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디에도 속하지 않은 폴의 하루
임재희 지음 / 작가정신 / 2018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인간은 공동체 생활을 통해 거듭난다. 이미 태어나면서부터 나라는 존재는 구분 지어지고 분류된다. 소속감, 연대감을 기반으로 내 나라와 내 집 그리고 내 이름의 정체성을 찾아간다. 그러나 그것마저도 주어지지 못한 이들이 있다. 이민자들, 해외 입양아들, 이주 노동자들, 난민들, 탈북자들. 어디 그들뿐인가. 내 나라 내 공간 안에서도 자아정체성을 잃은 이들은 존재의 아픔을 안고 살아간다.

이 땅에서 나고 자라 그러한 이들의 아픔을 진지하게 들여다본 적은 없지만 작가의 경험이 녹아있는 문장들을 흡수하니 다양한 아픔의 무게에 마음이 눅눅해진다. 그래서일까 결국 산다는 건 어딘가에 혹은 무언가에 익숙해지기 위해 애써야만 하는 과정 같다는 생각에 이르렀다. 그곳이 어디든, 그 자리가 어디든, 우리는 내가 되고자 한다.

<어딘가에도 속하지 않은 폴의 하루>라는 표제는 그러한 이미지가 가장 강하다. 미국에서 살다 혼자 한국으로 돌아간 엄마를 만나러 온 남자는 4박 5일 일정이 지나고 돌아가야 한다. 그러나 급하게 구한 스탠바이 티켓에 발이 묶이고 만다. 계획에 없던 낯선 시간 속에서 미국과 한국이라는 어색한 경계를 떠올리며 불충분했던 시간의 답을 얻고자 한다. 비록 한국에서 겪은 이미지는 불쾌함 투성이였지만 엄마가 다시 찾은 한국을 이해하려 한다. 한국 유학생의 말끝에 걸린 '네가 한국 사람이 아니라 몰라서 그래'라는 말에 그나마 항변할 수 있는 건 한국담배 맛이다.

이렇듯 소개된 9편의 단편은 잃어버린 무언가를 찾기 위해 떠나고 떠나오고, 다시 돌아오는 이들의 이야기를 담았다. 한국인이지만 미국인으로 살고 있는 폴, 미국 국적을 지닌 채 한국에서 체류 중인 동희, 한국에서 태어나 미국으로 입양 된 압시드처럼 공간적 근원에서 방황하는 이들뿐 아니라 동국처럼 자아정체성을 찾아가는 이들의 이야기도 담고 있다. 그들은 과거의 특정한 기억과 냄새를 품고 자신의 근원을 그리워하거나 멈추지 않는 불행의 시간들로 인해 평범한 일상조차 꿈꾸지 못한다.

왜 불행은 끊임없이 한 사람을 따라다닐까. <동국>편에서 자신의 이름 없이 화자의 작은엄마로 누군가의 엄마로만 살던 여인은 불행의 고리를 거두고 자신의 이름을 찾으려 한다. 남자 이름 같아 싫었다던 이름 석자 최. 동. 국. 의 삶을 살겠다고 말하는 그녀를 떠올리니 한때 처녀 동국의 환한 미소가 겹치면서 눈시울이 뜨거워진다.

<라스트 북 스토어>에서는 이민자들의 외로운 삶이 고스란히 전해진다. 동생네 부부를 찾은 누나는 헌책방 구경에 들뜬 기분이지만 올케의 우울증 앞에서 눈물을 떨군다. 한때 한 시절 추억을 공유한 그녀가 이민이라는 장벽 앞에 무너지고 있는 것이다. 동생네 부부에게 과연 그곳이 마지막 선택지였을까. 다름을 쉬이 받아들이지 못한 그 낯선 곳에서 헌책방에서 만난 한국적인 것에 마음을 쓸어내리는 것만으로 위안이 될까.

<압시드>는 이름에 얽힌 독특한 사연으로 우픈(우습지만 슬픈) 감정을 던져주지만 정체성에 가장 큰 의문을 안고 살아갈 수밖에 없는 입양아들의 외로움이 고스란히 전해진다. 그를 잡았던 생부의 손이 놓아진 자리에 덩그러니 남겨진 글자 ABCD. 불행인지 다행인지 그것은 그의 이름이 되어 그에게 평생 정체성을 부여하려 했지만 그 무게감은 컸다. 그를 지켜준 미자의 삶도 그녀가 따로 쓰던 냉장고만큼이나 외딴 섬이었다. 압시드가 미자만은 꼭 기억해달라던 말이 메아리처럼 들려온다.

<분홍에 대하여>에서는 이혼의 아픔 후 낯선 언어 속에서 숨어 사는 여인이 있다. 조화를 만들어 파는 일이 전부인 그녀에게 세상의 다름을 일깨워 준 것도, 남편의 아픔을 이해한 곳도 이 낯선 미국 땅이다. 비록 희미한 경계지점에 서 있지만 핑크와 분홍의 언어적 차이만은 확실히 짚어낸다.

핑크가 절정을 치닫던 어느 순간들의 화려함이라면
분홍은 붉은빛의 모든 열기가 다 빠지며 남긴 지울 수 없는 흔적이었다. -p.168

<히어 앤 데어>에서 동희와 <천천히 초록>에서의 나도 낯선 상처에 데인 채 한국 땅을 밟는다. 돌아왔지만 고향땅이라고 선뜻 안온감을 내주진 않는다. 하지만 그들은 느껴보려 한다. 동희는 지우지 못하는 번호처럼 혹시나 하는 기대감을 늘려가는 것으로, 나는 전쟁의 상흔처럼 뻥 뚫린 삶의 구멍을 태어난 곳을 돌아보는 것으로 메우려 한다.

<로사의 연못>에서 부부는 꿈을 이루기 위해 노력한다. 그들은 바람대로 그림 같은 집을 짓는다. 그러나 그들이 생각한 행복한 집이 허상이라는 걸 알았을 땐 남편의 욕망도 검은 물처럼 흘러넘치고 있었다. 왜 이질감에 몸을 떨던 순간을 계속 외면해 온 것일까.
<로드>에서처럼 자신이 살아온 여정을 살펴보는 시간을 가졌다면 집착하는 삶을 놓았을는지도 모를 일이다.
삶은 따스한 엄마의 품속을 찾듯 안정을 찾아가는 여정이다. 삼 남매는 엄마의 부탁대로 집으로 가는 여정 동안 무언가를 얻는다.

어쩌면 엄마가 그들에게 보여주려고 했던 것은 집이 아니라 집으로 가는 긴 여정을 생각하는 시간일지도 모를 일이었다.
그들은 문득 자신들도 길 위에서 쉬지 않고 달려왔음을 떠올렸다. -p.236

이도 저도 머물지 못하는 이들은 각자의 사연대로 무게를 견뎌낸다. 국가나 인종의 동질성을 지니고도 그 속에서 또 무수히 이질적인 존재로 살아가는 이들도 많다. 외로움이 영원하다고 한다면 아무리 애도를 한다고 한들 무슨 소용이 있을까. <라스트 북 스토어>에서 올케는 세상이 변하지 않을 것 같다고 절망한다. 그 말을 듣는 나는 더 절망감을 느꼈다. <천천히 초록>에서 '사는 게 다 그래'라는 말에 반감을 가지던 그에 반응에 나도 움찔했다. 어쩔 수 없이 살아야 되는 삶은 없다. 어쩌지 못하는 삶도 없다고 믿고 싶다. 책은 그냥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주라고 말하고 있지만 안온감을 느낄 수 있는 그 어떤 것들을 찾고 싶다. <어딘가에도 속하지 않은 폴의 하루>의 말미를 데워준 택시 기사의 음성메시지 같은 것들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