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브리프 DEBRIEF Vol.2 포스트 코로나 시대 달라지는 우리 삶 - POST COVID-19 디브리프 DEBRIEF 2
바이러스디자인 UX Lab. 지음 / 바이러스디자인 / 2020년 7월
평점 :
품절


 

 

이미 우리는 2020년대를 사는 게 아니라 훨씬 더 앞당겨진 미래를 살고 있는 거나 마찬가지다. 아직 준비도 덜 된 상태로 급작스럽게 변화는 시대를 받아들여야 하니 혼란스럽다. 매일매일 쏟아지는 새로운 정보에 무엇부터 따라잡아야 할지 당황스러울 지경이다.

 

달라져도 너무 달라지고 있는 삶.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잘 이해하려면 뉴러너가 되어야 한다. 코로나보다 디지털 땜에 멀미가 날것 같지만 달라지는 삶에 익숙해지려면 어쩔 도리가 없지 않겠는가.

 

이 책은 트렌드 가이드북이다. 이미 미래트랜드에 관한 내용으로 1권이 출간되었으며 2권에서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다루고 있다. 그나저나 이런 책이 있다는 게 참 다행스럽다. 편집도 우수하고 디자인도 참 예쁘다. 책을 보고 있는데 남편은 이미 다 알고 있는 내용이 아니냐며 반문한다. 하지만 한 장 한 장 펼쳐보니 알고 있는 것보다 더 알찬 정보가 들어 있었다. 용어의 의미부터 차근차근 살펴볼 수 있으니 새로운 공부가 된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변화하는 것과 변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세계보건기구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정식 명칭을 COVID -19로 정했다. CO(Corona) 코로나 VI(Virus) 바이러스 D(Disease) 질병의 줄임말로 지리적 위치, 동물, 개인이나 집단을 지칭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라고 한다.

코로나 일지를 보며 올해 초부터 변화된 세계정세를 들여다보았다. 전 세계 확진자 수와 발생국을 보고 있자니 한숨이 절로 나온다. 역사책에서나 보던 팬데믹 현상을 내가 겪고 있을 줄이야.

 

코로나 발생 추이에 따른 구매 행태 변화도 재밌는 양상으로 변화되고 있다. 굳이 재밌다는 말을 붙인 건 4단계에서 보복 소비가 이루어졌음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허탈, 짜증, 불신에 의한 소비라면 위험한 소비가 아닌가.

 

 

 

 

언택트 시대 모두 온택트로 몰리고 있다. 비지니스, 교육, 문화, 예술, 경제 모든 분야들이 죄다 온라인으로 몰리고 있다. 많은 이들이 디지털 플랫폼으로 몰려들고 있으니 그 틈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까 하는 두려움도 앞선다.

 

우선 발빠르게 변하는 것이 유통시장이다. 온라인 시장의 대변화는 50~60대까지도 온라인 쇼핑에 빠지게 만들었다. 구독 경제 시장이 확대되면서 가정에서 모든 걸 해결할 수 있는 제품이나 정기배송을 이용하는 고객도 점차 늘고 있다고 한다.

각 택배회사들은 인력을 충당하느라 바쁘고 최적의 배송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쿠팡이나 마켓컬리에 이어 얼마 전에는 네이버가 장보기 시스템을 오픈했다. 동네 재래시장까지 입점해 있다고 하니 이젠 정말 손가락 하나로 모든 게 이루어지나 보다. 하지만 온라인에 취약한 세대를 흡수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은 해결해야 할 문제다. 미국은 옴미 채널 형태의 쇼핑문화가 생겨났다고 한다. 온라인으로 구매한 물건을 드라이브스루 픽업 서비스로 찾아간다고 한다. 직접 구경하고 맛보고 흥정하던 시절이 막을 내리는 것 같아 쓸쓸하지만 어쩌겠는가.

 

온라인 고객이 늘어남에 따라 오프라인은 또 다른 변화를 꾀 내어야 했다. 브랜드 매장은 실질적 매출보다 체험 위주의 공간을 만들어 고객의 이목을 집중하고 있는데 소개된 시모스 매장이나 프렐류드, 오키로북스는 찾아가고픈 곳이다. 실물 소비의 재미를 포기할 수 없지 않겠는가.

 

원치 않는 집콕시대때문에 집에서 할 수 있는 각종 놀이문화도 뜨고 있다. 달고나 커피 한번 안 만들어 본 집이 없을 정도로 그 인기는 대단했고 요리 관련 개인 유튜버도 엄청 증가했다. 면역력을 길러야 한다며 신선하고 질 좋은 식자재를 주문하고 직접 요리를 하는 횟수가 늘어남에 따라 식비 증가도 부담이 되었다. 그래서 직접 채소를 기르는 일에도 관심이 가던 차 시중에 식물 재배기가 판매되고 있다는 사실을 첨 알게 되었다.

게다가 거의 집에서 식사를 해결하다 보니 매번 식사를 준비하는 일이 쉽지 않았는데 반조리식품의 편리성도 알게 되었다. 시중에 나와있는 반조리 식품의 가짓수를 보며 또 다른 신세계를 보는듯했다. 육류를 대체할 식품이 개발되고 있다는 점은 참으로 반가운 뉴스다. 환경문제도 지속적으로 생각해야 하니까.

외식업체도 비대면시스템에 대응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힘든 일을 로봇이 대체함으로써 직원들의 서비스 질이 높아졌다는 점은 좋게 보인다.

 

언택트때문에 가장 아쉬운 건 문화생활이다. 하지만 죽어가던 예술, 문화도 다시 새로운 방안을 찾고 있다. 4월에 진행된 방탄소년단의 방방콘은 어마어마한 조회수로 세계를 놀라게 했다. 물론 나도 그 조회수에 한몫했다.ㅋㅋ 이렇듯 온라인 플랫폼 안에 공연, 전시, 체험 등이 모두 옮겨 오게 된다면 편리하겠지만 공연장에서 땀 흘리며 응원하던 시절이 이렇게 가는구나 싶어 안타깝기도 하다.

 

비지니스나 교육의 변화가 어쩌면 가장 당황스럽지 않을까. 재택근무의 편리함에 대해 말하는 이들은 많지만 온라인 학습은 아직 그렇지 못하다. 맞벌이 부모의 아이들은 거의 방치 수준이고 어른도 장시간 집중하지 못하는 수업을 아이들에게 강요하고 있으니 집중도도 떨어져 학습저하를 낳고 있다. 조금씩 화상수업을 진행하고 있지만 이것도 아직 갈 길이 멀고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수업에 임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게 시급할 것 같다. 이후 학교의 변화에 가장 주목을 하며 지켜봐야 할 것이다. 그래야 발 빠르게 변하는 기업에 맞춰 그에 걸맞은 인재를 육성할 수 있지 않을까.

 

이미 코로나는 우리 생활 시스템을 많이 변화시켰다. 코로나와 함께 가야 한다는 의미다. 사회적 거리두기는 각자 살아가야 한다는 의미가 아니다. 조금씩 거리를 두고 함께 가야 할 길을 찾아야 한다. 물리적 거리는 멀어졌지만 기술적 거리는 더 가까워졌기 때문이다. 새로운 변화에 도태되지 않기 위해서는 함께 공부하고 같이 가야 한다. 이 책의 뒷장에는 디자이너의 상상이라는 코너가 있다. 기발한 아이디어는 우리의 삶을 더욱 윤택하게 해 줄 수 있음을 보았다. 나에겐 원터치 투명 돔이 필요할 듯^^

 

마지막으로 이런 위기에 생활 전반에 대한 대처도 중요하지만 코로나19에 대한 반성과 더불어 기후 위기에 대한 관심도 필요하다. 이럴 때일수록 기후 위기에 대한 심각성을 깨닫고 많은 이들이 실천의지를 불태워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