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던을 걷는 게 좋아, 버지니아 울프는 말했다
버지니아 울프 지음, 이승민 옮김 / 정은문고 / 201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런던은 쉴 새 없이 나를 매혹하고 자극하고 내게 극을 보여주고 이야기와 시를 들려준다.
두 다리로 부지런히 거리를 누비는 수모만 감내하면 아무것도 걸리적거릴 것 없다.

혼자 런던을 걷는 시간이 내게는 가장 큰 휴식이다."
(1928.5.31 일기에서)

 

 

 

이 책은 소설가 이전에 에세이스트이자 비평가였던 버지니아 울프가 1931년부터 1932년까지 [굿 하우스키핑]이라는 잡지에 격월로 연재한 '런던 풍경'시리즈 중 6편을 담은 책이다.
한 손에 쏙 들어오는 포켓북 같은 개나리 같은 느낌의 이 책은 그녀가 얼마나 런던을 사랑했는지를 느껴볼 수 있는 책이다.
런던을 살던 이들에겐 익숙한 풍경이겠지만 그녀의 눈에 비친 런던의 일상은 그녀에겐 안락함이었다 보다. 세계의 중심지로 부상하던 런던의 역동적이고 이중적인 모습을 정직하게 담아내고 그녀가 배회하던 그 거리에 대한 애정이 고스란히 베여있다.

도시 풍경을 고스란히 글로 담아내는 일, 산책을 하면서 그녀의 오감에 고스란히 녹아내린 일상을 다시 끄집어낸 점에 그녀가 뛰어난 관찰력을 지녔음을 알 수 있었다. 읽으면서 카메라를 따라가고 있는 듯한 느낌과 그녀가 조용히 내레이션을 읊어대는 느낌에 내 마음도 차분해졌다. 시대를 풍미하고 무역의 중심이었던 영국 런던과 그 뿌리 깊은 역사의 장에 나도 발걸음을 옮겨 보고 싶은 욕구가 들 정도였으니 말이다. 역사의 밑그림이 그려지고 그녀의 글들로 채색이 될 때면 런던에서 태어나지 못한 나의 운명이 조금은 부당하지 않은가라며 탓도 해 보았다.

 

 

자, 지금부터 그녀의 발자취를 따라가보자..
그녀는 런던 부두에서 시작해 시인 키츠의 집을 거친 후 세인트폴 대성당에서의 웅장함과 고즈넉함을 이야기한다. 그리고 하원 의사당에서의 동상에 대한 그녀의 예리한 견해를 덧붙이고 마지막으로 런던 주택가 골목, 런던 토박이로 생을 살던 평범한 크로 부인의 응접실과 일상 등을 소소하게 담아내고 있다.

런던의 새로움과 낡음은 산업혁명을 거치면서 더욱 두드러진다. 대수로운 물건의 가치들이 대수롭지 않게 변화하고 그 안에서 삶을 이겨내고 있는 이들의 땀 냄새까지도 전해져 오는 듯하다. 속도의 무질서는 거리의 무질서와 동등하게 변화하고 그곳에서 힘을 내뿜는 이들의 강한 고함소리에 도시는 새로움을 덧붙여간다. 그러한 면모들을 안타까워하며 그녀는 강한 비판도 서슴지 않는다.

빈약함, 종잇장 같은 석재, 가루 같은 벽돌은 우리 시대의 경솔과 허식과 조금증과 무책임을 반영한다고 말이다.
런던의 현대적 매력은 지속을 목표로 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런던은 사라짐을 목표로 세워진 도시다. -p.36
삶은 투쟁이고, 모든 건축물은 소멸하며, 모든 과시는 허영임을 이 촌스럽고 천박하고 번잡한 거리가 우리에게 상기시킨다는 사실 말이다. -p.41

웨스트민스터 사원을 거닐던 그녀의 눈에 비친 산자와 망자에 대한 섬세한 묘사는 그 웅장함을 드러낸 건물만큼이나 격렬하였음을 느껴볼 수 있었으니 영국 역사 책을 꺼내보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하여 웨스트민스터 경내는 쉴 새 없이 고성들이 오간다. 단호한 몸짓과 인물들 특유의 자세가 경내의 평화를 깨뜨린다. 벽마다 발언과 주장과 실증이 들지 않는 곳이 어느 한구석도 없다. -p.66

그녀의 의식의 흐름은 평범한 부인의 응접실에서 살아났다가 조용히 사라진다. 일상들이 살아서 이야기로 떠다니던 자리. 그곳에서 여성들이 지켜온 가정에서의 일상들이 런던의 삶으로 대변되고 있다.

 

 

 

옮긴이의 말처럼 글쓰기는 고독함이다. 그러나 그 글을 만나는 독자에겐 강한 유대감을 안겨주는 듯하다. 이미 과거로의 시간여행을 통해 그녀를 좀 더 느끼게 되었고 그녀의 소설을 더 사랑하게 될 것 같기 때문이다. 항상 그녀를 떠올리면 그녀의 마지막 선택에 안타까움이 가장 컸지만 온전히 그녀가 숨 쉴 때의 모습은 애정으로 가득했음을 이 짧은 에세이를 통해 느끼게 되어 좋았다. 
나도 애정을 담뿍 담을 수 있는 나만의 도시를 정해놓고 싶어졌다. 산책을 하면서 마음껏 촉수를 열어놓고 이야기를 만들어 낼 수 있는 면모를 지녀보고 싶어졌다.

 

 

"어제는 아주 보람 있는 하루였다.
글 쓰고 산책하고 책을 읽었다."
(1934.8.30 일기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