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상생도시 - 토지가치 공유와 도시 재생
조성찬 지음 / 알트 / 201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희년에 대한 글을 쓰면서 한국에서는 도대체 어떤 시도들이 있는지 궁금했다. 희년정신은 자칫 성경 내의 이상적 언급에 그치거나, 헨리 조지의 토지단일세 논의로 종결되는 듯한 인상이 있었는데, 오늘날의 삶에 유의미한 영향을 가지려면 부동산 정책이든, 토지 난개발이든, 재개발 현장에서든, 세입자 문제나 젠트리피케이션 이슈 등에서 적용 가능한 정책의 형태로 옮겨질 수 있어야 한다.


이 책은 그런 면에서 독보적이었다. 토지 및 도시 개발 영역에 이론적, 정책적 참여를 하고 있는 현장이론가이고, 토지+자유 연구소에 참여하고 있는 희년운동가이기도 한 저자의 논의는 한국의 주요 현안들을 직접 분석하고 대안적 제안까지 담아낸다는 점에서 매력적이다. 


한국의 도시재생 이슈와 관련해서는 현실과 선택 가능한 대안 모두를 다루어주는 귀한 책이다. 널리 권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도 행복할 수 있을까 - 행복지수 1위 덴마크에서 새로운 길을 찾다 행복사회 시리즈
오연호 지음 / 오마이북 / 201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역사에 세번 덴마크 부흥이 찾아왔다고 했다. 의미심장한 변화를 촉발하기를 기대한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순오기 2016-07-10 09:2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오연호씨가 이 책으로 500회 강연을 했다는 오마이뉴스 보고 대단하다 생각했어요. 500회 중 2회는 저도 들었으니까요.^^
 
이매진 주빌리 - 오늘을 위한 사회적 상상, 희년
양희송 지음 / 메디치미디어 / 2016년 1월
평점 :
품절


저자로서 갖는 애정과 아쉬움이 다 있다. 하나의 마침표를 찍었는데, 그로인해 가보지 못한 새로운 길을 시작해볼 엄두를 내었다는 건 큰 소득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쥬빌리 은행이 어떻게 출범하고 일하는지 안팎으로 녹여냈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거 읽고싶다. 빚문제 제대로 한번 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