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여자들의 집
래티샤 콜롱바니 지음, 임미경 옮김 / 밝은세상 / 2020년 10월
평점 :

타인을 위해 살았던 그리고 살려는 여자들이 있다.
한 명은 오랜 과거 속 여자이고 한 명은 현재를 살아가는 여자다. 과거 속 여인은 타인을 위해 자신의 삶을 기꺼이 내어 주었고 현재의 여자는 타인에게 맞춘 삶을 살다 이제 막 방향을 전환하려 한다. 과거 속 여인처럼.
세상은 균열을 내려는 자와 세상의 균열을 빛으로 채우려는 이들이 있다. 이 이야기는 오래전 프랑스 구세군의 역사와 함께 한다. 구세군의 의미는 '세상을 구원하는 군대'라는 뜻이다. 작가는 프랑스 역사 속 인물인 블랑슈 페롱이란 인물을 모티브로 연대를 이끌어낸다. 독일 총리 메르켈은 어느 연설에서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건 이성과 연대와 연민이라고 했다.
사회적 약자와 소외받은 이들, 거짓과 편견으로 얼룩진 세상에서 상처받은 이들, 세상의 문밖으로 밀려나버린 이들에게 우리는 왜 따스한 마음 한 조각을 내어주지 못하는 것일까.
이야기는 현재를 살아가는 여성, 솔렌의 시선으로 풀어내고 있지만 작가는 그 밑바탕에 오래전 누군가의 희생으로 세워진 '여성 궁전'에 관한 스토리를 숨겨 놓았다.
세상이란 집은 오랫동안 여자들을 위한 곳이 아니었다. 여자들에게 있어 집은 편안함과 안락한 공간이 아닌 주변인들을 위해 희생하는 공간일 뿐이었다. 존재감을 잃어버린 채 살아간 수많은 여성들은 그들의 의지와는 상관없는 삶을 살았다. 1920년대 그렇게 거리로 내몰린 여자들과 아이들을 위해 버려졌던 건물을 희망으로 채운 이가 있었다. 그녀는 자신의 몸이 희생으로 닳고 닳을 때까지 타인을 위해 살다 떠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