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관에 간 물리학자 - 명화에서 찾은 물리학의 발견 미술관에 간 지식인
서민아 지음 / 어바웃어북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년에 미술책을 보다가 요하네스 페르메이르의 <회화의 기술>이란 작품을 아주 인상 깊게 보았던 기억이 있었다. 그의 그림 속에 깃든 과학적 기법들이 무척이나 신기했고 그 정교함에 놀라움을 금치 못했었다. 그의 그림들이 유독 내 뇌리 속에 남아 있었던 이유는 작가의 고뇌와 열정을 고스란히 느낄 수 있었기 때문이다.

 

평소 사진에 관심이 많고 제품 촬영도 하다 보니 나도 빛에 상당히 민감한 편이다. 특히 자연광을 선호하기 때문에 하루 언제쯤 촬영을 해야 좋은 감도를 얻을 수 있는지, 혹은 시간대별로 촬영을 했을 때 사진의 느낌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잘 안다. 그러한 이유로 빛을 잘 표현한 작품이나 풍경화를 보면 막 설렌다.

 

미술은 예술이라는 하나의 분야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다양한 분야와 맞물려 있다. 어바웃어북에서는 꾸준히 수학, 화학, 의학, 인문학과 미술작품의 상관관계에 관한 책을 내놓고 있는데 이번에는 물리학이다. 다른 책은 패스해놓고 관심도 없던 물리학에 혹 한건 페르메이르 작품뿐 아니라 인상주의, 신인상주의 등 내가 좋아하는 작품들이 언급되어 있을 것 같아서였다.

미술책을 가리지 않고 보다 보면 비슷하게 겹치는 부분이 있기 마련이다. 다행히 아는 작품들이 많았고 그 작품들과 물리의 상관관계를 언급하고 있어 정말 흥미롭게 보았다.

 

 

 

 

예상했던 대로 첫 번째 챕터가 빛에 관한 작품들이었다. 첫 작품부터 시선을 뗄 수 없었다. 빛이 없는 겨울 풍경이지만 그 시절의 날씨를 예측해 볼 수 있는 풍경이다. 1500년대는 소빙하기 시대로 혹독한 추위가 온 세상을 얼려버렸고 페스트로 유럽 인구 절반 이 사라졌으며 그로 인해 마녀사냥도 자행되었던 시기다. 어쩜 그렇게 지금과 상황이 비슷하게 돌아가는지 씁쓸한 기분이었다. 인간 본성은 1500년대나 21세기나 별반 차이점이 없구나. 허나 고단하고 힘겨운 시절이었을 텐데 겨울을 즐기는 사람들의 모습과 풍경만은 시리도록 아름다워 보인다.

 

빛과 관련된 여러 물리학적 관점의 여러 작품들을 보다 보니 이전에 보았던 작품도 새롭게 보인다. 모네와 마네의 작품에서는 인상적인 물결의 흐름을 볼 수 있는데 물결에서 전해지는 파동과 예술가의 고뇌를 연결 지은 점도 흥미로웠다. <로슈포르의 탈출>에서 느껴지는 긴박감과 위태로운 상황이 고스란히 전해진다.

 

해가 뜨고 지는 일은 똑같이 반복되지만 풍경은 매번 다른 장면을 연출한다. 이를 포착한 화가들은 자연을 관찰하며 빛의 변화를 놓치지 않았다. 심지어 그 풍경 속에 눌러 앉은 작가들도 있다. 그림을 통해 세상의 경이로움을 표현하고자 한 것이다. 좋아하는 두 작가의 풍경화들을 보면 풍경화에서 다양한 표정을 찾아볼 수 있다. 다채로운 날씨를 지닌 영국의 하늘을 담은 <건초 마차>와 무지개로 포인트를 준 듯한 햄스테드의 풍경은 애니메이션의 한 장면처럼 아름답다. 베르메르의 델프트 풍경 또한 풍경을 재해석한 점이 돋보였다. 작가가 그만큼 이 풍경을 사랑했음을 느낄 수 있었는데 360년이 지났지만 크게 변하지 않은 델프트의 모습이 더 신기했다.

 

쇠라의 작품은 크게 관심이 없었는데 이번에 다시 보게 되었다. 그가 <그랑드 자트 섬의 일요일 오후>를 완성하기 위해 2년 동안 햇빛 아래서 고생을 하며 한 점 한 점 그렸다고 상상하니 이 작품의 점 하나하나를 사랑하지 않을 수가 없다. 미세하고 많은 점들이 어느 시점에서 보았을 때 가장 아름답게 보이는지를 치밀하게 계산했다는 점도 놀랍다. 19세기 과학자들이 고민했던 빛의 탐구를 그의 작품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이처럼 시대적 고민은 어느 한 분야에서만 유행하는 게 아님을 볼 수 있다. 누군가가 용기와 집념으로 시도한 새로운 화법이 또 다른 사조를 낳은 원동력임을 다시 한번 실감하였다.

"누군가는 내 그림에서 시를 보았다고 하지만, 나는 오직 과학만 보았다." - 조르주 쇠라

 

그림이 점차 세분화되고 과학이 발전하자 보이지 않던 영역까지도 그림으로 표현하게 되고 눈에 보이지 않는 시공간이나 리듬까지도 담아내려고 시도했다. 그만큼 화가들도 작품을 위해 과학을 공부했다. 작가의 머릿속에만 있던 상상의 세계들이 화폭으로 옮겨지자 다양한 변화들이 일어난다. 여러 가지 기법뿐 아니라 화가들이 사용한 물감의 종류나 재료의 변화를 통해서도 흥미로운 작업과정을 들여다볼 수 있다. 잘 알고 있는 고흐의 파랑(코발트블루)과 노랑(크롬 옐로) 이 작가의 입맛에 딱 맞추기가 어려웠던 색이었다고 한다. 강렬한 두 보색의 대비를 보며 고흐의 끊임없는 감정의 소용돌이를 느낄 수 있는데 고흐의 노란색이 점점 짙어져간다니 아쉽기만 하다.

 

이처럼 인상주의, 초현실주의, 입체주의, 옵아트, 추상화 등 다양한 작품들 속에 깃든 작가의 고민들은 물리학과 상당히 닮아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림 속에 철저히 계산된 과학을 발견하는 재미도 있고 과학으로는 설명할 수 없지만 강렬한 에너지를 분출하는 작품들도 만나볼 수 있다. 특히 흥미로웠던 것은 과학의 발전으로 그림을 분석해서 비밀을 풀어내는 작업이었다. 모나리자의 미소에 얽힌 비밀, 작가만이 알고 있었던 덧칠, 진품과 위작을 가려낸 기술력, 고흐의 그림 속에 드러난 또 다른 인물 등은 당시 작가의 일생을 훔쳐본듯한 느낌이다. 정말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을 미술책을 보면서 늘 실감하게 된다. 그래서 더 알고 싶은 것이겠지만.

 

 

 

 

M.C. 에셔 <원형의 근한 Ⅳ> 1960년, 이 작품을 본 순간 지금 상황과 어쩜 이리도 비슷해 보이는지. 날로 상황이 심각해지다 보니 박쥐(악마)만 눈에 두드러지게 보인다. 지금 내 심정이 불안해서 일는지도. 얼른 천사가 더 잘 보이기를.

과학자와 화가라는 꿈 사이를 방황했다던 저자는 과학자가 되고 루소처럼 일요일에는 붓을 드는 삶을 살고 있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단순히 물리학의 관점으로만 미술작품을 설명하고 있지 않음을 느낄 수 있다. 그림에 대한 사랑을 저자와 딸의 작품을 보면서 한층 느낄 수 있었다. 간만에 재밌게 읽은 책이라 빨리 코로나 사태가 진정되어 미술관 나들이를 하고 싶다는 생각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