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노트>    무조건 좋게 결정지어서 맡겨놓기


날짜:2025210

오늘의정진: 覺即了施功 각즉료불시공  /깨치면 바로 마침이요공을 베풀지 않으니


- 100일 정진, 47일차


어제 증도가(證道歌마흔 여섯 번째 구절은 

<優遊靜坐野僧家 우유정좌야승가 /한가히 노닐며 절 집에서 고요히 앉으니

闃寂安居實瀟灑 격적안거실소쇄 고요한 살림살이 참으로 기운이 맑고 깨끗하다.> 였다

 

()에서는 깨달음을 얻고 난 후 보임(保任혹은 보림이라 하는 과정이 있다.

자신의 본래 성품을 깨친 후그것이 끝이 아니라 다시 갈고 닦아야 된다는 뜻이다.

즉 돈오점수(頓悟漸修), 깨달은 후에도 점차 닦아야 되는 것과 일맥 상통한다.

육조 혜능선사도 오조 홍인의 인가를 받았지만 곧 바로 오조의 법을 잊지 못했다.

그는 자신을 쫓는 사람들을 피해 사냥꾼들 속에 섞여 자신을 감추고 살았다고 전해진다.

육조 같은 선지식도 자신의 깨침에 대해서 다시 점검하고 또 점검 했다는 것이다.

아마도 영가선사 또한 다르지 않았을 것이다.

본래 고요한 참 성품을 깨쳤다고 하지만 그 고요함의 향기를 한동안 음미하고 지냈을 것이다

그 깨달음의 향기 내음은 그가 묵었던 암자 주위로 신성하게 퍼져 나가지 않았을까?

 

오늘은 마흔 일곱번 째 구절

覺即了施功 (깨칠 각곧 즉마칠 료아닐 불베풀 시공 공 )

각즉료불시공  /깨치면 바로 마침이요공을 베풀지 않으니

一切有爲法 (한 일온통 체있을 유할 위법 법아닐 불같을 동  )

일체유위법불동/  일체유위법과 같지 않다.


이번 구절은 선에서 깨달음에 관한 중요한 견해에 해당한다.

깨치면 바로 마침이란다각즉료(覺卽了)!

바로 돈오돈수(頓悟頓修)를 뜻하는 것이다

한때 우리나라에서 돈오돈수와 돈오점수간의 논쟁이 있었다.

퇴옹성철(退翁性徹 1912~1993) 스님께서 이 논쟁의 주역으로 등장하여 돈오돈수가 옳다고 주장하신 것이다.

깨우치면 그걸로 끝이지 무얼 더 닦아야 하느냐

더 닦을 것이 있다면 그건 완전한 깨달음이 아니라고 하신 것이다.

그러자 당시 불교계에서는 논쟁이 붙었다

성철스님보다 700년 전에 고려시대에 이미 보조국사 지눌스님(普照國師 知訥 1158~1210) 은 돈오점수를 주창하셨기 때문이었다.

지눌 스님의 돈오점수가 이전까지 보편적인 깨달음 이후의 보임과도 같은 입장이었다.

그런데 성철스님은 돈오돈수를 주창하니 사람들 사이에서는 당연히 논쟁이 일어난 것이다.

돈오돈수가 옳은지돈오점수가 옳은지과연 무엇이 맞는지?

그런데 이 문제는 옳고 그름이란 판단의 문제일까?

판단의 문제로 생각하면 결정을 내야 하지만  깨달음의 문제가 과연 판단의 문제일까?

깨달음은 순전히 개인의 체험이다.

나의 체험을 누가 판단 할 수 있을까?

돈오점수와 돈오돈수가 서로 다르다고 확신 할 수 있을까?

영가스님의 이 구절은 깨달음을 마친 돈오돈수로 이해하는 것이 맞는 것일까?


()은 공덕(功德)을 말한다.

공덕이란 무엇인가

흔히들 착한일, 즉 선업을 짓는 것을 복덕(福德)을 쌓는 다고 한다

공덕은 복덕보다 개념이 더 넓다

자신의 복을 짓는 것 뿐만 아니라 남에게도 도움이 되는 것을 공덕이라 부를 만 하다.

공덕은 나와 남을 포함하여 우주에 까지 이로움이 생기는 덕을 뜻한다.

깨달음은 나 혼자만의 사건이 아니다

분명 나를 포함한 내 주위심지어 우주에 까지 그 이로움이 미친다

그러면 공덕은 자연히 베풀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왜 깨달음을 마쳤는데 공덕을 베풀지 않는다고 했을까?

바로 뒷 구절과 이어서 봐야 한다

우리의 세간은 유위법이 지배한다. 그러나 무위법은 유위법과 같지 않다.

유위법의 이면에는 보이지 않는 무위법이 바탕이 되고 있다.


그렇다면 깨달음은 무위의 공덕을 베푸는 게 오히려 맞다고 본다.

이 구절은 반어법으로 이해함이 옳지 않을까?  

돈오돈수라 하여 공덕 베품이 없을까

오히려 깨달음의 공덕은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클 것이다.


 

<일일 소견>

돈오돈수나 돈오점수의 논쟁은 부질없다내가 우선 깨달아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