밝은 밤
최은영 지음 / 문학동네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감정 표현이 서툴다. 침묵은 나의 무기였고 솔직할 자신이 없으면 피했다. 재빠르게 얼굴을 숨기는 거북이처럼 내 감정을 숨겼다. 고로 난 감정싸움을 극도로 싫어한다. <밝은 밤>에서 유독 신경이 거슬린 건 지연과 엄마, 그리고 엄마와 할머니의 관계였다. 반투명 막을 쓴 사연들은 그저 울컥울컥 올라오는 감정 하나면 충분했다. 그렇지만 현재의 그녀들. 서로 접점을 찾지 못하고 꼬일대로 꼬여버린 그 풀리지 않는 관계가 내내 명치를 건드렸다. 그들은 현재의 감정에만 집착하거나 포기하거나 잠복한 상태로 상대를 위한답시고 거리를 이~~따만치 벌려둔다. 끝내 할머니가 들려준 과거사가 그녀들의 거리를 좁히고 그 사이에 기름칠을 할것이라는 믿음이 어느 정도 통하긴 했지만 그곳까지 가는 길은 피로했다. 되돌릴 수 없는 시간들의 안타까움을 너무나 잘 알기에 그랬는지도 모르겠다.

별은 과거와 현재를 동시에 품고 있다. 그래서 그렇게 반짝이는 걸까. 어린 지연은 눈부신 희령의 밤하늘을 품었었다. 다시 희령을 찾았을 땐 엄마와 할머니가 벌려놓은 거리만큼 건너뛴 뒤였고 지연은 분풀이를 하듯 다시 엄마와의 거리도 벌려놓기 위해 이곳을 택했다. 이혼 후 망가져버린 회로를 겨우 이끌고 내려온 이곳에서 지연은 할머니를 만났다. 어린 지연이 그랬듯 서른두 살의 지연도 할머니에게 마음의 문을 연다. 지연은 당장 내 편이 필요했다.

할머니는 지연에게 최대한 예를 갖춘다. 쓸데없이 묻지도, 아픈 곳을 찔러보지도 않는다. 마치 다 안다는 듯이. 오히려 묻는 쪽은 지연이다. 할머니는 지연에게 자신의 엄마를 닮았다고 말한다. 사진속에서 자신과 닮은 여인의 모습에 눈을 떼지 못하던 지연은 처음으로 할머니의 엄마의 이야기를 듣게 된다.

백정의 딸로 태어난 증조모(삼천)와 그런 백정의 딸을 거둔 증조부. 백 년 전 시간을 거슬러 온 문턱에서 나는 한 남자의 순정에 마음이 몽글몽글해졌으나 그것은 딱 거기까지였다. 증조모의 삶은 전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백정의 딸이라는 굴레와 아픈 어미를 버렸다는 죄책감과 남편의 무심함까지 견뎌야 했다. 그 외로운 시간을 버틸 수 있게 한건 서로의 처지를 헤아려 준 새비 아주머니였다는 걸 알게 된다.

지연은 그렇듯 자신의 뿌리를 거슬러 그녀들의 이야기를 듣고 읽는다. 지연은 마음을 꺼내 씻어서 널어 두었다 다시 넣고 싶을 만큼 마음을 덜어내고 싶어 한다. 오랜 시간의 상처가 딱딱한 퇴적층이 된 지연은 과거에서 이유를 찾고 싶었는지도 모른다. 엄마와 엄마의 엄마의 삶을 이해하면 자신에게 사과조차 하지 않는 이들의 뻔뻔함을 납득하게 될지도 모른다고.

다시 혼자가 된 지연은 감정의 쓰레기통이 된 자신이 개새끼 같다고 느낀다. 삼천과 새비 아주머니의 사연을 듣다 보니 감정 분출이란 걸 제대로 해 본 적 없던 지연은 그녀들과 어딘가 닮아 있다. 백정의 딸로 태어난 삼천에게 외로움과 체념은 어쩔 수 없는 운명이었다. 새비 아주머니는 가세가 기울때마다 시댁 사람들의 타깃이 되고 원폭 피해자가 되어 돌아온 남편이 죽자 쫓겨나게 된다. 곪아 있는 건 언제든 터질 준비가 되어 있고 지렁이도 밟으면 꿈틀댄다. 반기의 시작은 새비 아주머니였고 자연을 포함한 통쾌함의 삼종세트가 반가웠다. 당신이 기러고도 인간이냐며 속시원히 시모에게 쏘아부치던 새비 아주머니, 한번만 더 그런말 했다간 당신 내손에 죽는다며 남편에게 날을 세운 삼천의 분노, 늘상 엄마를 무시하던 삼촌에게 지연이 쏘아올린 마지막 한방까지.

모든 관계가 한결같을 순 없다. 삼천과 새비아줌마, 희자와 할머니와의 관계 역시 전쟁의 굴곡에 휘둘린다. 그럼에도 그들의 관계는 어려울수록 빛을 발했다. 살뜰했던 편지와 애틋한 몇 장의 사진을 뒤로하고 끝내 전하지 못한 진심은 안타깝지만 서로를 웃게 만들었던 아름다운 사람들과 죽음의 그림자를 달아나게 한 따스한 손길들은 그녀들을 어디에서나 지탱해 주었다. 그러한 우정이 없었다면 그녀들의 과거는 온통 암흑이었으리라.

"기냥 너랑 내가 서로 동무가 된 것으로 충분하다고 생각해주면 안 되갔어?" -p.258

만남과 헤어짐 그 연속성을 이해하지 못하는 지연은 헤어짐을 견디지 못한다. 그녀에게 이별은 늘 갑작스럽게 왔다. 언니의 죽음과 어린 시절 할머니와의 헤어짐, 그리고 남편과의 이혼. 자신의 감정은 늘 배제된 채 이루어진 이별 때문에 혼자가 되는 것이 두렵다. 늘 혼자였던 할머니. 그런 할머니는 지연에게 고백한다.

"내 얘기 들어줘서, 들어줘서 정말 고마워" -p 251

할머니는 그저 내 이야기를 들어준 지연이 고마웠겠지만 오히려 지연은 마음의 동토층이 녹았음을 체감한다.

왜 우리는 그 사람에게 프레임을 씌우고 주변과의 관계에 집착을 하는 것일까. 찰나 같고 그 먼지 같은 시간들을 외롭게 버티도록 방치하는 것일까. 백정의 딸이라는 이유만으로, 아비 없는 딸이라는 이유만으로, 이혼녀라는 이유만으로 침묵하고 감내해야 했던 여인들은 그들끼리 소통의 다리가 되어 그 험난한 시간을 지났고 지나가고 있다.

엄마와 지연의 대화는 매번 서로를 후벼파는 것으로 끝난다. 꼬여버린 관계 뒤틀리고 비꼬인 대화. 지연은 이해받지 못한 자신을 방어하기 위해 엄마의 치부를 건드리는 방식을 택한다. 정작 자식에게 쓴소릴 들어야 하는 건 아빠 같은데 말이다. 딸 앞에선 욕설을 남발하는 아빠라니. 지연은 그 사이 길강아지 한 마리를 떠나보냈고 위험천만했던 사고도 당한다. 그녀들의 선택과 후회를 떠올리다 문득 이 지겨운 감정싸움의 끝이 자신을 향해 있음을 깨닫는다.

암호학자가 된 희자를 보며 이런 생각이 든다. 인생을 잘 견뎌내기 위한 암호는 '내게 누군가가 있다'라는 믿음이 아닐까. 그러한 믿음만 있다면 우리의 밤은 점차 밝아질 것이다. 지금 내게 있는 누군가를 떠올려 보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