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으로부터,
정세랑 지음 / 문학동네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와이, 팬케이크, 도넛, 무지개, 서핑, 훌라춤.

할머니의 십 주기 제사 때문에 모인 장소라는데 나는 그냥 이런 것들에 시선이 꽂힌다. 이런 제사라면 백 번도 더 환영이고 이런 제사를 받는 입장이라면 죽음조차도 두렵지 않을 것만 같다. 그러려면 나의 생은 할 말이 많아야 하고 자식들도 많아야 한다.

심시선처럼.

 

<시선으로부터,> - 제목에 쉼표가 빠지면 절대 안 된다!! -는 온라인 독서 모임이 있어 부랴부랴 읽었다. 그러고 보니 <지구에서 한아뿐>도 오프라인 독서 모임 때문에 읽었으니 으찌되었든 정세랑 작가와 나의 인연은 반강제적 만남인 셈이다.^^ 한아도 사람 이름인 줄 몰랐었는데 시선도 사람 이름일 거라고는 일도도 생각 못 했다. 작가의 독특한 언어유희가 맘에 든다.

 

우선 책장을 넘기면 현기증 나는 가계도 - 등장인물이 많으면 집중력이 떨어져서다 - 가 등장한다. 우쨌든 심시선을 따라 좌우하를 대충 훑고 바로 들어갔다. 어차피 읽다 보면 정리가 되니까. 심시선은 화가이자 작가로 활동한 여성 예술가이자 당대의 시선으로부터 자유롭고 자 한 여성이었다. 그녀는 자녀들에게 제사 따윈 지내지 말라는 부탁을 하고 떠났다. 하지만 십 년 뒤 맏딸 명혜는 가족들에게 색다른 제사를 제안한다. 하와이에서 각자 엄마를 추억할만한 것들로 딱 한 번만 지내자고.

 

시선은 예술가로서 많은 조각들을 남겨놓았다. 그녀의 책, 방송, 인터뷰, 그리고 그녀를 모델로 한 그림까지. 그랬기에 여러 시선들이 존재했다. 그녀는 여성 예술가로서의 거침없고 자유분방한 삶이 환영받지 못한 시절에 시선으로부터 자유롭고자 했다. 그러한 시선으로부터 파생된 자녀들은 달랐다. 확실히.

자녀들은 시선의 조각을 재조명하여 자신들의 삶에 비춰본다. 어느 한곳에 치우치지 않은 건강한 정신력을 지녔던 시선의 삶이 유독 더 두드러질 수밖에 없었던데는 등장인물들의 개성이 강하면서도 서로 조화롭기 때문이었다.

 

시선은 여성 예술가로서, 이민자로서 차별과 편견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특히 그녀를 정신적으로 학대한 마우어에 대한 묘사가 뚜렷하진 않지만 시선의 주변인들 중에서는 정신적으로 문제가 있어 보였다. 시선의 팔에 남은 나이프의 흔적에서 짐작하건대 예술가로써 질투한 점은 확실해 보인다. 그녀의 인생에서 군림하다 훼방꾼으로 전락한 것도 모자라 자살로서 그녀를 파렴치범으로 몰았다. 붓 대신 펜은 그녀의 선택이었지만 붓을 완전히 내려두게 된 이유도 그간의 시간을 잊고자 한 것이 아니었을까.

 

이번 책에서도 역시나 환경에 대한 경각심과 사회문제를 빼놓지 않았다. 해림이 새에 관해 나누는 대화(외래종), 우윤이 선크림을 바르지 않은 서퍼 강사의 피부를 보며 환경이냐 피부암이냐를 고민하던 모습을 보며 자연을 대하는 시선에 경각심을 더하게 된다. 염산테러를 당한 화수의 사연과 규림과 한빛의 단톡방 합성사진 사건, 그리고 마우어의 자살 속에 얽힌 피해자와 피의자를 바라보는 시선들을 보면서 진실과 사실 사이의 올바른 고찰이 필요해 보인다. 유조선 침몰 소식에 시커먼 기름을 뒤집어 쓰고 죽어가는 새들을 떠올리며 안타까워하는 마음들이야말로 절실하게 필요할때다.

 

“남이 잘못한 것 위주로 기억하는 인간이랑 자신이 잘못한 것 위주로 기억하는 인간.

후자 쪽이 훨씬 낫지”

 

시선으로부터,의 의미를 생각해 보았다.

먼저 심시선으로부터 파생된 가족들의 삶을 보여준다는 의미와 심시선의 시선으로 본 당시 사회상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타인의 시선으로부터라는 의미가 있겠다. 우리는 모두 타인의 시선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쉼표는 시선의 안과 밖에서 스스로를 어찌 못하고 망설이는 사람들을 위한, 혹은 시선 때문에 혼란스러워하는 사람들을 위한 것이 아닐까 한다.

우리 모두 시선으로부터 숨 좀 돌리고 살기를.^^

 

시선으로부터, 상처받지 않기를

시선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기를

시선으로부터, 자유롭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