 있길 소망한다. 그의 강렬한 믿음이 그에게 전해져서 일까.. 둘은 어느새 함께 다니기 시작한다. 그런데 난 왜 이 부분에서 데미안이 떠올랐을까, 싱클레어의 데미안을 향한 무조건적인 호기심과 동경은 한스의 모습과 유사하게 느껴졌다. 어쩌면 한스는 본인에게 주어진 운명적 결핍과 차별을 콘라딘을 통해 보호받고자 했을는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그러한 믿음도 조금씩 흔들림을 느끼게 되고 한스는 콘라딘의 우정을 의심하기에 이른다. 어쩔 수 없다는 걸 알지만 받아들이기 힘든 소년의 심경이 전해져서 마음이 아팠다.
특히 콘라딘의 엄마는 유대인 혐오증을 가진 사람이었고 독일이 히틀러에 물들어갈 때 그를 신이 내려준 사람으로 여기며 눈물을 흘린 사람이었으니.. 암울한 전쟁의 그림자는 빠른 걸음으로 다가오고 반유대주의가 극심해짐에 따라 불안감을 느낀 한스의 아버지는 한스만이라도 미국으로 보낸다.  떠나기 이틀 전에 받은 콘라딘의 편지는 한스에게는 위안이 되지 못한다. 그도 어쩔 수 없는 독일인임을 느낄 수 있는 문장은 이제 둘의 우정이 끝이 났음을 의미하기 때문이었다. 비록 친구의 안녕을 빌기는 했지만... 그리고 30년이 흐른 뒤 한스에게 느닷없이 추모비 건립 모금 편지와 조그만 인명부가 도착한다.

이렇듯 스토리는 단순하다. 하지만 뒤늦게 이 책이 사랑을 받는 이유가 무엇일까.. 역사적 배경만을 두고 보았을 때 그러한 이념의 대립에도 불구하고 피어난 두 사람의 우정 때문이었을까.. 아니면 사춘기 소년들의 내적 심리묘사들이 우리에게 생각할 거리들을 많이 제공해서 일까. 
다시 말해 어른들의 이념전쟁으로 쓰러져간 꽃다운 청춘들과 그들의 빛날뻔했던 우정이 갈가리 찢어질 수밖에 없었던 아픔을 공감하길 희망했을 수도 있겠다. 그래서 이 책이 특히 유럽권에서 청소년 필독서로 자리 잡은 이유이겠다.
1997년판 서문에서도 볼 수 있듯이  작가의 눈물은 그 역사적 땅 위에 놓인 이들에게는 더더욱 감동의 여운으로 자리 잡았을 것이다.
두 소년의 우정과 마지막 반전이 던지는 묘미가 궁금하다면 읽어보길 권한다. 아마 예리한 독자라면 콘라딘의 편지에서 힌트를 얻을 수도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