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 여우를 위한 무서운 이야기 - 2020년 뉴베리 아너상 수상작 미래주니어노블 5
크리스천 맥케이 하이디커 지음, 이원경 옮김 / 밝은미래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들은 무서워하면서도 무서운 이야기를 듣고 싶어 한다. 유독 둘째 아이가 미스터리 호러에 꽂혀서 나도 최근에야 덩달아 찾아보게 되었는데 무서움 아래 인생의 교훈도 있어 조금씩 흥미를 붙이게 되었다. 뉴베리상 작품은 다 찾아보진 못했지만 몇 권 읽은 적이 있다. 그런데 이번에는 시즌에 걸맞게 납량특집이다. 하지만 어린 여우를 위한 무서운 이야기라고 해서 시시하게 무서운 건 아닐까 했는데 이건 무서움의 방식(갑툭튀나 피철철이 없는)이 좀 달라 무서웠다.

 

아이들이 어렸을 때도 그렇게 이야기를 들려달라고 졸랐다. 정말 동화책이 없었다면 그 많은 밤을 으찌 보냈을까 싶다. 그만큼 아이들은 이야기 듣는 것을 좋아한다. 책에 등장하는 일곱 마리 새끼 여우들도 엄마에게 무서운 이야기를 들려달라고 조른다. 하지만 엄마는 이미 밑천이 바닥난 상태였고 대신 새끼 여우들의 호기심을 자극해놓고 잠들어 버린다.

 

새끼 여우들은 꼬리가 하얗게 변할 만큼의 무시무시한 이야기를 듣기 위해 습지 동굴로 향한다. 새끼 여우들을 본 늙은 이야기꾼도 새끼 여우들의 담력을 자극하며 호기심을 부추긴다. 무서운 이야기가 단순히 공포만을 전하는 것이 아님을 이야기꾼은 강조한다. 이는 이야기 속에서 찾아야 할 메세지이자 희망이다.

 

 

 

늙은 이야기꾼은 한편씩 이야기를 들려준다. 그러면서 꼭 새끼 여우들의 반응을 살피는 것도 잊지 않는다. 이야기 속에는 위기에 처한 어린 두 여우가 등장한다. 스승님과 형제들이 이상한 노란 악취에 오염되어 좀비처럼 변하자 엄마와 도망치다 그만 인간에게 붙잡히고만 미아. 태어날 때부터 한쪽 다리에 이상이 있어 누나들의 놀림감이 되고 심지어 아빠한테까지 위협을 받게 되어 홀로 도망을 칠 수밖에 없었던 율리.

이야기는 각각 다른 인물과 다른 지점에서 출발하였으나 죽을 위기에 처한 미아가 율리의 도움을 받으며 가까스로 탈출하게 되면서 새로운 하나의 이야기가 된다.

 

사건이 거듭될수록 이야기를 듣던 새끼 여우들은 여러 가지 이유를 들며 한 마리씩 집으로 돌아간다. 의외였던 건 처음과는 달리 제일 겁을 내었던 막내 여우가 그 자리를 끝까지 지킨다는 사실이다. 그 이유는 이야기를 끝까지 읽어야 만나볼 수 있다.

 

그렇다면 이 이야기에서 가장 무서웠던 건 뭘까?

노란 악취? 인간(덫을 놓은, 포터 부인)? 오소리와 같은 천적? 자신보다 강하고 난폭한 여우?

 

두 어린 여우는 각각 엄청난 위기에 직면하고 죽을 위기를 넘기며 어른으로 성장한다. 여우들의 모험담에 푹 빠져 있다보면 정작 무서운 건 그런 것들이 아님을 알게 된다. 미아가 포터 부인에게 잡혀 인형이 될 위기에 처했을 때보다 미아에게 온 다섯 마리 아기 여우에게 닥칠 위기감이 훨씬 두려웠다. 율리가 발톱 마왕(아빠)에게 죽임을 당할까 무서운 것보다 불완전한 자신을 포기해 버리면 어쩌나 하는 두려움이 더 컸다. 하지만 둘은 서로를 믿고 의지하며 조금씩 두려움을 극복해나갔다. 의지할 누군가가 있다는 것만으로도 용기와 지혜가 생겨난다. 미아는 율리를 위해 라일락 왕국에서 더 대담한 용기를 내었고 율리는 그런 미아를 위해 지혜를 짜내어 탈출에 성공한다. 누가 더랄 것도 없이 서로에게 필요한 존재가 되어준 것이다.

 

미아와 함께 있는 하루하루가 율리에게는 결코 알아서는 안 될 비밀을 깨닫는 순간 같았다. -p.342

 

덫에 걸렸다 율리의 도움으로 빠져나온 미아는 한쪽 다리를 거의 쓸 수 없는 지경에 이른다. 마침내 미아는 율리의 입장과 똑같이 마주하게 된다. 그런 미아의 눈에 불완전한 몸으로 위기를 극복한 율리가 더 대단해 보이지 않았을까.

 

 

 

물론 이야기꾼의 말처럼 야생에서는 어떠한 새끼 여우도 안전할 수는 없다. 발톱 마왕에게 자신의 왕국이 중요하듯, 포터 부인에게는 자신의 동화가 중요하듯 공포를 불러오는 자들도 각자의 타당한 이유가 있으며 죽음의 그림자는 언제나 불공평하게 찾아오는 것이니까.

 

본능이라는 껍질을 벗겨내면 그곳은 여느 인간사와 다를 바 없어 보인다. 어쩌면 인간사는 그보다 더 잔인하게 무섭다. 어린아이들이 살아가기엔 말이다. 암흑 같은 세상에 가족보다 더 따스한 우정을 바탕으로 서로에게 더한 밝은 미래가 되어준 두 어린 여우의 이야기를 통해 삶을 대하는 태도에 대해 고심해보면 어떨까. 위기가 닥쳤을 때 미아와 율리는 원망보다는 방법을 찾아내려고 노력하지 않았는가. 그렇듯 무서운 일들은 언제든 우리 앞에 대기하고 있을 것이고 그때마다 우리는 새로운 이야기를 계속 만들어가면 된다. 그러면서 스스로 터득하는 것이다.

 

네가 가장 중요한 순간에 두려움을 이겨 내고 꼭 필요한 일을 했기 때문에 스스로를 구했다고 생각해. -p.329

 

나는 포터 부인이 등장하는 장면이 가장 무서웠다.ㅋ 동물을 잡아다가 이야기에 써먹고 눈과 내장을 파낸 후 솜을 채워 인형을 만든다는 설정이 왜 이리 끔찍한지. 포터 부인하면 피터 래빗의 작가 비아트릭스 포터가 떠오르는데 이 설정은 뭐지??했다. 실제로 그녀는 동물과 대화하고 그들의 신체구조와 행동방식을 세심하게 관찰하고 스케치하는 등의 일상으로 무료함을 달랬다고 한다. 동화작가이자 식물학자이며 환경운동가였던 그녀가 공포를 불러오는 이미지와는 거리가 멀지만 이 동화에서는 역할이 180도 바뀌어 등장하니 그것도 재미난 설정인 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