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라는 세계 (리커버)
김소영 지음 / 사계절 / 2020년 11월
평점 :
품절


 

김소영 작가는 생소하지만 2월에 단골 동네 책방 SNS에서 책과 작가 소개 글을 보았다. 책방 쌤의 추천에도 불구하고 이미 어린이라는 세계를 지난 청소년 두 분이 있어 등한시할 수밖에 없는 제목이었다. 마치 더 이상의 육아서는 필요하지 않다는 듯 밀어두었던 것이다. 그럼에도 읽은 건 주변인들의 강력 추천 때문이고 무의미를 의미 있게 바꾸고자 한 다짐 때문이었다.

 

작가는 독서교실을 운영하면서 많은 어린이들의 삶을 공유하고 있었고 그 속에서 적잖은 깨달음을 얻는다. 수업했던 책들도 여러모로 영향을 끼쳤다. 책 속 지혜와 경험에서 우러나온 글들을 읽고 있으니 이런 생각이 든다. 우리의 어린 시절은 다 어디로 간 걸까. 왜 그때를 까맣게 잊고 어른으로 성장해버린 것일까. 서툴지만 기발하고 엉뚱하지만 진실된 행동들이 왜 이상하게 비틀리고 획일화돼 버린 걸까. 왜 어린이들에게 차렷, 열중쉬엇이라며 고함만 치는 것일까.

 

나도 고백컨대 어린이에게 그다지 관심이 없다. 결혼하니까 애를 낳았고 내 아이니까 키웠을 뿐이다. '노 키즈 존'에 대해선 부정적인 입장이나 '오죽하면'이라는 쪽을 더 응원해오기도 했고 그 부모의 그 아이라는 방정식이 맞다고 여겨 '노 배드 페어런츠 존'에도 마찬가지의 시선을 두었다. 가끔은 무자식이 상팔자라는 한탄도 한다. 그렇다고 내 아이들이 절대 유별난 건 아니다. 단지 육아에 온통 내 시간을 뺏기는 게 가끔 억울했고 시시각각 변하는 아이의 눈빛에 적절히 대응하는 게 어려웠다.

 

참 많은 순간들이 지난다. 아이의 속도를 인정하지 못하고 아이의 높이에서 바라봐 주지 못했던 시간들과 아이가 지닌 감각과 호기심에 내 방식대로 반응했던 시간들이 부끄러워진다. 코를 제대로 푸는 법을 가르쳤던가. 운동화 끈을 제대로 묶는 법을 살갑게 설명해 주었던가. 엄마 곁을 좀처럼 떨어지지 못하는 아이를 귀찮아하며 밀어낸 적은 없었던가. 빨리빨리 다그치며 기다림이란 소중한 시간을 배우지 못하게 한건 아닐까. 어쩜 이렇게 후회스러울 수가.

 

어린이날이라 오늘자 뉴스에 이런 제목의 기사가 떴다. '아이 친구에 떡볶이 사준 게 무개념?…"길거리 음식 먹인 적 없다" 타박 문자'(출. 아시아 경제) 기사 내용을 보며 이 부모는 진짜 부모 공부 다시 해야 되겠단 생각이 절로 든다. 아이는 혼자 키우는 게 아니다. 사회와 나라와 온 우주가 함께 키워야 한다. 이렇게 내 안에서 내 방식을 고수하며 상대의 성의를 상식이 없다고 매도한 부모 밑에서 자랄 아이의 감성이 걱정스러울 따름이다. 그렇기에 더더욱 어린이가 없어도 읽어야 한다. 마스크를 사기 위해 선 줄을 보며 어린이도 사려고 줄을 섰냐며 묻는 몰지각한 어른이 되지 않기 위해서라도 말이다.

 

여러 감동의 에피소드 중 아이의 이 한마디가 여전히 내 맘을 울린다.

"녹을 까요?" ​

선생님이 나눠 주신 초콜릿을 엄마 아빠와 먹기 위해 손에 쥐고 갈 생각을 하다 선생님에게 물은 것이다. 정말 예쁘지 아니한가. 이 아이는 분명 제대로 된 사랑을 받고 있음을 느끼게 된다.

 

설득하는 말로 '무엇을 하지 말자'보다 '무엇을 하자'라는 말이 더 효과적이라고 한다. 자기가 고른 책을 직접 결제하고 싶어 하는 아이의 마음을 헤아려준 책방 주인의 마음처럼 그런 어른이 되자. 다시 돌아간다면 이번만큼은 아이의 말을 들어 주고 기다려 줄 텐데.ㅎ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