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창조론 연대기 - Knowing God’s Creation
김민석 지음 / 새물결플러스 / 201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늘 <창조론 연대기>를 받았는데, 슬슬 넘겨보다가 앉은 자리에서 다 읽어치웠다.

쫌 감동받았다. 일단 작가의 스토리 전개가 매우 능숙하고 고급스럽다. 자료연구를 제대로 했고, 그것이 만화적 재미에 잘 녹아있어서 가르치고 들겠다는 태도가 없어서 좋았다. 이 문제를 둘러싼 교회 내의 갈등구조를 고교생들의 상황에서 실감나게 잘 표현해주어서 청소년들에게 크게 환영받을 것 같다. 교재나 선물용으로 널리 추천할만하다.

근데 주인공 여학생 가족은 왜 영국으로 가는 것인지... '영국 복음주의자'로서 괜한 웃음이 나왔다.

(추신) 아, 이 만화는 '창조과학'을 전파하는 것이 아니라, '창조과학'의 문제를 제대로 파헤치고 기독교 신앙이 창세기1장의 '창조'를 둘러싼 이슈를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를 알기 쉽게 보여주는 '탈-창조과학' 만화입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7-02-09 13: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목만 보면 ‘창조론‘을 옹호하는 책인 줄 알겠어요. ‘탈-창조과학‘이라는 단어가 생소해서 흥미를 불러일으킵니다. ^^

erasmus 2017-02-09 19: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 ‘창조론‘이란 창조와 관련한 제반 논의 전체를 지칭하는 표현이고, ‘창조과학‘은 그 중에 특정한 과학논의를 끌어다 쓰고 있는 한 입장입니다. 한국교회에서는 80년대 이후에 많이 소개가 되면서 상당히 널리 유통되고 있는데, 최근 이 문제를 놓고 개신교 내부에서 이를 탈피해야 한다는 논의가 상당히 강하게 등장하고 있습니다. ‘창조신앙‘은 갖되, 그것이 곧 ‘창조과학‘일 필요는 없다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을 것 같네요. (물론 ‘진화론‘이나 다른 과학적 논의를 어떤 방식으로 조화시키는가와 관련해서 상당히 다양한 입장이 존재합니다만, 그건 저 책에도 나오는 내용이니 패쓰~~)
 
삶, 그 은총의 바다
백소영 지음 / 꽃자리 / 2016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독교 사회윤리학자이자 일상언어를 잘 구사하는 대중 신학자로 활발한 행보를 보이고 있는 백소영 교수의 책이 나왔다. CBS TV에서 14개월간 진행한 <성경 사랑방>의 강연을 묶었더니 3권 분량에 구약 전체와 신약 초반까지를 담아내는 성경 이야기가 완성되었다. 방송할 때부터 이 프로그램은 호평을 받았던 것으로 안다. 기존 관행대로 남성목회자의 설교방송을 하는 것이 아니라 세명의 패널과 토론하고 이야기를 주고받으며 진행하는 포맷도 그러했고, 내용에 있어서도 여성적 관점이나 사회윤리적 관점이 잘 녹아들어가 있었고, 상당히 방대한 분량의 성경을 일관된 주제의식으로 담아냄으로써 성경 전체의 맥을 잡는데에 도움이 많이 되었다는 평이다. 아마 성경을 거시적으로 보고 싶었지만 엄두를 내지 못했던 이들이라면 동영상과 책을 함께 가이드 삼아 읽어가도 좋겠고, 소그룹으로 공부 모임을 시도할 수도 있겠다. 대중적으로 활동하는 여성 신학자나 목회자가 이토록 적은 상황에서 매체나 저술을 통해 그의 소통이 지속가능하게 이루어졌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나님 나라의 비밀 - 하나님 나라 내러티브와 교회의 비전과 사명
스캇 맥나이트 지음, 김광남 옮김 / 새물결플러스 / 201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매우 논쟁적인 책이 하나 나왔다. 처음 2 장을 불편한 마음으로 끝까지 읽어낼 수 있다면 나머지 부분은 빨려들어가며 먹어치울 것이다. '하나님 나라'에 대해 우리가 들어왔고, 배웠던 것들이 모두 재검토 대상으로 올려졌다. 거기에는 조지 래드를 비롯한 성서학자, 아브라함 카이퍼, 리차드 니버, 구스타브 구티예레즈 등의 익숙한 이름들, 제임스 헌터 같이 미국 기독교의 문화변혁 논리에 대한 괴멸적 비판을 가한 종교사회학자까지 망라된다. 그러나 스콧 맥나이트의 주 작업은 성경 본문으로부터 그가 발견하는 '하나님 나라'의 의미와 작동방식을 찾아내고 일목요연하게 제시하는 것이다. 그 결과물은 아마도 아나뱁티스트적 관점으로 이 논의를 다룬 가장 세련되고, 치밀한 논증으로 간주할 만하다. "하나님 나라가 교회와 직결된다"는 다소 단순한 주장을 이렇게 폭넓은 독서와 새로운 논리로 제시한 탓에 완전히 설득당할뻔 했다. 읽고 토론하자.    

나는 종종 스콧 맥나이트의 책에 추천사를 써왔다. 그는 빼어난 성서학자이고, 목회적 감수성과 교회의 미래에 대한 진지한 고민을 갖고 저술하는 사람이다. 헌데 이번 책은 간단치 않다. 우리에게 매우 익숙한 버전의 '하나님 나라 신학' 전체를 전면적으로 재검토해야 한다는 주장을 강력하게 하고 있다. 쉽게 말하면 나도 종종 언급하는 '하나님 나라는 교회 보다 크다'는 주장은 옳은가 되묻는다. 그는 조지 래드, 아브라함 카이퍼, 리차드 니버, 월터 라우셴부쉬, 위르겐 몰트만, 구스타브 구티예레즈, 제임스 헌터, 짐 월리스, 토니 캠폴로, 쉐인 클레이본 등을 검토하며 이들이 주장하는 '하나님 나라'가 성경적이냐고 되묻는다. 현재 성공회 목회자인 그는, 이 책에서 아나뱁티스트 전통을 강력한 신학적 자원으로 삼아 논의를 펼치고 있다. 나는 '완전히 설득당할뻔 했다'고 추천사에 썼다. 자칫 하면 그의 주장은 '교회가 곧 하나님 나라'란 단순환원론으로 읽힐 소지가 있다. 그가 공적 영역에 대해 기독교 신앙이 말하는 복음, 구원, 하나님 나라를 풀어가는 대목에서는 성서학적으로 강력하나, 정치사회학적 언어와 개념의 활용에는 그만큼 업데이트 되어 있지 않다는 아쉬움을 느낀다. 제대로 읽힌다면 '하나님 나라 신학' 논의에 상당히 격한 논쟁이 벌어질 가능성이 있다. 그런 파장이 벌어질까? 나는 그냥 수근수근하다 말지는 않았으면 싶다. 좀 기다려 보련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use5454 2016-07-19 22: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좋은 내용인것 같네요
워낙 이런류의 책들에 관심이 많아서요^^
 
기독교 교리와 해석학 - 교리, 삶, 공동체의 지평융합에 관한 해석학적 성찰
앤서니 C. 티슬턴 지음, 김귀탁 옮김 / 새물결플러스 / 201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차마 사라고 추천은 못하겠다. 가격은 5만원에 1086쪽짜리 대작이다. 영국의 노팅엄 대학에서 오랜 동안 교수로 가르치다 은퇴한 티슬턴은 일찍부터 기독교의 해석학(hermeneutics) 분야에 독보적 권위였다. 해석학과 관련된 철학적 이론과 그 쓸모에 대해 관심을 가졌던 그리스도인이라면 그에게 빚을 지지 않을 도리가 없었다. 그가 있었기에 영국 복음주의권의 성서해석은 단순한 문자주의에 머물지 않고 풍성한 학문적 논의와 병행할 수 있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의 저술은 성서 해석학 분야에 표준적 안내서이자 고전의 반열에 오른 책이 한두권이 아니다. 흥미롭게도 과거의 저술이 주로 성서해석에 관심을 두었던 것과 달리 이번 책은 '교리(doctrine)'에 주목했다. 분량으로나 내용으로 볼 때 이 논의의 결정판 역할을 염두에 둔 저술임에 분명하다. 제1부와 제2부는 교리 해석학의 이론적 논의를 풍성하게 다뤄준다. 제3부는 조직신학의 주요 주제들을 해석학적 질문과 더불어 하나씩 재구성한다. 신학을 공부하는 이라면 필히 탐독하기를 권한다. 이론이 낯설고 논의가 어려워도, 우리가 당연시하는 교리가 이런 질문과 토론을 통과한 이야기임을 깨닫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평소 인문학이나 약간의 철학적 선이해가 있는 사람이라면 오히려 문제 의식을 쉽게 납득할 것이다. 이 책을 차마 사라고 추천은 못하겠다. 그러나 이런 책을 버젓이 읽어내는 성도들이 많은 세상에서 살고 싶다. 나의 꿈은 너무 야무진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성령과 신앙
잭 레비슨 지음, 홍병룡 옮김 / 성서유니온선교회 / 2016년 3월
평점 :
품절


매우 독특하면서도 중요한 성령론 책이 한권 나왔다. 최근 국내에는 막스 터너의 책도 소개가 되었고, 고든 피의 대형 저술도 번역이 되어서 과거에 비해 성령론에 대한 성서학 책은 깊고 풍성해졌다. 잭 레비슨은 이 두 학자들에 비해서는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신구약뿐 아니라 유대교 문헌에 정통한 일급의 성경학자이다. 게다가 그는 오순절 배경의 학자이지만 흔히 오순절 전통이 강조해왔던 협소한 성경본문이 아니라 창조신학에서부터 '성령론'의 근거를 끌어내면서 논의의 스케일을 키우고, 판을 흔드는 기개를 보여준다. 책의 부제로 언급된 '미덕, 황홀경, 지성'은 기존 논의에서는 성령론과 한번에 어울리기 쉽지 않은 제각각의 주제들이었으나, 그는 이 책에서 매우 노련하고도 설득력 있게 바로 이 키워드가 성령 이해의 핵심 주제어가 되어야 함을 성공적으로 입증해 보인다. 그는 메이저 신학자들의 논의를 맞상대하며 이 과제를 해치웠는데, 호출당한 이들의 면면이 화려하다. 성서학 분야에서는 헤르만 궁켈, 제임스 던, 막스 터너를 비롯 성령론 연구에는 필히 훑어야 할 주요 학자들을 다 망라하고 있고, 조직신학자로 바르트, 판넨베르크, 몰트만 등도 줄줄이 이끌려 나왔다. 이만한 논의를 펼치면서도 학술적이란 느낌보다는 교양서란 인상을 받는 것은 그가 일관되게 유지하는 문제의식이 학자들 세계의 질문이 아니라, 성령론에 관심있는 이들이라면 언제나 물어봄직한 것이기 때문이리라. 여튼 구슬이 서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라 했으니, 이 참에 '성령론' 구슬 꿰기를 시작해 보도록 하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