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한 상견례
영화
평점 :
상영종료


 

펜팔로 서로의 마음을 확인하며 연인사이로 발전한 현준(송새벽)과 다홍(이시영).

이들에겐 부모님이 결단코 반대하는 지역사람이라는 커다란 장애물이 있다.

다홍의 아버지(백윤식)이 다홍을 강제로 선을 보게 하고 시집을 보내려하자

현준은 결혼허락을 받기위해 다홍의 집으로 찾아가고

이들의 위험한 상견례는 본격적으로 시작되는데...
 

영화는 지역감정이 팽배했던 1989년을 배경으로 삼고있다.

당시 전라도와 경상도의 적대적인 대립구도를

현준과 다홍의 가족들을 통해 가감없이 보여준다.

현재 21세기를 살고있는 젊은 세대들에겐

"과연 저 시대는 그랬을까?..."라는 의구심을 갖게 하지만,

영화는 지역감정이라는 유쾌하지 않는 이야기를 가족이라는 울타리안에서 풀어나간다. 

 

두 주연배우 송새벽과 이시영의 전라도 사투리와 경상도 사투리도 인상적이었지만,

무엇보다 이 영화의 재미는 그간 "씬스틸러"라 일컫는 조연배우들의 대거 등장이다.

전라도 벌교출신임을 숨기고 경상도로 시집 온 김수미는

그 동안 자신이 보여줬던 모든 웃음코드를 쏟아부었다.

영화 초반 교양미와 세련미 넘치는 모습으로 등장하지만,

다홍의 사랑이 점점 힘들어지자 전라도 출심 본연의 모습으로 돌변하는 장면은

짜릿한 쾌감과 폭소를 전해준다.

그리고 남다른 언어구사력을 선보였던 박철민 또한 자신만의 특유의 입담으로 언어유희를 완성시켰고

뮤지컬 "영웅"에서 카리스마 넘치는 안중근을 연기했던 정성화는

조금은 떨어지는 변태적인 오타쿠 운봉을 가감없이 표현해냈다.
 

부족한 스토리라인으로 절대적인 공감을 이끌어내진 못했지만,

주조연 가릴거없이 온몸을 내던지는 연기 덕분에

가볍게 즐길 수 있는 재미있는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며칠전부터 열심히 읽고 있는 시마다 소지"기발한 발상, 하늘을 움직이다" 입니다.

  첫번째 챕터를 읽고 난 뒤, 
  "'단편집'이었나?!", 하는 착각이 들었는데 계속 읽다보니 하나로 연결된 이야기였더군요.

 장르소설하면 저는 점성술 살인사건의 "시마다 소지"가 가장 먼저 생각납니다.
 하지만 최근 그의 작품이 좀 그닥이었지요.
 그런데 이번 작품은 상당히 좋은 것 같아 만족하는 중입니다.

 오늘도 출근했는데 회사에서 여유롭게 읽어보려고 합니다.


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루크와 존 이야기 - 상처받은 영혼과 어리바리한 영혼이 만났을 때
로버트 윌리엄스 지음, 김현중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11년 3월
평점 :
품절


열네 살 루크는 갑작스런 교통사고로 사랑하는 엄마와 이별하게 된다. 엄마의 죽음은 어린 루크에게도, 아내를 잃어버린 루크의 아빠 제럴드에게도 크나큰 상처를 가져다주었다. 루크와 아빠는 원래 살던 집을 처분하고 시골마을 듀어데일이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볼랜드 산꼭대기 집으로 이사한다. 매일 언덕에 앉아서 돌멩이와 바위만을 그리던 루크는 어느 날 우연히 편지를 발견한다. 그 다음날 편지를 쓴 주인공인 존이 생뚱맞게 루크의 집에 나타난다. 자신의 엄마도 돌아가셨다며, 자신이 그 편지를 썼다며 생면부지 루크를  위로하러 그의 집을 방문한 것이었다. 그리고 존은 매일 아침 정확한 시간에 루크의 집에 찾아온다. 정체모를 타인이 자신의 일상에 들어온 이후, 루크뿐만 아니라 루크의 아빠까지도 자그마한 변화가 생기기 시작한다.

『루크와 존 이야기』를 읽으면서 나는 두 소년의 불행에 대처하는 자세가 너무나 안타까웠으며 내내 그들의 행복을 바라는 마음이었다. 어린 소년들이 받은 상처는 스스로 그것을 드러내기조차 어려울 정도로 감당하기 어려운 종류의 것이었다. 학교에서 지속적으로 괴롭힘을 당하면서도 반항을 생각조차 못하는 존, 엄마의 죽음을 인정하지 못한 채 입을 다문 루크, 술로 세월을 보내는 루크의 아빠는 여전히 상처 안에서 허우적거리는 중이다. 하지만 이 세 사람이 한 장소에 모였고 그들은 서로를 통해서 치유의 과정을 지나오게 된다. 존이 산꼭대기 루크의 집에 나타나지 않았다면, 루크가 그런 존을 받아들이지 않았다면 참담한 결과는 당연한 수순이었으리라. 하지만 존의 등장은 루크 부자의 상처를 아물게 하는 계기가 되었고 존 역시 루크 부자를 통해서 행복을 찾아 나설 수 있게 된 것이다.

상당히 무거운 이야기를 다루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작가는 매우 담담한 어조로 이야기하고 있다. 감정이 폭발할 법한 부분에서도 절대적으로 평정심을 유지하고 있는 문체는 오히려 주된 이야기 전달에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펑펑 울어도 시원치 않을 것 같은 루크(화자)가 그저 남의 이야기하듯 담담하게 이야기하고 있는 점은 역으로 읽는 이의 마음을 더욱 아프게 하고 있기에 인상적이다.

어떤 인간이든 인간은 자신의 소중한 사람의 죽음 앞에서 한없이 무기력해진다. 죽음은 ‘충격’ 그 이상으로 인간에게 지독한 영향을 미치며 극도의 ‘슬픔’이라는 감정을 생성시킨다. 다행스럽게도 신은 이처럼 나약한 인간에게 ‘망각’이라는 선물을 주셨다. 인간은 신이 내린 선물 한 스푼을 복용하고 앞을 향해 한발 한발을 내딛을 수 있게 된다. 하지만 가끔씩 신의 선물을 받지 못한 이들도 존재한다. 그렇다면 이들은 어떤 식으로 고난을 이겨나가야 하는 것일까! 『루크와 존 이야기』안에는 기로에 놓인 소년이 있다. 앞으로 펼쳐질 시간 속으로 자신을 들여놓을 지의 여부를 고민하고 있는 것이다. 이야기 밖의 독자들은  이 안타까운 소년이 과연 힘든 첫걸음을 뗄 수 있을까, 하는 호기심 어린 시선을 갖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만추 - Late Autumn
영화
평점 :
상영종료


잔잔한 여운이 오래도록 남는 영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이터 - The Fighter
영화
평점 :
상영종료


밋밋한 주연보다 생동감넘치는 조연들이 인상적인 영화! 오스카를 거머쥘만한 배우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