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피아노의 숲 26 - 신장판, 완결
이시키 마코토 지음, 양여명 옮김 / 삼양출판사(만화) / 2016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총 26권의 <피아노의 숲>,
얼마나 재미나던지 6시간을 도서관 만화 코너에 앉아 초등학생들과 함께 보기를 몇 일이나
했구만. 난 어릴 때 만화방을 간 적이 없어서 그 즐거움을 잘 모르지만 아마도 그 시절
만화방에서 만화를 즐겼던 아이들은 바로 이런 즐거움이었을거라는 것을 알겠다.
재15회 쇼팽 콩쿨 이야기다. 아니 정확하게는 15회 쇼팽 콩쿨에 참가한 카이 이찌노세의
이야기다.
15회 쇼팽 콩쿨에는 임동진, 임동혁의 3위 입상이 있었고,
그 10년 후, 2015년, 제17회 쇼팽 콩쿨에서는 조성진의 우승이 있었던,
바로 그 쇼팽 콩쿨의 이야기여서 더욱 재미있었던 것인지도 모르겠다.
이 만화로 인해 조성진의 훌륭함이 얼마나 돋보이던지,
그의 쇼팽 연주가 얼마나 대단하던지 말이다.
이야기의 구성도 상당히 훌륭했다. 어떻게 하면 이런 스토리가 나올 수 있는지
작가에게 물어보고 싶을 지경이다.
어떻게 숲속에 피아노가 있다는 생각을 하였을까?
숲속이란 피아노가 있을 자리가 아니지 않는가 말이다.
카이의 예술로 향한 마음은 욕심 하나 없는,
피아노 그 자체를 사랑하고 좋아하는 딱 그 마음 하나였으며,
그의 스승, 아지노와는 훌륭한 스승과 훌륭한 제자의 본보기였으며,
슈우헤이와 그의 아버지의 관계도 상당히 인상적이었다.
영화 <Frank(2014년)>에서 프랭크는 자해를 해 그 고통에서 예술적인 영감을 얻고자 한다.
그러나 카이를 보면 예술적인 영감은 그런 인위적인 고통에서 오는 것은 아닌 것 같다.
그것은, 예술적인 영감은 최소한 욕심없는 마음에서 출발하는 듯 싶어 보인다.
자신의 경쟁자는 바로 자신이라는 카이의 마음이야말로 예술의 기본인 것 같네.
"아지노, 이 날을 나는 줄곧 꿈 꿔 왔어요."
"나는 꿈에서도 생각 못했단다."
"이 피아노를 모든 사람들에게 바칩니다."
이 만화의 마지막 세 구절이다.
이 안에 모든 것이 담겨있다
스승을 위한 제자의 마음은 흡사 사무라이 정신의 일본이 보인다.
쇼팽 콩쿨의 우승이 결국은 모두를 위한 피아노로 귀결이 되는 장면이 압권이다.
나를 위한 피아노가 아닌, 스승을 위한 피아노, 모두를 위한 피아노로 아우르는 카이의
아름다운 마음이 나에게도 충분히 느껴졌다. 예술이란 이러한 것이리라.
우리의 <임동진, 임동혁>, <조성진>도 이러하기를~