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노트> 무조건 좋게 결정지어서 맡겨놓기
날짜:2025년4월6일
오늘의정진: 大象不遊於兎經/대상불유어토경/큰 코끼리 토끼 길에 노닐지 않고
- 100일 정진, 102일차
어제 증도가(證道歌) 백 서른 한 번째와 백
서른 두 번째 구절은
<日可冷月可熱/일가냉월가열/해는 차게 하고 달은 뜨겁게 할지언정
衆魔不能壞眞說/중마불능괴진설/뭇 마구니가 참된 말씀을 부술수는 없다
象駕崢嶸漫進途/상가쟁영만진도/코끼리가 수레를 끌고 당당하게 길을
가니
誰見螳螂能拒轍/수견당랑능거철/사마귀가 수레 길을 막는 걸 누가 보겠는가> 였다.
선(禪)을 이루려면
어느 것 하나 버릴 것 없이 모아야 한다.
<태산은 한 줌의 흙도 버리지 않아 그 높이를 이루었고
강과 바다는 한 줄기 물도 마다하지
않아 그 깊이를 이루었다.> (사기, 이사열전 중에서)
선 역시도 태산과 바다와 같아 어느 것 하나 버리지 않고 마다하지
않아야 이루어진다.
높음와 깊음을 이루었다면 그 누가 막을 수 있겠는가?
오늘은 백 서른 세 번째와 백 서른 네 번째 구절
大象不遊於兎經/대상불유어토경/큰 코끼리 토끼 길에 노닐지 않고
大悟不拘於小節/대오불구어소절/큰 깨달음은 작은 절개에 구애되지 않으니
莫將管見謗蒼蒼/막장관견방창창/관견 같은 소견으로 창창히 비방하지
말라
未了吾今爲君決/미료오금위군결/알지 못하기에 내 이제 그댈 위해 결단해 준다.
이제 영가현각(永嘉玄覺 665~713)선사의 증도가(證道歌)
마지막 구절이다.
관견(管見) 이란 구멍 뚫린 관(管)을 통해 세상을 보는 것이다. 우물 안의 개구리 같이 세상을 인식하는
아주 편협 된 견해를 뜻한다. 그러한 소견(小見)으로 어찌 큰 도(大道)를
볼 수 있을 것인가?
그래서 증도가의 첫 구절이 바로
<君不見/군불견/그대
보이지 않는가?> 였음을 이제야 알게 된다.
사람들은 깨달음의 세계를 알지
못하기에 영가 스님은 증도가를 통해 밝혔던 것이다.
이제 다시 증도가의 처음으로 돌아가
보자.
<君不見/군불견/그대 보이지 않는가
絶學無爲休道人/절학무위휴도인/배움이 끊어지고 함이 없이 한가한
도인은
不求妄想不求眞/불구망상불구진/망상을 구하지도 참됨을
구하지도 않는다.>
도(道)는 구한다고 해서 얻어지는 것이 아니다. 놓아야 한다. 즉 구하려는 마음을 쉬어야 한다.
영가스님이 보여주려고 했던 무(無)의 세계는 사량 분별, 관견으로는
볼 수 없는 세계이다.
보려고 해서는 보이질 않는다. 본다는 것은 보여 져야만 비로소 보인다고 할 수 있다. 놓고 지켜보아야
보인다. 눈뜬 장님들이 진정으로 개안(開眼) 되길 바라며 영가스님은 1000년이 넘는 긴 세월을 초월하여 묻고
있다. 우리 모두의 마음의 눈이 떠 질 때까지 증도가 속의 영가스님은 계속 물을 것이다.
君不見! 그대여! 이제는 보이지 아니한가?
<일일 소견>
<大道無門千差有路/대도무문천차유로/큰 도에는 문이 없고
천 갈래 갈라진 길이 있나니
透得此關乾坤獨步/투득차관건곤독보/이 관문을 꿰뚫는다면
하늘과 땅 홀로 걷게 되리라>
(무문혜개(無門慧開 1183~1260)스님, 무문관(無門關) 서문 중에서)
100일 정진은 끝났지만 진짜 정진은
이제부터 다. 허공을 홀로 걷게 될 때까지 다시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